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건강가정의 개념
Ⅱ.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개요
1) 사업목적
2) 기본방향
Ⅲ.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사업 내용
Ⅳ. 건강가정지원센터의 현황
1)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설치현황
2) 지방건강가정지원센터 운영현황
3) 지방건강가정지원센터 사업 실적
Ⅴ. 건강가정사업 주체별 역할과 운영
1) 건강가정사업 주체별 역할
2)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운영
< 참고자료 >
Ⅱ.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개요
1) 사업목적
2) 기본방향
Ⅲ.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사업 내용
Ⅳ. 건강가정지원센터의 현황
1)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설치현황
2) 지방건강가정지원센터 운영현황
3) 지방건강가정지원센터 사업 실적
Ⅴ. 건강가정사업 주체별 역할과 운영
1) 건강가정사업 주체별 역할
2)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운영
< 참고자료 >
본문내용
문성 및 역량강화 교육
⑤ 시도 및 시군구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사업지원 및 평가
⑥ 통합정보시스템 관리운영
⑦ 관련기관 네트워크 구축 및 홍보사업
(4) 시도건강가정지원센터
① 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와 시군구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연계 역할
② 시도별 특성에 맞는 가족지원프로그램 개발보급
③ 시군구 건강가정지원센터 사업지원 및 관리
④ 시도 단위의 가족실태 조사 및 주민욕구조사
⑤ 시도 가족관련 정보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보급
⑥ 관할 시 · 도 단위 자체 평가, 전국단위 건강가정지원센터 평가 보조
※ 단, 당해 시도의 시군구에 건강가정지원센터(다기능화센터 포함)가 70% 이상 설치되어 있지 않은 시도에서는 시도 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도 시군구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기능을 수행해야 함.
(5) 시군구건강가정지원센터(독립형센터, 다기능화센터)
① 지역사회 내 가족구성원을 위한 1차적 가족지원서비스 제공
② 지역단위 가족생활 교육상담문화사업 실시
③ 지역사회 유관기관과의 연계를 통한 통합적 가족지원서비스 제공
④ 시군구 단위의 가족실태 조사 및 주민욕구조사
⑤ 지역사회 가족구성원을 위한 가족생활 관련 정보제공
2)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운영
(1) 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
① 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는 시도시군구 건강가정지원센터에 대한 총괄적인 업무지원 및 사업연계를 도모하여야 함
② 공통필수사업에 대한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매뉴얼에 대한 교육을 실시함
③ 별도의 공동협력 및 시범사업은 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 시범사업 운영을 희망한 시도 또는 시군구 건강가정지원센터를 선정하여 중앙센터와 지방 센터의 공동협력 방식으로 운영하도록 함
(2) 시도건강가정지원센터
① 시도 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는 시도의 특성에 맞는 가족지원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시군구 건강가정지원센터에 보급하며, 사업수행 후 반드시 사업별로 만족도를 조사하여야 하며 추후 사업운영에 반영하여야 함.
(3) 시군구건강가정지원센터
① A형(건강가정지원센터)
- 시군구 건강가정지원센터는 해당 지역 주민의 가족서비스 욕구조사결과 및 지역특성을 고려하여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함
- 시군구 건강가정지원센터는 공통필수사업을 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 개발 프로그램 또는 매뉴얼에 근거하여 지역 실정에 맞게 수행하여야 하며 공통필수사업 외에 지역사회 특성 및 수요에 맞는 사업을 추진하여 운영하도록 함
② B형(건강가정지원센터 + 한부모가족희망센터 통합형)
- 시군구 건강가정지원센터는 공통필수사업을 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 개발 프로그램 또는 매뉴얼에 근거하여 수행하여야 하며 공통필수사업 외에 지역사회 특성 및 수요에 맞는 사업을 추진하여 운영하도록 함
- 한부모가족 생활안정 지원 사업을 별도의 지침에 따라 수행하여야 함
< 참고자료 >
「2008 보건복지가족백서」보건복지부(2009)
「2010 건강가정지원센터 운영가이드북」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2010)
「건강가정사업 인지 및 프로그램 요구에 관한 연구」김효주, 제주대학교 대학원 논문(2009)
「가족건강성과 건강가정정책」박수선,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논문(2007)
건강가정지원센터 홈페이지
⑤ 시도 및 시군구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사업지원 및 평가
⑥ 통합정보시스템 관리운영
⑦ 관련기관 네트워크 구축 및 홍보사업
(4) 시도건강가정지원센터
① 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와 시군구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연계 역할
② 시도별 특성에 맞는 가족지원프로그램 개발보급
③ 시군구 건강가정지원센터 사업지원 및 관리
④ 시도 단위의 가족실태 조사 및 주민욕구조사
⑤ 시도 가족관련 정보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보급
⑥ 관할 시 · 도 단위 자체 평가, 전국단위 건강가정지원센터 평가 보조
※ 단, 당해 시도의 시군구에 건강가정지원센터(다기능화센터 포함)가 70% 이상 설치되어 있지 않은 시도에서는 시도 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도 시군구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기능을 수행해야 함.
