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여론조사의 역사
Ⅱ. 주요 여론 조사 기관
1. (주)리서치 앤 리서치(R&R)
2. 한국 리서치(Hankook Research)
3. 닐슨 미디어 리서치(Nielson Media Research)
4. TNS Korea
5. 갤럽
Ⅲ. 기타 여론조사 기관
Ⅳ. 여론조사의 변화
Ⅴ. 여론조사의 문제점
Ⅱ. 주요 여론 조사 기관
1. (주)리서치 앤 리서치(R&R)
2. 한국 리서치(Hankook Research)
3. 닐슨 미디어 리서치(Nielson Media Research)
4. TNS Korea
5. 갤럽
Ⅲ. 기타 여론조사 기관
Ⅳ. 여론조사의 변화
Ⅴ. 여론조사의 문제점
본문내용
는 50개국이며, 80여개국에 조사를 실시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보유
(7) 특수조사 프로그램
- 국내에선 유일하게 한국갤럽만이 보유하고 있는 특수 조사프로그램으로 단독조사(Ad-hoc Survey)와 달리 여러 기업이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는 조사형태
① 옴니버스 조사(Omnibus Survey)
- 국내에서 한국갤럽만이 운영하고 있는 조사프로그램
- 하나의 조사에 여러 고객이 함께 참여하여 질문개수별로 조사비용을 부담하는 조사형태
- 현재 성인옴니버스, 여성옴니버스, 주부옴니버스, 청소년옴니버스 이렇게 4개유형의 옴니버스 조사를 운영
. 옴니버스 조사의 장점
ⅰ) 저렴한 비용으로 전국조사가 가능
ⅱ) 신속한 조사
- 현재 매달 정기적으로 조사가 시작되기 때문에 조사 착수일로부터 3주후 조사결과(Crosstabulation)를 받아 본다고 한다
ⅲ) 신뢰성있는 조사
- 조사지역이 전국이기 때문에 수치가 바로 전국의 실상을 그대로 반영되고 조사의 전과정을 갤럽의 표준조사방법에 따라 진행되어 신뢰도가 높다
ⅳ) 시장변화의 추세비교(Tracking Study)가 가능
- 매월 1회 실시되는 성인 옴니버스조사와 분기별로 운영되는 여성, 주부, 청소년옴니버스를 정기적으로 이용할 경우, 핵심 마케팅지표에 대한 추적 시스템(Tracking System)을 도입효과가 있다
ⅴ) Target 소비자를 찾아간다
- 97년 고객의 요구에 부응하여 목표집단(Target Group)을 각각 여성, 주부, 청소년으로 하는 옴니버스조사를 개발
ⅵ) 조사결과의 비밀과 독립성이 보장
- 옴니버스 조사에는 여러 기관이나 기업이 참가하지만, 각각의 조사결과는 해당 고객에게만 제출되기 때문에 비밀이 보장
- 실사만 공동으로 진행할 뿐 질문의 개발, 분석 및 보고서 작성 등은 각각 독립적으로 진행하므로 각 조사의 독립성이 보장
② 신디케이트 조사(Syndicated Survey)
- 기존의 단독조사(Ad-hoc Survey)와는 달리 Marketing에 필요한 핵심정보를 독자적으로 조사하여 이를 여러 기업이 공동으로 이용하도록 하는 형식
. 신디케이트 조사의 종류 3가지
- PC Index조사
- PC통신 Index조사
- Brandex조사
Ⅲ. 기타 여론조사 기관
- 여론조사의 전문기관이 아닌 일반 온라인상에서 누구나 이용 가능한 실시간 투표들을 가끔 접할 수 있다.
잡지사 사이트에서 영화에 대한 의견을 투표하기도 하고, 신문사 사이트에서 스포츠선수의 인기도를 실시간 투표하기도 한다.
다음은 FILM2.0 주간지 사이트의 사례이다.
→ 질문에 대한 답변을 객관식으로 투표하여 결과를 즉각적으로 볼 수 있는데 이렇게 전문적인 기관이 아니더라도 어느곳에서든 가능하다. 또한 이런 실시간 온라인 투표를 통해 자사 잡지나 신문지상에 거기에 대한 결과를 자세히 지켜 볼 수 있다.
