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정 전병병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콜레라

페스트

장티푸스

파라티푸스

세균성이질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

디프테리아

백일해

파상풍

홍역

유행성이하선염

풍진

폴리오

B형감염

말라리아

결핵

한센병

성병

성홍열

수막구균성수막염

레지오넬라증

비브리오폐혈증

발진티푸스

발진열

쯔쯔가무시증

렙토스피라증

브루셀라증

탄저

공수병

신증후군출혈열 (유행성출혈열)

인플루엔자

후천성면역결핍증

황열

뎅기열

마버그열

에볼라열

라싸열

리슈마니아증

바베시아증

아프리카수면병

크립토스포리디움증

요우스

핀타

두창

보툴리누스중독증

신종전염병증후군

A형감염

C형감염

반코마이신 내성황색포도상구균감염증

샤가스병

광동주혈선충증

유극악구충증

사상충증

포충증

크로이츠펠트야콥병

본문내용

균이 분리되는 등 치료에 반 응이 없으면서, 반코마이신의 MIC가 4 ㎍/㎖ 초과인 황색포도상구균에 감염된 경우로 감염부위에 따라 균혈증, 심내막염, 화농성 관절염, 폐렴, 골수염, 피부감염, 농가진, 장염, 식중독 등 다양한 임상상을 나타낸다.
예방 및 치료:
샤가스병
원인: 샤가스병은 파동편모충인 Tripanosoma cruzi의 감염에 의해 발생
증상: 질병초기의 증세는 위중하지는 않으나 때때로 특히 영아의 경우 사망원인이 될 수 있다. 감염자의 1/3에서 10-20년 후 만성적 임상증세로 발전한다. 이런 사람들은 평균 기대수명이 9년 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빈대의 분변을 통하여 눈으로 침입, 한쪽 눈에 부종증세를 보이는 것이 샤가스병의 특징적인 임상증세이다. 급성샤가스병의 경우 잠복기는 평균 1-2주정도이며 주요 증상은 국소 림프절종창, 불규칙적인 고열, 오한, 권태, 근육통, 피부 발진과: 간비종대, 심근염, 심부전, 뇌수막염 등으로 사망할 수도 있다.
예방 및 치료: 성인의 경우Nifurtimox를 하루 8-10mg/kg, 소아의 경우 15-20mg/kg을 90일간 경구 투여 하거나 Benzimidazole을 하루 성인 5-7mg/kg, 소아 10mg/kg을 60일간 경구 투여한다.
광동주혈선충증
원인:
증상: 감염이 되어도 증상이 나타나는 예는 드물지만 두통, 오심, 구토가 일어나거나 목뒤가 뻣뻣해지는 등의 증상을 수반하는 수막염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간헐적으로 뒷머리와 양쪽 관자놀이에 두통이 나타나는 것이 가장 흔한 증상이며 수막자극이나 뇌압상승에 따른 증상이 비교적 흔하게 나타난다. 눈을 침범했을 경우에는 눈앞이 흐릿해지거나 복시현상이 나타나기도 하며 눈이 부시거나 안와 후방에 통증이 올 수도 있다.
감염정도가 심할 경우에는 혼수, 사지마비, 경련 등이 일어나고 후유증으로 정신박약, 시신경 위축, 사지 불완전마비 증상이 남거나 사망하기도 한다.
예방 및 치료: 수막염에 대한 대증치료 Thiabendazole, ivermectin, levamisole 등이 시험적으로 사용됨
유극악구충증
원인: Gnathostoma spinigerum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원충성 질환
증상: 피하 악구충증 : 통증을 동반한 피하결절로 주로 나타나며, 결절이 이동하는 경우가 흔하고 부종이 심하게 동반되는 주로 얼굴, 가슴, 손 등에 발생함
중추신경계 악구충증 : 수막염에 의한 두통, 경련 등 신경계 증상을 보임
눈 악구중층 : 충체가 시신경을 경유하여 이행함으로써 유발되며, 제7 신경마비가 동반되기도하고 시력상실, 이물감이 나타남
