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Learning issue
2. Learning issue를 채택하게 된 이유
3. A summary of the information about learning issue
4. Idea 검증
5. References
2. Learning issue를 채택하게 된 이유
3. A summary of the information about learning issue
4. Idea 검증
5. References
본문내용
nt)
과두를 근골격성 안정위에 위치시키고 수조작으로 힘을 가할 때 통증이 있으면 관절낭내 원인일 수 있다는 것을 의심해야함.
6) 기능검사(Functional manipulation)
통증을 유발하지 않는 기능적 수조작은 장애의 원인으로 근육장애를 배제할 수 있다.
7) 진단용 마취(Diagnostic anesthetic blockade)
앞의 6가지 과정이 관절장애와 근육장애를 감별 진단하는 데 확실한 도움이 되지 못한 환자는 진단용 마취를 사용할 수 있다.
4. Idea 검증
본인의 learning issue와 관련된 가설은 1)치과 치료시 장기간 개구로 인한 근육통의 만성화 2) 치과 치료시 장기간 개구로 인한 관절염의 악화 or 재발 이다. Panex상에서 관절면의 형태가 그리 정상적이지 못하고, 관절면의 상태도 의심이 되는 상황이기 때문에, 주어진 정보만으로는 환자의 증상이 근육통인지 관절염인지 판단을 하기에는 부족한 면이 있다. 가설에는 과두 - 원판 복합체의 장애와 관련된 것이 빠져있지만, 이에 관한 것도 감별진단 해야 할 것이다. 개구시 불편하고, 입이 잘 안벌어지는 증상이 있기 때문에 과두 - 원판 복합체의 장애를 완전히 rule-out하기는 힘들고, 보다 정확한 감별과 진단을 위해 위에서 제시한 7가지를 좀더 정확하게 얻어야 할 것이다.
5. References
Management of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s and occlusion, J. Okeson 저, 나래출판사, ch.10 측두하악장애의 진단 pp324-328, pp342-355.
과두를 근골격성 안정위에 위치시키고 수조작으로 힘을 가할 때 통증이 있으면 관절낭내 원인일 수 있다는 것을 의심해야함.
6) 기능검사(Functional manipulation)
통증을 유발하지 않는 기능적 수조작은 장애의 원인으로 근육장애를 배제할 수 있다.
7) 진단용 마취(Diagnostic anesthetic blockade)
앞의 6가지 과정이 관절장애와 근육장애를 감별 진단하는 데 확실한 도움이 되지 못한 환자는 진단용 마취를 사용할 수 있다.
4. Idea 검증
본인의 learning issue와 관련된 가설은 1)치과 치료시 장기간 개구로 인한 근육통의 만성화 2) 치과 치료시 장기간 개구로 인한 관절염의 악화 or 재발 이다. Panex상에서 관절면의 형태가 그리 정상적이지 못하고, 관절면의 상태도 의심이 되는 상황이기 때문에, 주어진 정보만으로는 환자의 증상이 근육통인지 관절염인지 판단을 하기에는 부족한 면이 있다. 가설에는 과두 - 원판 복합체의 장애와 관련된 것이 빠져있지만, 이에 관한 것도 감별진단 해야 할 것이다. 개구시 불편하고, 입이 잘 안벌어지는 증상이 있기 때문에 과두 - 원판 복합체의 장애를 완전히 rule-out하기는 힘들고, 보다 정확한 감별과 진단을 위해 위에서 제시한 7가지를 좀더 정확하게 얻어야 할 것이다.
5. References
Management of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s and occlusion, J. Okeson 저, 나래출판사, ch.10 측두하악장애의 진단 pp324-328, pp342-355.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