Ⅳ. 여론조사의 변화
. 생활의 발견
- 휴대폰 여론조사가 새로 급부상하고 있다. 현대인들의 필수품인 휴대폰으로 실시간 여론조사를 통해 즉각적인 반응을 볼 수 있는데, 그 점을 잘 활용해서 점차 더 가까운 곳에서 손쉽게 참여하고 정확한 참여자의 여론조사를 뽑아낼 수 있다.
. 휴대폰의 효과와 특성
- 전체 성인의 90%가 휴대폰을 보유하고 있고 휴대폰을 이용하면 가정에서 뿐 아니라 바깥에서도 개인적인 정보를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다. 또한 설문 시작 후 1∼2시간이면 산출 결과를 받을 수 있다는 신속성도 있다
- 모바일 여론조사가 소비자의 변덕스런 욕구를 수치로 보여주는데 적합해서이다.
Ⅴ. 여론조사의 문제점
- 이번 총선에서 보여준 사례로 문제를 짚어 보고자 한다
① 잘못된 방송예측의 사례
. 96년 15대 총선예측 - 원내 1당의 과반수 의석 확보 여부를 잘못조사
. 00년 16대 총선예측 - 1,2당의 순서가 뒤바뀌는 오류
. 04년 17대 총선예측 - 1당인 열린우리당의 과반수 의석 확보는 예측했지만 1당과 2당의 의석수의 오차 한계범위를 넘어서 예측
② 각 방송국의 예측 범위
. MBC - 열린우리당의 과반수 확보, 한나라당의 개헌저지선도 확정적
. SBS - 열린우리당의 과반수 확보는 확정적, 한나라당 개헌저지선 확보는 불투명
. KBS - 열린우리당의 과반수 확보나 한나라당의 개헌저지선 확보 모두 불투명
(각 방송사가 예측을 토대로 재조정한 수치로 보임)
③ 예측범위를 벗어난 현실
- 한나라당의 개헌저지선 확보는 확실하고 열린우리당의 과반 의석 확보는 유동적이라는 예측이 가장 실제에 접근한 것으로 보였으나 3개 방송사 모두 예측의 기조부터 흔들렸으며, 지역구 의석도 큰 오차를 보여 방송 3사의 예측은 많이 빗나갔다
④ 오차범위의 문제점
. 방송사에선 오차범위를 4.7%∼15.4%로 보았는데 1당과 2당의 의석수 차를 적게는 54석에서 많게는 68석으로 예상
→ 실제의석수 차이 31석에 비해 23∼37석이나 벗어남
. 각 방송사별 정당별 득표비율의 전망
MBC는 열린우리당 37∼43%(21∼23석), 한나라당 31∼35%(18∼20석), KBS는 각각 41.4%(24석), 33.8%(19석)을 전망
→ 열린우리당과 한나라당 정당 득표비율 38.3%(23석), 35.8%(21석)일떠 한나라당의 비례대표 의석수를 오차범위 내에서 맞춘 방송사는 없었음
⑤ 해명방송
- 모든 예측이 오차범위를 넘어도 개표 중계방송중 해명의 노력이 없었고 예측이 빗나간 상황에서 95% 신뢰구간에 표본오차가 ±1.9%에 불과하다는 보도를 함
⑥ 방송사의 신빙성
- 대처없이 준비한 각 방송사에서 준비하는 여론조사의 신빙성의 의심만 증폭
⑦ penciling
- 예측이 어려웠어도 같은 기관에 조사를 의뢰한 KBS와 SBS의 예측의 괴리가 큰 것은 조사 결과를 연필로 고치는 조정(penciling)을 했음을 의미
⑧ 17대 총선 예측결과의 최대 문제점
- 무엇이 오류를 발생하게 했는지를 밝히지 않았다는 점이 방송사가 주관하는 다른 여론조사의 신뢰성까지 불신하게 만들었음
⑨ 문제 해결방안
- 각종 예측 방송이 국민의 신뢰를 얻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함
- 시청자들에게 알 권리보다는 정확한 정보, 즉 정확성을 요구하고 있다는 걸 인식해야함
(7) 특수조사 프로그램
