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인공위성의 용도와 정의
개요 (Introducotion)
의의 (Benefit)
2.우리나라기술로만든인공위성
(1)우리나라 위성의 종류
-우리별 1호-
-우리별 2호-
-무궁화호-
-우리별 3호-
-아리랑 1호-
개요 (Introducotion)
의의 (Benefit)
2.우리나라기술로만든인공위성
(1)우리나라 위성의 종류
-우리별 1호-
-우리별 2호-
-무궁화호-
-우리별 3호-
-아리랑 1호-
본문내용
사함으로써 초고속 위성 멀티미디어 인터넷, 다채널 디지털 위성방송, 기업 통신 네트워크 등에 다목적으로 할수 있게 되었다.
-우리별 3호-
우리별 1호, 우리별 2호에 이어 1999년 5월 26일 발사되었다. 발사체는 PSLV-C2이며 크기는 495x604x852mm, 무게 110kg로서, 730km 고도의 원형 태양동기궤도를 선회한다. 자세제어방식은 3축 안정화 방식으로 자기토커에 의해 제어가 이루어지며, 지향정확도는 0.5도 이내, 최대공급전력은 180W이다. 원격탐사용 15m급 해상도와 3채널의 선형 CCD(change coupled device) 카메라 및 방사능영향측정기, 고에너지입자검출기, 정밀지구자기장측정기, 전자온도측정기 등이 탑재되어 있다.
3축 자세제어, 공통버스 구조, 전개식 태양전지판, 고속데이터전송장치 등 소형 인공위성에 기반이 되는 핵심 기술을 우주에서 실험할 목적으로 개발된 우리별 3호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인공위성 연구센터에서 1호와 2호의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독자적으로 설계한 최초의 것일 뿐만 아니라, 성능면에서도 다른 나라의 동급 소형위성과 비교하더라도 전혀 손색이 없다고 평가되고 있다.
우리별 3호는 1992년 8월 우리별 1호의 발사와 더불어 한국과학기술원 인공위성 연구센터에 설치된 우리별지상국에서 송신하는 각종 명령이나 프로그램에 의해 조정된다. 지상국에서는 또 우리별 3호로부터 수신된 원격검침정보를 통해 위성의 상태를 점검하고, 탑재체로부터 측정된 실험자료를 수신하여 저장, 처리, 관리함으로써 자료를 필요로 하는 연구자들에게 공급하고 있다.
-아리랑 1호-
1999년 12월 21일 미국의 오비탈사이언스가 제작한 토러스로켓에 실려 미국 캘리포니아주에 있는 반덴버그공군기지에서 발사되었다. 음속의 20배가 넘는 속도로 움직이는 아리랑 1호가 지구를 한 바퀴 도는 데 걸리는 시간은 98분이다. 지상 685㎞의 상공을 돌며 동서 15㎞ 폭을 남북방향으로 관측하며, 한반도와 그 주변부에 대한 전자지도 제작해양관측우주환경 관측 등 3가지의 주요 임무를 수행한다.
이 과정에서 1초에 2회씩 촬영을 하며 하루 120장의 사진을 대덕단지에 있는 지상국으로 보낸다. 정부는 1994년부터 다목적 실용위성 아리랑 1호 개발을 위하여 모두 2241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하였다. 위성 본체는 대덕연구단지에 있는 한국항공우주연구소에서 제작되었다. 여기에는 한국항공우주연구소를 비롯하여 한국과학기술원(KAIST)한국전자통신연구소 등 연구소와 대한항공삼성항공현대우주항공대우중공업 등 국내 7개 기업이 참여하였다. 아리랑 1호에는 주카메라인 해상도 6.6m의 전자광학탑재체(EOC) 외에 해양관측용인 저해상도 카메라도 장착되어 있다.
이 밖에 이온층측정기(IMS)와 고에너지입자검출기(HEPD)는 각각 통신가능한 주파수대를 예측하고, 방사선이 위성의 부품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는 데도 활용된다. 정부는 아리랑 1호의 운용을 2002년에 끝내고 2003년에는 첩보위성에 맞먹는 해상도 1m의 아리랑 2호를 쏘아올릴 계획이다.
-우리별 3호-
우리별 1호, 우리별 2호에 이어 1999년 5월 26일 발사되었다. 발사체는 PSLV-C2이며 크기는 495x604x852mm, 무게 110kg로서, 730km 고도의 원형 태양동기궤도를 선회한다. 자세제어방식은 3축 안정화 방식으로 자기토커에 의해 제어가 이루어지며, 지향정확도는 0.5도 이내, 최대공급전력은 180W이다. 원격탐사용 15m급 해상도와 3채널의 선형 CCD(change coupled device) 카메라 및 방사능영향측정기, 고에너지입자검출기, 정밀지구자기장측정기, 전자온도측정기 등이 탑재되어 있다.
