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의 무용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수 있다. 농악은 농업이 시작될 때부터 자연스럽게 생긴 것으로, 농사의 노고를 덜고 노동의 능률을 올리기 위한 수단이기도 하였다. 농악은 악기연주를 비롯하여 노래, 연극, 놀이, 춤 등의 여러 요소가 융합된 총체적 종합예술이라 할 수 있다. 농악에는 꽹과리, 북, 장고, 소고 등의 악기 연주 춤을 비롯하여 여러 종류의 춤이 있으며, 잡색들의 춤은 탈을 쓴 배역의 춤과 연극성을 띤 춤, 동물을 가장한 춤 등이 있다. 또한 농악대 전원이 군사놀이로 행하는 진풀이 춤도 있다.
이 외에도 공민왕이 홍건적의 난으로 인하여 안동지방으로 피난 갔을 때 그 지방 사람들이 공주를 위로하기 위해 만들었다는 놋리밟기 놀이가 있다. 이 지방에는 남자들만 연무하는 차전놀이가 있는데, 이것은 고려 태조의 건국 고사와 얽혀져 있는 내용으로서 용감하고 씩씩한 기상이 음악과 무용으로 잘 표현되고 있다.
3 의식무용
① 무속무용
부족국가시대의 제천의식은 삼국시대를 거쳐 신라시대로 접어들면서 시조신을 위한 제사, 산천신의 위한 제사, 기우제 등으로 분리되어 고려시대로 계승되었다.『고려사』에는 현종 12년에 무당을 모아 기우제를 지냈다는 기록이 보이고, 숙종 6년(1101), 예종 16년(1162년)에 집무도우를 했다는 기록이 있다.
무속신앙이 성행하게 된 것은 12세기 인종 이후이다. 무속신앙의 특징은 축제 기복에 의한 연극적인 놀이와 무속무용을 통해 신과 대화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가무는 무속의식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② 나례
나례란 궁중에서 음력 섣달 그믐날에 가면을 쓰고 잡귀를 쫓는 행사를 거행하는 의식무의 일종으로, 새해를 맞이하는 연례행사로 시행되었다. 나례의 절차는 다양하고 규모가 커서 처음에는 연중행사로 시행되었으나 점차 관람물로 바뀌어 조선시대까지 계승되었다. 참가 인원이 많고 탈춤과는 또 다른 무속적인 형태였던 것으로 보인다.
*정리(춤의 특징)
첫째, 고려시대의 춤은 팔관회나 연등회와 같은 국가적인 축제에서 발달하였다.
둘째, 고려시대는 통일신라시대보다는 훨씬 전문화된 교방 기녀 양성고가 있어서 이들에 의해서 궁중 가무가 시행됨으로써 예술적으로 수준이 높은 것이었다.
셋째, 신라시대의 가무 백희(탈춤)는 고려시대에 와서는 가설무대를 만들어 상연함으로써 가 무 백희가 한층 예술적으로 수준이 높아졌다.
넷째, 궁중에서 행하는 벽사진경의 나례의식에서 무서운 가면을 쓰고 귀신을 쫓는 나례춤으로 신라의 처용무가 채택된다.
다섯째, 고려 예종때는 당에서 궁중 정재가 수입됨으로써 우리 나라 가무가 차츰 양립되기 시작했다.
*「인용문헌」
-한국무용사의 이해 / 저자: 김 혜 정, 이 명 진 /형설출판사 발행;2003년1월6일
-한국의 전통 춤 / 저자: 정 병 호 / 집문당 발행:1999년 2월 1일
-고등학교 무용사 / 저자: 유성주, 배소심, 안윤희, 김은선 / 교학사 발행: 2000년 3월 5일
-세계무용사 /편저: 배소심, 김영아 /도서출판 금광
-무용의 이해 / 저자: 김옥진 / 한컴닷컴 한양대 출판부 발행 2002년 9월 13일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05.31
  • 저작시기2004.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60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