- 국내에선 유일하게 한국갤럽만이 보유하고 있는 특수 조사프로그램으로 단독조사(Ad-hoc Survey)와 달리 여러 기업이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는 조사형태
① 옴니버스 조사(Omnibus Survey)
- 국내에서 한국갤럽만이 운영하고 있는 조사프로그램
- 하나의 조사에 여러 고객이 함께 참여하여 질문개수별로 조사비용을 부담하는 조사형태
- 현재 성인옴니버스, 여성옴니버스, 주부옴니버스, 청소년옴니버스 이렇게 4개유형의 옴니버스 조사를 운영
. 옴니버스 조사의 장점
ⅰ) 저렴한 비용으로 전국조사가 가능
ⅱ) 신속한 조사
- 현재 매달 정기적으로 조사가 시작되기 때문에 조사 착수일로부터 3주후 조사결과(Crosstabulation)를 받아 본다고 한다
ⅲ) 신뢰성있는 조사
- 조사지역이 전국이기 때문에 수치가 바로 전국의 실상을 그대로 반영되고 조사의 전과정을 갤럽의 표준조사방법에 따라 진행되어 신뢰도가 높다
ⅳ) 시장변화의 추세비교(Tracking Study)가 가능
- 매월 1회 실시되는 성인 옴니버스조사와 분기별로 운영되는 여성, 주부, 청소년옴니버스를 정기적으로 이용할 경우, 핵심 마케팅지표에 대한 추적 시스템(Tracking System)을 도입효과가 있다
ⅴ) Target 소비자를 찾아간다
- 97년 고객의 요구에 부응하여 목표집단(Target Group)을 각각 여성, 주부, 청소년으로 하는 옴니버스조사를 개발
ⅵ) 조사결과의 비밀과 독립성이 보장
- 옴니버스 조사에는 여러 기관이나 기업이 참가하지만, 각각의 조사결과는 해당 고객에게만 제출되기 때문에 비밀이 보장
- 실사만 공동으로 진행할 뿐 질문의 개발, 분석 및 보고서 작성 등은 각각 독립적으로 진행하므로 각 조사의 독립성이 보장
② 신디케이트 조사(Syndicated Survey)
- 기존의 단독조사(Ad-hoc Survey)와는 달리 Marketing에 필요한 핵심정보를 독자적으로 조사하여 이를 여러 기업이 공동으로 이용하도록 하는 형식
. 신디케이트 조사의 종류 3가지
- PC Index조사
- PC통신 Index조사
- Brandex조사
Ⅲ. 기타 여론조사 기관
- 여론조사의 전문기관이 아닌 일반 온라인상에서 누구나 이용 가능한 실시간 투표들을 가끔 접할 수 있다.
잡지사 사이트에서 영화에 대한 의견을 투표하기도 하고, 신문사 사이트에서 스포츠선수의 인기도를 실시간 투표하기도 한다.
다음은 FILM2.0 주간지 사이트의 사례이다.
→ 질문에 대한 답변을 객관식으로 투표하여 결과를 즉각적으로 볼 수 있는데 이렇게 전문적인 기관이 아니더라도 어느곳에서든 가능하다. 또한 이런 실시간 온라인 투표를 통해 자사 잡지나 신문지상에 거기에 대한 결과를 자세히 지켜 볼 수 있다.
Ⅳ. 여론조사의 변화
. 생활의 발견
- 휴대폰 여론조사가 새로 급부상하고 있다. 현대인들의 필수품인 휴대폰으로 실시간 여론조사를 통해 즉각적인 반응을 볼 수 있는데, 그 점을 잘 활용해서 점차 더 가까운 곳에서 손쉽게 참여하고 정확한 참여자의 여론조사를 뽑아낼 수 있다.
. 휴대폰의 효과와 특성
- 전체 성인의 90%가 휴대폰을 보유하고 있고 휴대폰을 이용하면 가정에서 뿐 아니라 바깥에서도 개인적인 정보를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다. 또한 설문 시작 후 1∼2시간이면 산출 결과를 받을 수 있다는 신속성도 있다
- 모바일 여론조사가 소비자의 변덕스런 욕구를 수치로 보여주는데 적합해서이다.
