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남과 미국의 내부의 문제점. 그리고 전쟁원칙에서 본 패전(敗戰)의 원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가. 월남과 미국의 내부의 문제점은 무엇이었나?
1) 월남전쟁은 내전이 아니다
2) 월남의 적은 누구였나.
3) 월남 지식인과 젊은 학생들은 무엇을 했나
4) 지도자의 지지도와 당시 사회상은?
5) 미국과 월남의 국민의지는
6) 힘의 중심(Center of Gravity)이 된 언론은?
7) 위험(危險)에 대한 극복 노력은?
8) 국내조건은?
9) 공포(恐怖)의 통제와 공황(恐慌 : Panic)의 현상은?

나. 전쟁원칙에서 본 패전(敗戰)의 원인
1) 전략(戰略) 전술(戰術) 개념 적용은?
2) 목표(目標)선정은 적절했나?
3) 공세(攻勢)의 원칙은 잘 적용되었나?
4) 집중(集中), 절약, 기동(機動)의 원칙 적용은?
5) 지휘(指揮)통일(統一)은 잘 되었나?
6) 경계(警戒) 및 기습(奇襲)의 원칙은?
7) 간명(簡明)의 원칙은?
8) 부자(富者)의 전술, 가난뱅이 전술
9) 미 행정부의 간섭(干涉).
10) 헬기의 문제점.

다. 공산 혁명(革命)과 학살(虐殺)

