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 소비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목차
1. 녹색소비자?

2. 우리나라의 녹색 소비자

3. 내가 구분한 우리나라의 녹색 소비자
 조사개요
 조사내용
 조사결과
 사후검토 및 결론

본문내용

이 훨씬 적다. 그 이유는 앞서말한 일반적인 대량적 설문조사의 이상적행동을 보이려는 개인의 심리적 요인이 많이 작용한 것 같다. 위에 제시된 한국생산성학회의 통계자료에서는 환경친화적인 사람이 10명중 3명꼴로 나타났는데 현실적으로 내 주변사람들이 과연 그정도가 되는가 생각해볼 문제이다.
‘환경형’ 사람들과 ‘무덤덤형’ 의 차이는 수도나 전기의 절약 여부에서 많이 판가름 났는데 ‘환경형’ 사람들이 전원 경제적으로 ‘중류층’ 이하였다. 이들의 전기절약요인은 아마도 고차원적인 환경의 고려보다는 수도세와 전기세를 아껴보려고 그러한 성향이 나타난 것 같다. 이것은 내가 대부분 비슷한 부류의 사람들만을 조사하다 생긴 단점이라 할수 있을것이다.
‘친환경형’ 유형인 아버지와 친구의 경우 제품구매시 완전히 환경이 최우선이라고는 할수 없었다. 하지만 일회성 쓰레기를 고려, 사발면이나 자판기등의 사용은 거의 하지 않았다. 나머지 사람들은 제품구매시 환경적인 것은 거의 고려하지 않는다. 이또한 생산성학회의 연구와는 차이가 많이 나는데 현실적으로는 그러한 것을 고려하지 않는사람이 훨신 많다.
끝으로 환경에대한 개인의 인식이 차이나고와 나지않고를 결정짓는 요인이 무엇일까 생각해 보았다. 나같은 경우 환경을 많이 생각하는 편이다. 물이나 전기를 아껴쓰고 빈강의실에 선풍기나 형광등이 켜져있는 것을 보면 끄곤 하는데 그 이유는 아버지의 영향탓이다. 우리식구가 ‘환경형’ 이상에 속하는 이유도 아버지의 영향탓이다. ‘환경형’의 다른사람들을 보면 대중적 성격이 두드러지고 자기가 싫은 것은 남에게도 잘 안하는 성격이다. 그들을 보면 환경관련 글이나 TV프로그램등도 비교적 많이 본 것을 알수 있는데 이런사람들에게는 그들의 성격탓에 대중매체의 환경보호 효과가 다른사람들보다 효과적으로 받아들여진 것이 큰 요인으로 작용한 것 같다. 결국 환경에 대한 개인의 성향은 개인이 원래 가지고 있던 성격과 TV나 가족의 꾸준한 교육으로 좌우된것이라 할수 있다. 그러므로 국가적인 차원에서 대중매체를 이용한 프로그램방송이나 홍보를 많이 한다면 우리나라 사람들의 전반적인 환경에 대한 의식도 상승할것이다.
우리나라의 녹색 소비자 분류
목차
1. 녹색소비자?
2. 우리나라의 녹색 소비자
3. 내가 구분한 우리나라의 녹색 소비자
조사개요
조사내용
조사결과
사후검토 및 결론
수업명: 관광산업과 환경관리
교수명: 유기준 교수님
학번: 9923047
이름: 송지환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05.31
  • 저작시기2004.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60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