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MOTOROLA (2007년~2008년의 사례를 중심으로)
1-1. Research
1-2. Planning
1-3. Communication
1-4. Evaluation
2. LG CYON (2009년 사례를 중심으로)
2-1. Research
2-2. Planning
2-3. Communication
2-4. Evaluation
3. 보도사진 분석
4. 보도사진 작성
1-1. Research
1-2. Planning
1-3. Communication
1-4. Evaluation
2. LG CYON (2009년 사례를 중심으로)
2-1. Research
2-2. Planning
2-3. Communication
2-4. Evaluation
3. 보도사진 분석
4. 보도사진 작성
본문내용
는 애칭으로 동그란 키패드 부분과 흡사하고, 이 제품이 1723세대들의 톡톡 튀고 싶은 감성을 대변한다는 의미에서 선정됐다. 싸이언은 \'롤리팝 마케팅\'으로 1+1 마케팅을 시도했다. 스타와 스타급 신인 여기에 상품광고를 결합해 가요계와 광고계에서 동시에 흥행을 일으켰다. 빅뱅이라는 스타와 스타급 신인인 2NE1, 그리고 상품인 롤리팝을 한데로 묶어 롤리팝이란 타이틀의 뮤직비디오와 광고를 동시에 진행시켰다. 이는 롤리팝의 주요 타켓층인 17-23세가 대중음악과 트렌드에 민감함을 겨냥한 것으로 개성과 스타일을 드러내는 휴대폰에 17-23세이라는 주요 타켓, 즉 학생들에게 어필할 수 있는 기능들을 첨가하고 광고에서 그것을 강조하였다. 물론 이 \'강조\'라는 것이 타켓이 높은 호감을 가지고 있는 빅뱅이란 그룹과 호기심을 자극하는 대형신인 2NE1을 통한 것이었다. 이로써 음악과 광고를 아우르는 복합적 문화상품 \'롤리팝\'이 등장한 것이다.
2-4. Evaluation
이와 같은 싸이언의 세그먼트 마케팅은 적중했고 판매량으로 증명되었다. 3월말에 출시한 롤리팝폰은 출시 3주 만에 누적 8만대와 일 최대 개통대수 3,500대를 넘어서며 히트폰 반열에 올랐다. 특히, 롤리팝폰 구매자 분석 결과 10대 구매자가 50%에 이르고, 20대까지 포함해 86%에 육박한다는 결과로 보았을 때 싸이언의 전략은 효과적이었다고 판단된다. 또한 롤리팝 마케팅의 효과는 광고를 넘어 대형신인 2NE1의 인지도를 빠르게 상승시켰고 이에 각종 가요 차트에서 1위를 석권했다. 광고를 통해 상품을 홍보하고 다른 산업분야에서까지 시너지효과를 본 좋은 홍보사례였다 생각한다.
3. 보도사진 분석
위 보도사진들의 공통된 면은 우선 여성모델이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이 모델들은 거물급스타가 아닌 일반인과 흡사한 분위기의 모델들이다. 모두 제품을 강조하려는 손동작을 하고 있으며 미소로 호감을 높이려 하고 있다. 개인적으로 보도사진들이 모두 여성을 모델화하고 있다는 것을 지적하고 싶다. 특히 여성들에게서 어느 정도 성적으로 어필하려는 분위기가 느껴진다. 모두 제품이 전자기기(휴대폰)인데 제품들에 대한 여성의 구매도가 낮은 것이 아닌데도 불구하고 보도사진을 너무 남성위주로 작성했다는 느낌을 받았고 여성이 보았을 때 호감도가 생기지 않을 것 같다.
각각에 휴대폰에는 타켓층이 세분화 되어 있다. 이 타켓층에 해당하는 호감적 외모를 지닌 인물을 선정하여 기기를 다루며 즐거워하는 모습을 보도사진으로 이용한다면 소비자에게 제품에 대한 인지도를 높일 수 있고 타켓과 마케팅의 방향이 분명히 드러나지 않을까한다.
4. 보도사진 작성
LG CYON의 ARENA폰이다. 아레나의 주 타켓층은 터치라는 휴대폰 트렌드에 민감하고 음악, 영상 등의 다양한 기능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23세-32세라고 할 수 있다. 주 타켓층을 실제 보도 사진의 주인공으로 세워 아레나를 이용하며 즐기는 모습을 보도사진으로 삼았다. 이는 보도사진을 보는 이로 하여금 \'부러움\'과 \'공감\'의 감정을 끌어낼 수 있다고 생각된다.
2-4. Evaluation
이와 같은 싸이언의 세그먼트 마케팅은 적중했고 판매량으로 증명되었다. 3월말에 출시한 롤리팝폰은 출시 3주 만에 누적 8만대와 일 최대 개통대수 3,500대를 넘어서며 히트폰 반열에 올랐다. 특히, 롤리팝폰 구매자 분석 결과 10대 구매자가 50%에 이르고, 20대까지 포함해 86%에 육박한다는 결과로 보았을 때 싸이언의 전략은 효과적이었다고 판단된다. 또한 롤리팝 마케팅의 효과는 광고를 넘어 대형신인 2NE1의 인지도를 빠르게 상승시켰고 이에 각종 가요 차트에서 1위를 석권했다. 광고를 통해 상품을 홍보하고 다른 산업분야에서까지 시너지효과를 본 좋은 홍보사례였다 생각한다.
3. 보도사진 분석
위 보도사진들의 공통된 면은 우선 여성모델이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이 모델들은 거물급스타가 아닌 일반인과 흡사한 분위기의 모델들이다. 모두 제품을 강조하려는 손동작을 하고 있으며 미소로 호감을 높이려 하고 있다. 개인적으로 보도사진들이 모두 여성을 모델화하고 있다는 것을 지적하고 싶다. 특히 여성들에게서 어느 정도 성적으로 어필하려는 분위기가 느껴진다. 모두 제품이 전자기기(휴대폰)인데 제품들에 대한 여성의 구매도가 낮은 것이 아닌데도 불구하고 보도사진을 너무 남성위주로 작성했다는 느낌을 받았고 여성이 보았을 때 호감도가 생기지 않을 것 같다.
각각에 휴대폰에는 타켓층이 세분화 되어 있다. 이 타켓층에 해당하는 호감적 외모를 지닌 인물을 선정하여 기기를 다루며 즐거워하는 모습을 보도사진으로 이용한다면 소비자에게 제품에 대한 인지도를 높일 수 있고 타켓과 마케팅의 방향이 분명히 드러나지 않을까한다.
4. 보도사진 작성
LG CYON의 ARENA폰이다. 아레나의 주 타켓층은 터치라는 휴대폰 트렌드에 민감하고 음악, 영상 등의 다양한 기능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23세-32세라고 할 수 있다. 주 타켓층을 실제 보도 사진의 주인공으로 세워 아레나를 이용하며 즐기는 모습을 보도사진으로 삼았다. 이는 보도사진을 보는 이로 하여금 \'부러움\'과 \'공감\'의 감정을 끌어낼 수 있다고 생각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