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목차
서론
본론
1. 약물남용의 정의 및 진단 기준
2. 약물의 종류와 특성
3. 약물남용의 특징
4. 약물남용의 원인
5. 약물남용 동기유형
6. 약물남용의 발생과정
7. 청소년 약물남용 실태
8. 청소년 약물중독의 실천과제
9. 대표적인 약물
청소년과 카페인
청소년 음주(알코올)
청소년 흡연(니코틴)
결론
본론
1. 약물남용의 정의 및 진단 기준
2. 약물의 종류와 특성
3. 약물남용의 특징
4. 약물남용의 원인
5. 약물남용 동기유형
6. 약물남용의 발생과정
7. 청소년 약물남용 실태
8. 청소년 약물중독의 실천과제
9. 대표적인 약물
청소년과 카페인
청소년 음주(알코올)
청소년 흡연(니코틴)
결론
본문내용
청소년 활동이 교과 외의 활동으로서 학교 안에서 이루어진다면 좀 더 많은 청소년들이 다양한 활동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세 번째로, 사회적 측면에서는 청소년들이 흡연을 유도하게끔 하게 되는 사회적 분위기를 바꾸는 것이 중요하다. 주위에 담배를 피우는 사람들이 많아 담배에 노출될 기회가 너무나 많기 때문에 가정에서의 부모님, 학교에서의 선생님 뿐만 아니라 길에서 수많은 사람들이 담배를 피우며 걸어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분위기가 청소년들의 흡연을 자연스럽고 당연하고 따라 하고 싶은 것으로 만들고 있기 때문에 사회 전체적으로 미래의 주인공이라고 얘기되어지는 청소년들의 육성을 위해서 청소년흡연에 대한 위험성에 대해서 지각하므로 협력해야 할 것이다. 그렇게 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모두가 청소년들에 대한 관심을 갖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또한, 청소년들의 흡연에 대한 대책에 있어서 청소년들에 대한 조금의 책임감도 주어지지 않기 때문에 더 아무런 의식 없이 피우게 되는 것 같다. 청소년들의 미래를 생각해서 수위를 잘 조절해야겠지만, 피우는 것이 안 좋은 것이라는 것을 인식시켜 주어야 할 것이며, 봉사활동과 같은 활동을 통해서 아이들의 흡연을 줄여나가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Ⅲ. 결론
전통적으로 우리나라에서 약물남용자에 대한 대응은 여타의 범죄행위에 대한 같은 전략으로서 사회방위에 중심을 두고 단속과 험한 처벌을 통한 사전억제에 초점이 맞추어져 왔다. 이는 약물남용자를 대부분 교정시설에 구금하거나 극히, 제한된 소수의 중독자에게만 치료감호소와 같은 처우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을 뿐이다.
이것은 청소년의 약물남용에 예방이 필요하다는 것에 사회적 동의가 있다고 하더라도 그 문재는 국가교정정책에서 큰 의미를 갖지 못하였고 이는 사회적인 측면에서 대다수의 약물 남용청소년들은 방치되어 있으며 국가교정시설에 구금된 약물남용청소년들에 대하여도 중독 상황을 억제하고 치료할 수 있는 치료프로그램들 보다는 정신교육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등 거의 전무하다. 따라서 청소년 약물남용에 따른 치료방식은 다양하지 못하고, 퇴원 후 환자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가정, 학교에서의 예방 전략과 교정시설에서의 치료전략에 맞추어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대응책들이 모색되어야 한다.
본 조사를 통해 우리 조원들은 청소년 약물남용 의존성이 특히 심각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왜 청소년이 이토록 손쉽게 약물에 빠져 들게 되고 그 후 그들 스스로의 행동이나 의식자체가 자신 스스로를 나태하고 아니한 존재로 인식한다는 점이 가슴에 와 닿았다.
정말 처음이 중요한 것 같다. 호기심에 또는 또래 집단과 어울리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여겨 아무렇지 않게 시작하고 그것이 습관화되고 그 습관에 의존하게 돼 더 이상 그만 두고 싶어도 그만 둘 수 없게 되어버리는 지경에까지 와 닿으면서 청소년시기에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신체적, 정신적 성장과 건강이 너무 소홀해진다는 것이다.
이는 그들 개개인의 문제가 아닌 나아가 전반적인 사회의 문제로까지 접근하게 된다.
약물남용 후 나태해지는 정신과 그 정신이 밑바탕 된 제 2의 범죄 역시 어찌 해야 할지를 넋 놓고 보아야만 하는 것이 우리현실이다.
각각의 대응책은 청소년 쉼터나 치료소 같은 곳에서 이루어지지만 그곳에 나와 다시 손쉽게 접할 수 있게 되는 우리 현 시점에서 보다 폭 넓고 전폭적인 제도와 지지가 무엇보다 필요 하겠다. 또한 청소년 약물남용이 결코 청소년 그들만의 문제가 아니다.