본문내용

는 지휘의 통일을 기하지 못함으로써 전쟁의 기본 원칙 가운데 하나를 위배하게 된 단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6) 경계(警戒) 및 기습(奇襲)의 원칙은?
경계는 우군 부대에 대한 적의 정보활동을 거부하여 행동의 자유를 유지하고 적으로부터의 기습을 방지하므로 전투력을 보존하는데 긴요하다. 따라서 경계는 과감한 행동과 기선제압으로 더욱 증진된다.
기습은 전세를 결정적으로 우군에게 유리하도록 전환시켜 주며 제공된 노력 이상의 성과를 획득할 수 있다. 기습은 적이 예상치 못한 시간과 장소 및 방법으로 적을 강타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으며 적이 모르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적이 알았다하더라도 효과적으로 대처하기에는 너무 늦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월남전에서 전쟁 초기에 미국은 기습적으로 참전함으로써 상대의 허를 찔렀지만 전쟁이 장기화되면서 그들 스스로 월남전의 목적을 최소의 희생을 통한 협상의사 전달이라는 명목으로 정함으로써 전략적 기습효과를 완전히 도외시하게 되었다. 이에 반하여 월맹은 구정공세와 같이 적은 인원과 열악한 무기로 기습 공격을 가해서 많은 피해를 입었지만 전략적으로는 승리를 거두어 전쟁을 승리로 이끌었다.
7) 간명(簡明)의 원칙은?
전장에서는 계획과 명령이 명료해야 혼란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전투란 생명을 내걸고 싸우는 것이므로 착오와 혼란이 따르기 때문에 그것이 조금이라도 적은 쪽이 승리를 거둔다. 하지만 월남전에서의 미국은 외부 침략의 저지와 내부의 대게릴라전이라는 혼돈된 두 개의 목표를 위해 싸웠으며, 주월 미 군사지원단도 군사적인 문제에만 전념한 것이 아니라 월남건설이라는 복잡한 정치적 임무까지 떠맡고 있었다. 심지어는 게릴라들과 싸우는 한편 월맹을 공격하여 소련과 중국을 자극시키지 않기 위한 노력을 해야했다. 일례로 미군은 월맹군을 자극시키지 않는다고 정찰 횟수까지 정하여 지침을 내렸는데 이는 간명의 원칙에서 크게 벗어난 것이었다.
8) 부자(富者)의 전술, 가난뱅이 전술
미국이 월남전에서 사용한 폭탄과 전비는 세계대전의 그것들을 능가하였다. 하지만 이런 엄청난 폭탄을 쏟아 붓고도 미국은 결국 전쟁에서 졌고, 월남은 패망하였다. 미국의 군사원조가 삭감되자, 월남군은 물자 풍족 상태에서 궁핍상태로 전락했으며 월남군의 전투능력과 사기가 크게 저하된 반면, 월맹군은 무에서 시작하여 궁핍과 고난을 겪으면서 점차적으로 성장하고 단련된 군대였다. 따라서 그들의 전쟁수행 능력은 장비에 의존하지 않고 전쟁 그 자체에서만 목적을 둔 정신적인 면이 강했던 것이다. 즉, 미군을 비롯한 연합군이 과학기술과 장비에 바탕은 둘 군대라면 월맹군은 인력과 정신력에 바탕을 둔 군대라고 할 수 있다. 이는 결과적으로 월맹 측의 사기와 전투의지 및 효율성은 증대된 반면 미군과 월남군에서는 정반대 현상이 일어나는 원인이 되었다.
9) 미 행정부의 간섭(干涉).
월남전쟁은 군인과 전쟁에 대한 편견과 불협화음이 전쟁을 패배로 이끈 대표적인 예이다. 월남 전쟁이 진행되는 기간 동안 상아탑 출신 관료들은 군이 결정해야 할 사항까지 간섭했다. 예를 들어 정찰은 주 5회로 제한하고, 탐지된 군사목표의 공격도 불허하는 등 과도한 제한을 두는가 하면, 월맹의 북폭, 폭격지역, 표적, 출격회수를 엄격히 통제하고, 제한구역과 폭격 금지구역을 설정하였다. 우리는 여기에서 전쟁이 확대되는 것을 막으면서 승리하기 위해서는 전쟁을 지도하는 전쟁지도본부의 민간관료의 전쟁에 대한 식견과 감각이 뛰어나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군부는 월맹의 전쟁의지를 꺾는 차원에서 군사력 사용을 종용한 반면, 행정부의 지도자들은 군사력을 월맹이 회담에 응하도록 압력을 가하는 외교술의 한 형태로 취급함으로써 군부의 강력한 전쟁의지 결여를 초래하였다.
결국, 월남전의 패인은 최종목표를 전쟁승리에 두지 않고 회담 성사에 둔 오류에 있었다. 소련과 중공군의 개입 및 확전의 두려움으로 인하여 적 군사요충지를 적 영토내의 성역으로 설정함으로써 적에게 대응할 여유를 제공하였다.
10) 헬기의 문제점.
월남의 지형적 특성상 수직 이동성의 가치가 있는 헬기는 월남군과 미군에 없어서는 안 될 작전 도구였다. 대부분의 전장이 정글이라는 점과 적군의 전술이 게릴라전이라는 특수성으로 인하여 헬기는 월남전을 수행하는데 빼놓을 수 없는 무기가 되었다. 하지만 문제는 헬기가 가지고 있는 무기 자체적인 문제가 아니라 그것을 운용하던 월남군 지휘부에 있었다. 월남의 지휘부는 헬기의 뛰어난 기동력을 전투에 이용하기보다는 자신들의 안위를 위해 사용했고, 정작 치열한 전투를 하는 현장에는 사기진작의 핵심인 주요 지휘관이 없었다.
때때로 우리는 편리성에 빠져 그것을 과신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월남전쟁에서의 헬기가 바로 그런 경우로 이것은 아무리 효율적인 무기라도 그것을 운용하는 사람에 따라 그 효율성이 달라짐을 보여준다.
다. 공산 혁명(革命)과 학살(虐殺)
칼 마르크스는 자본주의 체제하에서의 전쟁은 반대하지만, 사회주의 실현을 위한 해방전쟁은 찬성한다고 했다. 이는 매우 모순적인 논리로 개인적으로 사회주의의 체계가 완전히 정당하고 우월한 체계도 아닐뿐더러 전쟁이란 사회적 사건에 대해 찬반을 가린다는 것을 옳지 않다고 생각한다.
많은 나라에서 공산 혁명이 일어난 후 자행된 학살의 내용을 보고 있노라면, 과연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수립된 체제가 올바른 것인가 하는 의문이 든다. 설령, 그 체제가 올바른 것이라 할지라도 과연 이런 만행 속에 성립된 정부가 얼마나 정당성을 가질지 의심스럽다. 이전의 많은 공산주의 국가체제 아래에서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자유를 구속당하고 이념적인 이유로 불합리한 처우를 받았는지는 쉽게 알 수 있다.
현재 세계적으로 공산주의 국가는 거의 남아 있지 않으며 이것은 이미 그 체제의 부당성을 설명해 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공산주의 혁명이 시작되었던 러시아도 공산주의를 포기하고 시장경제를 받아들였으며, 중국 또한 사회시장주의를 표방하며 대내외적으로 개방을 선도하고 있다. 계급의 평등을 도모한다는 목적아래 새로운 계급차별을 만들어가고, 국민들을 빈곤에 허덕이게 하는 공산주의 체제는 결코 정당화될 수 없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0.05.26
  • 저작시기2004.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46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