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골격계 장애를 가진 대상자 간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근골격계 장애를 가진 대상자 간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수술의 종류>
①관절낭 절개술(capsulotomy)
②건 절개술 tenotomy
③활액막 절개술 synovectomy
④골절개술 osteotomy
⑤관절 고정술 arthrodesis
⑥인공관절 치환술 arthroplaty /5,6번은 관절완전파괴시 시술
(4)영양관리
-음식제한없음, 균형잡힌음식섭취,고열량음식, 충분한한비타민섭취
-약물복용관절염 환자 경우 위장장애가 염려되므로 더욱 음식에조심
*관절염환자 체중조절:관절에 과중한 부담주어 통증이나 염증을 악화시킬수 있어 줄인다
(5)냉요법열요법
①냉치료 - 염증진행시 사용
②열치료 - 급성기가 지나 염증이 갈아 앉으면 열치료를 한다 (혈관확장효과)
③수치료(부분욕,전신욕,풀) - 가장 바람직,몸의 어느부위든지 고르게열을 전달해주면서 화상의 위험이 없고 수중맛사지도 가능하기 때문
④마사지
(6)자기간호 보조기 및 보조장구-특수제작된 긴손잡이수저나 막대기,,,주걱등등
(7) 심리사회적 간호 - 간호사 자기 심리 간호도중요
4)운동과 간호
(1)목적
①통증경감②관절부종감소 ③관절가동성 유지④혈액순환의 촉진⑤근력의 유지 및 증진⑥근위축방지⑦변형의 방지 등
(2)운동의 종류
①유연성 운동
:관절범위내 운동. 무리하지 말고 점차 강도증가. 모든관절의 좌우를 같이한다
-관절완전파괴나 탈골시 운동불가능
-유연성운동시 목적을 현실적으로 적절히 설정
②근력강화운동
-등척성 운동: 근육의 길이 일정한 상태의 운동
-등장성 운동: 근육의 긴장도가 일정하게유지되는 운동
③유산소 운동 : 걷기,자전거타기,수영
-관절염증상이 심하지 않으면 유산소운동가능,무리하지말고,운동후2시간이상 통증있으면 운동중지
④오락성 운동
⑤수중운동
ⓐ통증없이 운동가능ⓑ전신의 관절운동
ⓒ근육을 안써서 오는 근 경축,관절강직의 예방과 재활효과
-물 깊이는 운동할 때 체중부하와 관련있는데 가스정도높이(25%부하)가 적당
(3)운동의 일반적 원칙
-관절운동시 염증상태가 심하면 운동으로 쉽게 손상되기 때문에 급성기에는 운동을 피하고 절대안정
-관절에 강직증세있으면 갑자기 힘을 주지 말고 천천히 운동
★운동전 진통제나 스테로이드 제제섭취금지!!->통증무감각,운동중지시기 모름
(4)운동의 실시
①운동전 사정 : 각관절 가동력,염증증상의 유무,변형의 유무,관절상태,근력등사정하여 기록
②운동계획 : 급성기목적은 증상완화. 아급성기 목적은 전신상태향상,악화예방,기형교정
③운동과 휴식-운동은 휴식과 운동의 균형이 중요
  • 가격1,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05.31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58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