그동안의 우리는 청소년들에게 좋은 친구이자 길잡이가 되어 그들이 직면해있는 문제들에 보다 깊이 접근을 모색하지 못했다. 우리조원은 이러한 과정에서 그동안 가져왔던 커다란 편견을 깰 수 있었다. ‘약물남용 청소년 = 문제아’란 편견과 낙인에서의 탈피와 그들의 문제를 함께 고민하고 원시적으로 이해하는 일차적 시발점과 사회적으로의 책임의식의 필요성이다. 청소년기 약물남용에 대한 사회전반의 인식이 보다 향상되고 실천 가능한 예방책과 대응책들이 더욱 적극적이고 절실히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자료>
오오키 고오스케(1991). 마약 뇌 문명
진태원(1996). 청소년의 약물남용
이윤로(1997). 청소년 약물남용의 원인과 치료. 서울 : 문음사
최영(1999). 청소년의 약물 오남용과 대책. 전만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 교실
박수연(2000). 청소년 음주행위와 관련된 변인분석.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논문
이정림(2001). 도시농촌지역 청소년의 음주와 부모요인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
원 논문
소아정신의학(2001). 청소년과 아동의 물질남용
김용순(2002). 청소년 음주 행위와 관련 요인 분석.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논문
안현석(2002). 청소년 약물남용과 예방 및 치료전략. 청소년 정책연구
이윤정(2002). 가정환경 및 또래집단이 중학생 음주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논문
홍봉선 외(2002). 청소년복지론
한국소비자보호원 식의약 안전팀(2002). 초중학생의 카페인 함유 음료 섭취실태 조사
유정숙(2003). 청소년 음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과 사회복지서비스 방안.
대구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논문
주왕기(2003). 약물과 사회 그리고 인간행동
문화관광부(2003). 청소년백서
장재홍 양미진(2004). 청소년의 세계와 상담. 한국청소년상담원
월드비전(2004). 하나 되는 몸짓, 아름다운 어울림. 청소년 테마캠프
충청북도 교육청 청주시청소년수련관(2004). 흡연 음주 예방교육 프로그램.
민성길(2005). 최신정신의학
강병호(2006). 청소년 금연프로그램 사례연구. 중앙대 대학원
이윤정(2007). 청소년 흡연실태와 예방에 관한 연구. 초당대학교 산업대학원
보건복지가족부(2009). 2008년도 청소년 유해환경 접촉 종합실태조사
청소년보호위원회
http://healthy1318.cdc.go.kr/
http://bacchus.or.kr/home/
SBS 스페셜 다큐-11월 28일. 하얀 연기의 재앙 2부. 담배, 청소년의 미래를 태우다
세 번째로, 사회적 측면에서는 청소년들이 흡연을 유도하게끔 하게 되는 사회적 분위기를 바꾸는 것이 중요하다. 주위에 담배를 피우는 사람들이 많아 담배에 노출될 기회가 너무나 많기 때문에 가정에서의 부모님, 학교에서의 선생님 뿐만 아니라 길에서 수많은 사람들이 담배를 피우며 걸어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분위기가 청소년들의 흡연을 자연스럽고 당연하고 따라 하고 싶은 것으로 만들고 있기 때문에 사회 전체적으로 미래의 주인공이라고 얘기되어지는 청소년들의 육성을 위해서 청소년흡연에 대한 위험성에 대해서 지각하므로 협력해야 할 것이다. 그렇게 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모두가 청소년들에 대한 관심을 갖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또한, 청소년들의 흡연에 대한 대책에 있어서 청소년들에 대한 조금의 책임감도 주어지지 않기 때문에 더 아무런 의식 없이 피우게 되는 것 같다. 청소년들의 미래를 생각해서 수위를 잘 조절해야겠지만, 피우는 것이 안 좋은 것이라는 것을 인식시켜 주어야 할 것이며, 봉사활동과 같은 활동을 통해서 아이들의 흡연을 줄여나가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Ⅲ. 결론
전통적으로 우리나라에서 약물남용자에 대한 대응은 여타의 범죄행위에 대한 같은 전략으로서 사회방위에 중심을 두고 단속과 험한 처벌을 통한 사전억제에 초점이 맞추어져 왔다. 이는 약물남용자를 대부분 교정시설에 구금하거나 극히, 제한된 소수의 중독자에게만 치료감호소와 같은 처우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을 뿐이다.
이것은 청소년의 약물남용에 예방이 필요하다는 것에 사회적 동의가 있다고 하더라도 그 문재는 국가교정정책에서 큰 의미를 갖지 못하였고 이는 사회적인 측면에서 대다수의 약물 남용청소년들은 방치되어 있으며 국가교정시설에 구금된 약물남용청소년들에 대하여도 중독 상황을 억제하고 치료할 수 있는 치료프로그램들 보다는 정신교육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등 거의 전무하다. 따라서 청소년 약물남용에 따른 치료방식은 다양하지 못하고, 퇴원 후 환자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가정, 학교에서의 예방 전략과 교정시설에서의 치료전략에 맞추어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대응책들이 모색되어야 한다.