(5) 시군구건강가정지원센터(독립형센터, 다기능화센터)
① 지역사회 내 가족구성원을 위한 1차적 가족지원서비스 제공
② 지역단위 가족생활 교육상담문화사업 실시
③ 지역사회 유관기관과의 연계를 통한 통합적 가족지원서비스 제공
④ 시군구 단위의 가족실태 조사 및 주민욕구조사
⑤ 지역사회 가족구성원을 위한 가족생활 관련 정보제공
2)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운영
(1) 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
① 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는 시도시군구 건강가정지원센터에 대한 총괄적인 업무지원 및 사업연계를 도모하여야 함
② 공통필수사업에 대한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매뉴얼에 대한 교육을 실시함
③ 별도의 공동협력 및 시범사업은 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 시범사업 운영을 희망한 시도 또는 시군구 건강가정지원센터를 선정하여 중앙센터와 지방 센터의 공동협력 방식으로 운영하도록 함
(2) 시도건강가정지원센터
① 시도 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는 시도의 특성에 맞는 가족지원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시군구 건강가정지원센터에 보급하며, 사업수행 후 반드시 사업별로 만족도를 조사하여야 하며 추후 사업운영에 반영하여야 함.
(3) 시군구건강가정지원센터
① A형(건강가정지원센터)
- 시군구 건강가정지원센터는 해당 지역 주민의 가족서비스 욕구조사결과 및 지역특성을 고려하여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함
- 시군구 건강가정지원센터는 공통필수사업을 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 개발 프로그램 또는 매뉴얼에 근거하여 지역 실정에 맞게 수행하여야 하며 공통필수사업 외에 지역사회 특성 및 수요에 맞는 사업을 추진하여 운영하도록 함
② B형(건강가정지원센터 + 한부모가족희망센터 통합형)
- 시군구 건강가정지원센터는 공통필수사업을 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 개발 프로그램 또는 매뉴얼에 근거하여 수행하여야 하며 공통필수사업 외에 지역사회 특성 및 수요에 맞는 사업을 추진하여 운영하도록 함
- 한부모가족 생활안정 지원 사업을 별도의 지침에 따라 수행하여야 함
< 참고자료 >
「2008 보건복지가족백서」보건복지부(2009)
「2010 건강가정지원센터 운영가이드북」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2010)
「건강가정사업 인지 및 프로그램 요구에 관한 연구」김효주, 제주대학교 대학원 논문(2009)
「가족건강성과 건강가정정책」박수선,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논문(2007)
건강가정지원센터 홈페이지
키워드
추천자료
건강가정기본법 ( 배경,필용성, 주요내용과 문제점 그리고 해결방안 등 정리)
건강가정기본법 및 개선방안
일반가족을 위한 가족복지; 건강가정기본법을 통해
건강가정사의 집단 활동의 이해
건강가정사업 프로그램 개발과정을 토대로 건강가정사업 프로그램을 구성 - 사례관리를 통한 ...
[건강가정론] 건강가정사업의 내용과 건강가정사업의 접근 방법별 사업에 관하여 논하시오 (...
건강가정기본법의 제정 배경에 및 건강가정기본법이 우리나라 가족정책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
[건강가정론] 건강가정기본법이 우리나라 가족정책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고 사회와 가족의 변...
주변의 가정문제의 예를 찾아보고 건강가정사로서 어떠한 역할이 기대되는지 설명하시오 - 『...
한국의 건강 가정에 대한 연구 동향을 설명하고 학습자 본인의 의견을 서술 [건강가정]
[건강가정론] 건강가정사는 전문직으로서 어떤 역할이 기대되는지 서술하시오 : 역할
[건강가정론] 건강가정사를 위한 실천기술의 우선순위를 제시하고, 그렇게 우선순위를 제시...
건강가정사가 갖추어야 할 태도 및 자세에 대해 토론하시오
건강가정기본법의 실천기술을 이해하고 저출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대책을 서술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