폐 악구충증 : 피하 부종, 호산구 증다증, 원인불명의 편측성 흉막 삼출액의 과거력이 있으면서 기침, 흉통, 자연기흉 등이 나타남
위장관계 악구충증 : 장벽이 두꺼워지고 장강이 좁아져서 폐색에 의한 급성 복증으로 나타남
예방 및 치료: 병소로부터 충체를 외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현재 유일한 치료법이며, 고용량의 mebendazole을 사용해 볼 수 있다. 예방은 유행지역으로 알려진 곳을 여행하는 사람들은 자연수 또는 약수를 생수로 마시지 말아야 하고, 가물치를 비롯한 담수어, 양서류, 파충류, 조류, 포유류 등의 생식을 삼가야 한다.
사상충증
원인: Wuchereria bancrofti, Brugia malayi, Oncocerca volvulus 및 Loa loa와 같은 사상충 감염에 의해 발생되는 기생충 질환
증상: 몸의 각 조직 (림프절, 피하, 복강, 체강 등)에 기생하는 선충에 의한 감염증으로 우리나라에는 말레이사상충증이 있다. 초기의 감염기 증상으로서 열 발작, 림프절염, 림프관염이 나타난다. 몸 각 부분의 동통, 이상감각을 동반하거나 광범위한 피부의 발적이 확인되는 경우도 있다.
예방 및 치료: Diethylcarbamazine (DEC)를 6mg/kg/day 용량으로 12일간 경구투여할 경우 마이크로필라리아를 죽이며 성충은 일부에만 효과가 있으며, 사상충발열과 림프관염의 재발을 방지하고 림프부종이나 초기 상피병에도 효과가 있다. 상피병의 치료는 취침시 하지를 올리는 방법, 압박붕대, 감염방지, 이뇨제의 사용 등으로 림프부종이나 상피병의 악화를 최대한 지연시킨다.
포충증
원인: Echinococcus granulosus (단방조충)의 유충에 의한 감염증
증상: 주변 숙주조직에서는 염증반응, 호산구 침윤으로 섬유화가 관찰된다. 간에 낭종이 발생하는 경우 간 비대, 압통, 동통 등을 호소하게 되며, 다른 세균과도 혼합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폐에 생기는 경우 기침, 호흡곤란, 흉통, 각혈 등을 호소한다. 때로는 낭종이 터져 낭종액에 의한 알레르기반응이 일어나며 때로는 전신성 과민증으로 사망한다. 이때 터져서 나온 두절들이 뇌, 눈, 심장 등 다른 장기에 전이되어 또 다른 낭종을 만들기도 한다.
예방 및 치료: 외과적으로 낭종을 적출하는 것이 가장 좋은 치료방법이며 Mebendazole이나 albendazole을 수개월간 사용하여 효과를 보았다는 보고도 있으나 입증되지 않았으며, 다만 낭종 적출후 복용하는 것은 추천되고 있다. 예방은 유행지역에서는 개와의 접촉을 피하고, 손을 깨끗이 씻고 음식을 익혀 먹는 등 개인위생을 철저히 하는 것이 최상의 예방책이다.
크로이츠펠트야콥병
원인: 정상 prion protein (cellular form of prion protein, PrPC)의 유전자는 사 람의 제 20번 염색체상에 있고, 효모에서부터 포유동물에 이르기까지 광범위 한 종에서 발견되는 유전자이다.
증상: Prion 관련 질환들의 임상증상은 질환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지만 증상은 공통점이 많다. 즉 초기증상은 운동장애, 지각장애를 동반하며. 진행되면 정신증상 (성격변화, 환각 등)이나, 치매 및 myoclonus가 출현하며, 산발형 CJD의 경우 특징적인 뇌파소견 (generalized triphasic periodic complexes)이 나타나고, 발병 후 0.6∼1년 후에 식물인간이 되어 사망하며 일반 검사치는 대부분 정상의 범위이다.
예방 및 치료: 현재까지 치료법 없음.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0.05.26
  • 저작시기2004.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47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