본 조사를 통해 우리 조원들은 청소년 약물남용 의존성이 특히 심각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왜 청소년이 이토록 손쉽게 약물에 빠져 들게 되고 그 후 그들 스스로의 행동이나 의식자체가 자신 스스로를 나태하고 아니한 존재로 인식한다는 점이 가슴에 와 닿았다.
정말 처음이 중요한 것 같다. 호기심에 또는 또래 집단과 어울리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여겨 아무렇지 않게 시작하고 그것이 습관화되고 그 습관에 의존하게 돼 더 이상 그만 두고 싶어도 그만 둘 수 없게 되어버리는 지경에까지 와 닿으면서 청소년시기에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신체적, 정신적 성장과 건강이 너무 소홀해진다는 것이다.
이는 그들 개개인의 문제가 아닌 나아가 전반적인 사회의 문제로까지 접근하게 된다.
약물남용 후 나태해지는 정신과 그 정신이 밑바탕 된 제 2의 범죄 역시 어찌 해야 할지를 넋 놓고 보아야만 하는 것이 우리현실이다.
각각의 대응책은 청소년 쉼터나 치료소 같은 곳에서 이루어지지만 그곳에 나와 다시 손쉽게 접할 수 있게 되는 우리 현 시점에서 보다 폭 넓고 전폭적인 제도와 지지가 무엇보다 필요 하겠다. 또한 청소년 약물남용이 결코 청소년 그들만의 문제가 아니다.
그동안의 우리는 청소년들에게 좋은 친구이자 길잡이가 되어 그들이 직면해있는 문제들에 보다 깊이 접근을 모색하지 못했다. 우리조원은 이러한 과정에서 그동안 가져왔던 커다란 편견을 깰 수 있었다. ‘약물남용 청소년 = 문제아’란 편견과 낙인에서의 탈피와 그들의 문제를 함께 고민하고 원시적으로 이해하는 일차적 시발점과 사회적으로의 책임의식의 필요성이다. 청소년기 약물남용에 대한 사회전반의 인식이 보다 향상되고 실천 가능한 예방책과 대응책들이 더욱 적극적이고 절실히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자료>
오오키 고오스케(1991). 마약 뇌 문명
진태원(1996). 청소년의 약물남용
이윤로(1997). 청소년 약물남용의 원인과 치료. 서울 : 문음사
최영(1999). 청소년의 약물 오남용과 대책. 전만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 교실
박수연(2000). 청소년 음주행위와 관련된 변인분석.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논문
이정림(2001). 도시농촌지역 청소년의 음주와 부모요인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
원 논문
소아정신의학(2001). 청소년과 아동의 물질남용
김용순(2002). 청소년 음주 행위와 관련 요인 분석.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논문
안현석(2002). 청소년 약물남용과 예방 및 치료전략. 청소년 정책연구
이윤정(2002). 가정환경 및 또래집단이 중학생 음주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논문
홍봉선 외(2002). 청소년복지론
한국소비자보호원 식의약 안전팀(2002). 초중학생의 카페인 함유 음료 섭취실태 조사
유정숙(2003). 청소년 음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과 사회복지서비스 방안.
대구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논문
주왕기(2003). 약물과 사회 그리고 인간행동
문화관광부(2003). 청소년백서
장재홍 양미진(2004). 청소년의 세계와 상담. 한국청소년상담원
월드비전(2004). 하나 되는 몸짓, 아름다운 어울림. 청소년 테마캠프
충청북도 교육청 청주시청소년수련관(2004). 흡연 음주 예방교육 프로그램.
민성길(2005). 최신정신의학
강병호(2006). 청소년 금연프로그램 사례연구. 중앙대 대학원
이윤정(2007). 청소년 흡연실태와 예방에 관한 연구. 초당대학교 산업대학원
보건복지가족부(2009). 2008년도 청소년 유해환경 접촉 종합실태조사
청소년보호위원회
http://healthy1318.cdc.go.kr/
http://bacchus.or.kr/home/
SBS 스페셜 다큐-11월 28일. 하얀 연기의 재앙 2부. 담배, 청소년의 미래를 태우다
추천자료
청소년의 약물 남용
청소년의 남용되는 약물들의 종류와 특징
청소년의 약물 남용
청소년 물질(약물)남용 예방및 대처방안
2007 청소년 약물 남용에 관한 레포트
청소년 문제행동 대응 방법 연구(청소년 가출 및 약물 남용)
청소년 약물중독의 실태를 조명해 보고 외국의 약물중독이나 오남용의 문제를 방지하기 대책...
청소년 약물 남용 사례조사
청소년 약물 남용 실태와 대책
★평가우수자료★[청소년과 약물 남용] 청소년 약물 남용 특징, 청소년 약물 남용 원인, 청소년...
★추천레포트★[청소년과 약물 남용] 청소년 약물 남용 특징, 청소년 약물 남용 원인, 청소년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