제주잠녀 출가의 사회경제적 배경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제주도의 사회적 혼란과 인구이동
2. 해산물의 경제가치 상승과 잠녀의 인구 증가
3. '해녀어업조합'의 결성과 입어권의 인정

본문내용

력이 경제적 고소득에 강하게 작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 사회적 이미지에 대해
자연스럽게 물질을 지속적으로 하게 되었고 현재 물질의존도가 낮은 경우와, 경제적 목적에 의해 물질을 현재까지 하고 있으며 물질의존도가 높은 경우는 제주 잠수가 부지런하고 강하다는 기존의 이미지에 대해 수용적이고 타인들이 어떻게 생각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을 지에 대한 물음에 긍정적이었다.
2) 세대와 사회적 정체성
물질을 오래한 대다수의 잠수들은 15세에서 20세 사이에, 그리고 대부분 결혼 전에 물질을 배우게 되었다고 한다. 조사할 당시 평균 물질년수가 38년이었다. 물질 시작 당시의 연령에 평균연수를 더하면 53세에서 58세이었고 현재 이들은 50대 중반 이후와 60대 초반에 이르렀다. 이미 알려진 바대로 고령화된 잠수 집단이다.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어떻게 볼 것인가라는 질문을 통해 잠수들의 사회적 정체성을 살펴보았다.
- 부지런하고 강인한 직업인: 30대와 60대 이상의 세대
30대의 특징은 교육, 직장생활의 경험이 있고 잠수도 직업으로서 인식하고 있음을 엿볼 수 있었고, 경제적 고속득의 이유로 자부심이 높았다. 60대 이상의 잠수들도 자신의 일에 대한 자부심은 높았지만 그 이유는 젊은 세대와 다르다. 이들은 제주사회에서 물질이 왕성하던 시기부터 물질을 시작하여 고소득을 올리며 가계에 크게 기여하여 왔고 이러한 이들의 삶은 제주사회에서 제주여성의 전형으로 상징화되어 왔다.
- 힘든 일(천한 일)을 하는 불쌍한 사람: 4 50대의 중간세대
1960년대 말, 1970년대를 거쳐온 40 50대의 중간세대는 제주지역에서 감귤과 유채 등의 농업과 관광산업에 따른 지역개발이 추진되던 시기를 지나온 세대이다. 현재 이들의 연령을 감안할 때 이들이 물질을 시작한 시기는 대략 70년대 중반 이후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이 시기는 제주 사회에서 잠수가 감소하던 시기와 일치한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와 못살았던 과거에 대한 기억 등이 다른 세대에 비해 이들의 의식에 강하게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이 세대는 현재 가장 활발하게 물질을 하고 있는 세대라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자신이 물질을 선택한 동기가 어떠한 가에 따라 현재의 물질에 대한 사회적 이미지와 물질의존도가 다르게 나타나는 등 현재의 생활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그리고 물질을 시작하던 시점의 영향(가정배경, 사회적 배경 등)이 자신의 물질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주고 있다.

키워드

제주,   제주잠녀,   잠녀,   해녀,   제주도,   해산물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05.23
  • 저작시기2005.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36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