3축 자세제어, 공통버스 구조, 전개식 태양전지판, 고속데이터전송장치 등 소형 인공위성에 기반이 되는 핵심 기술을 우주에서 실험할 목적으로 개발된 우리별 3호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인공위성 연구센터에서 1호와 2호의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독자적으로 설계한 최초의 것일 뿐만 아니라, 성능면에서도 다른 나라의 동급 소형위성과 비교하더라도 전혀 손색이 없다고 평가되고 있다.
우리별 3호는 1992년 8월 우리별 1호의 발사와 더불어 한국과학기술원 인공위성 연구센터에 설치된 우리별지상국에서 송신하는 각종 명령이나 프로그램에 의해 조정된다. 지상국에서는 또 우리별 3호로부터 수신된 원격검침정보를 통해 위성의 상태를 점검하고, 탑재체로부터 측정된 실험자료를 수신하여 저장, 처리, 관리함으로써 자료를 필요로 하는 연구자들에게 공급하고 있다.
-아리랑 1호-
1999년 12월 21일 미국의 오비탈사이언스가 제작한 토러스로켓에 실려 미국 캘리포니아주에 있는 반덴버그공군기지에서 발사되었다. 음속의 20배가 넘는 속도로 움직이는 아리랑 1호가 지구를 한 바퀴 도는 데 걸리는 시간은 98분이다. 지상 685㎞의 상공을 돌며 동서 15㎞ 폭을 남북방향으로 관측하며, 한반도와 그 주변부에 대한 전자지도 제작해양관측우주환경 관측 등 3가지의 주요 임무를 수행한다.
이 과정에서 1초에 2회씩 촬영을 하며 하루 120장의 사진을 대덕단지에 있는 지상국으로 보낸다. 정부는 1994년부터 다목적 실용위성 아리랑 1호 개발을 위하여 모두 2241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하였다. 위성 본체는 대덕연구단지에 있는 한국항공우주연구소에서 제작되었다. 여기에는 한국항공우주연구소를 비롯하여 한국과학기술원(KAIST)한국전자통신연구소 등 연구소와 대한항공삼성항공현대우주항공대우중공업 등 국내 7개 기업이 참여하였다. 아리랑 1호에는 주카메라인 해상도 6.6m의 전자광학탑재체(EOC) 외에 해양관측용인 저해상도 카메라도 장착되어 있다.
이 밖에 이온층측정기(IMS)와 고에너지입자검출기(HEPD)는 각각 통신가능한 주파수대를 예측하고, 방사선이 위성의 부품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는 데도 활용된다. 정부는 아리랑 1호의 운용을 2002년에 끝내고 2003년에는 첩보위성에 맞먹는 해상도 1m의 아리랑 2호를 쏘아올릴 계획이다.
추천자료
우리나라입양기관의 현황과 해외입양의 문제점을 찾아내고,문제에 대한 대책방안을기술.
우리나라 청소년 복지의 특성을 역사적 배경에 비추어 기술하고 앞으로 청소년 복지의 방향성...
우리나라 청소년 복지의 특성을 역사적 배경에 비추어 기술하고 앞으로 청소년 복지의 방향성...
우리나라 전자무역의 확산에 장애가 되는 요인들은 무엇인지 자신의 의견을 기술.
우리나라 대표적 기업가 3인을 선정하고 그 기업가의 리더십 특성을 기술.
우리나라가 IT 강국이 된 동인을 조사하고, IT로 인한 우리생활의 긍정적인 변화와 부정적인 ...
우리나라 사회복지관의 역사와 배경을 설명하고, 현재 우리나라 사회복지관의 주요 이슈는 무...
우리나라의 평가인증제도에 대하여 설명하고 장단점 및 개선방향에 대해 기술하시오.
우리나라의 평가인증제도에 대하여 설명하고 장단점 및 개선방향에 대해 기술 [평가인증제]
우리나라 사회복지관의 역사와 배경을 설명하고, 현재 우리나라 사회복지관의 주요이슈는 무...
[보육교사론] 우리나라의 저출산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 이루어지고 있는 국내 방안들을 설명...
영유아발달]누리과정의 역사적 의의와 더불어 교육과정으로서의 우리나라 보육, 유아교육에 ...
[사회복지정책론]사회복지정책발달이론(음모이론, 확산이론 등) 중 하나를 선택하여 기술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