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영화의 이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소쉬르(Saussure, Ferdinand de)
2. 퍼스(Peirce, C.S)
3. 메츠(Metz, Christian)
4. 파졸리니(Pasolini, Pier Paolo)
5. 에코(Eco, Umberto)
6. 기호학 vs 리얼리즘
7. 히스(Heath, Stephen)

본문내용

대신 관객은 자신을 순수한 주체로, 비어있고 부재하는 존재로, 그리고 이미 존재하는 것처럼 보이는 대상을 바라보는 순수한 능력으로서 스스로를 경험한다. 모든 ‘내용’은 전적으로 영화라는 다른 어떤 장소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보이지만 결국 그것은 주체성으로 각인되는 것이다. 그런데 담론이 내러티브 영화에 완전히 부재하는 것은 아니며 등장인물의 대사로, 등장인물의 시점쇼트로 나타난다. 그러나 그와 같은 언표행위의 명백한 예들은 잇따르는 내러티브 속에서, 누가 말하고 보는 지를 상술하고 그들의 말과 시각을 지엽적인 것으로 확정짓는 내러티브속에서 제한된다. 내러티브는 등장인물의 언표행위를 주변화하면서 스스로를 담론으로서가 아니라 관객 앞에서 완벽하고 포괄적이고 단호하고 불편부당한 것으로서 펼쳐지는 이야기로서 제시하려 노력하는 것이다. 그래서 스크린 위의 표상들은 하나의 시점이 아니라 현실 자체로 나타난다. 신의 전지적 시선처럼 내러티브는 하나의 세계를 포괄하는 것이며, 그 신과 같은 위치는 관객 ‘I' 가 즐겁게 점하는 특권적 위치가 된다.
“의미 위치를 포함하고 규정하며 이데올로기적 장소를 상술하는 사회구성체 및 사회적 과정들 외부에는 어떠한 주체도 존재할 수 없다. 주체로서 개인을 구성하는 구체적인 역사가 존재하는데, 그 역사는 또한 주체의 사회적 구성에 다름아니다. 달리 말해서 사회적/이데올로기적 구성체를 위한 주체의 구성이 먼저 존재하고 그 다음 구성된 주체-지지물을 그 구성체내에 위치짓는 것은 아니라는 말이다. 그 두 과정은 마치 종이의 앞뒷면처럼, 필연적인 동시성을 띠는 하나의 과정인 것이다. 언어 속에서 개인은 항상 주체로서 입장하고 부상한다.”
3) 과정 개념의 중요성
첫 번째는 주체가 구성되는 만큼 구성하기도 한다는 사실이다. 이 책에서 자주 등장할 주체의 변증법이라는 복잡한 사고는 모든 경우에 있어 주체와 타 주체(그 타 주체는 세계, 사람 혹은 영화일 수 있다) 사이에는 교환이 존재하며 그 교환은 해석의 과정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광활한 황무지를 마주하는 서로 다른 사람들은 서로 다르게 반응할 것이다. 걷는 이에게는 그것이 고된 노동을 요구하는 광경이고, 광장공포증 환자에게는 공포를 불러일츠키는 공터이다. 땅의 소유자라면 그 대상을 또 다르게 해석할 것이다. 그리고 동시에 그/그녀가 해석의 종류에 따라 어느 정도 변화한다는 점에서는 주체가 대상에 의해 구성된다. ‘주체는 의미의 생산자이며 동시에 의미의 산물인 것이다. ’
과정 개념이 강조하는 또 다른 측면은 언어 속에서의 주체 구성이 분열의 계기라는 사실이다. 언어로의 진입은 주체성과 정체성의 조건이지만 동시에 무의식의 조건이기도 하다. 그 무의식은 주체의 현실을 파악하려는 모든 시도를 무효화하는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통일성뿐 아니라 분할, 정체성뿐 아니라 비정체성, 이것이 바로 주체 구성의 조건이다.
영화의 표상은 결코 완벽한 재현일 수 없고, 한 장소에 주체를 고정지으려는 영화의 시도는 결국 실패하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영화가 호명의 형식을 따르고 그 형식을 취할 수도 있지만, 호명 개념은 영화와 관객의 관계에 대한 설명으로는 부적합하다. 대신 그 관계는 “의미화 작용 실천으로서, 그리고 주체성의 다양한 관계들로서, 즉 그 관계가 단순히 영화의 ‘속성’도 개인 - 관객의 그것도 아니라 그 속에서 영화와 개인이 각자 특수한 역사적 사회적 현실을 지니고 있는 주체 생산의 관계로” 여겨져야 한다는 것이다.
4) 결 론
히스의 개입은 체계로서의 텍스트에서 과정으로서의 텍스트로, 그리고 ‘대상으로서의 영화’에서 ‘작동으로서의 영화’로 분석이 방향전환해야 한다는 주장으로 결론지어진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0.05.24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40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