Ⅴ. 여론조사의 문제점
- 이번 총선에서 보여준 사례로 문제를 짚어 보고자 한다
① 잘못된 방송예측의 사례
. 96년 15대 총선예측 - 원내 1당의 과반수 의석 확보 여부를 잘못조사
. 00년 16대 총선예측 - 1,2당의 순서가 뒤바뀌는 오류
. 04년 17대 총선예측 - 1당인 열린우리당의 과반수 의석 확보는 예측했지만 1당과 2당의 의석수의 오차 한계범위를 넘어서 예측
② 각 방송국의 예측 범위
. MBC - 열린우리당의 과반수 확보, 한나라당의 개헌저지선도 확정적
. SBS - 열린우리당의 과반수 확보는 확정적, 한나라당 개헌저지선 확보는 불투명
. KBS - 열린우리당의 과반수 확보나 한나라당의 개헌저지선 확보 모두 불투명
(각 방송사가 예측을 토대로 재조정한 수치로 보임)
③ 예측범위를 벗어난 현실
- 한나라당의 개헌저지선 확보는 확실하고 열린우리당의 과반 의석 확보는 유동적이라는 예측이 가장 실제에 접근한 것으로 보였으나 3개 방송사 모두 예측의 기조부터 흔들렸으며, 지역구 의석도 큰 오차를 보여 방송 3사의 예측은 많이 빗나갔다
④ 오차범위의 문제점
. 방송사에선 오차범위를 4.7%∼15.4%로 보았는데 1당과 2당의 의석수 차를 적게는 54석에서 많게는 68석으로 예상
→ 실제의석수 차이 31석에 비해 23∼37석이나 벗어남
. 각 방송사별 정당별 득표비율의 전망
MBC는 열린우리당 37∼43%(21∼23석), 한나라당 31∼35%(18∼20석), KBS는 각각 41.4%(24석), 33.8%(19석)을 전망
→ 열린우리당과 한나라당 정당 득표비율 38.3%(23석), 35.8%(21석)일떠 한나라당의 비례대표 의석수를 오차범위 내에서 맞춘 방송사는 없었음
⑤ 해명방송
- 모든 예측이 오차범위를 넘어도 개표 중계방송중 해명의 노력이 없었고 예측이 빗나간 상황에서 95% 신뢰구간에 표본오차가 ±1.9%에 불과하다는 보도를 함
⑥ 방송사의 신빙성
- 대처없이 준비한 각 방송사에서 준비하는 여론조사의 신빙성의 의심만 증폭
⑦ penciling
- 예측이 어려웠어도 같은 기관에 조사를 의뢰한 KBS와 SBS의 예측의 괴리가 큰 것은 조사 결과를 연필로 고치는 조정(penciling)을 했음을 의미
⑧ 17대 총선 예측결과의 최대 문제점
- 무엇이 오류를 발생하게 했는지를 밝히지 않았다는 점이 방송사가 주관하는 다른 여론조사의 신뢰성까지 불신하게 만들었음
⑨ 문제 해결방안
- 각종 예측 방송이 국민의 신뢰를 얻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함
- 시청자들에게 알 권리보다는 정확한 정보, 즉 정확성을 요구하고 있다는 걸 인식해야함
키워드
추천자료
언론기관과 여론
치매, 치매노인가족의 서비스에 관한 조사 및 기관방문보고서
재가노인복지에 관한 조사 및 기관방문을 통한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 후 나아갈 방향을 제시...
시니어클럽에 관한 조사 및 기관방문보고서
자폐증에 관한 조사 및 기관방문보고서
사회복지 기관 실태 조사
평생교육기관 방문 조사보고
평생교육기관 방문 조사보고
사회복지기관에 관련된 인터넷을 검색 한 후 아동상담을 운영하는 기관을 찾아서 프로그램을 ...
아동복지 시설 중 학대 아동보호를 위한 아동보호 전문기관에 대해 조사해 보시오
[아동복지론] 빈곤아동들을 위한 사회복지기관의 서비스에 대해 조사해 보세요 [사회복지기관]
자성, 웅성의 생식기관에 대하여 조사
지역사회 내 복지소외계층 중 장년층 독거 남성(1인 세대) 현황과 주요문제, 욕구를 조사하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