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0장. 중세의 틀을 벗어나는 도시와 건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제 10장. 중세의 틀을 벗어나는 도시와 건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 10장. 중세의 틀을 벗어나는 도시와 건축

본문내용

밖에도 창덕궁에는 조선조 주택이 달성한 최고의 품격 있는 건물들이 속속 건립되어 조선조 최고급 건물의 박람장을 이루었다.
낙 선 재 연 경 당
5. 민가의 전개
조선사회는 초기부터 전통적으로 사회 신분을 크게 반상으로 구분하였다. 즉 양반과 상민이다. 이분법은 17세기 후반이후 상민가 운데 부유한 농민이 형성되고 도시에도 중인계층이라고 부르는 중간 관리층이나 전문 기술 집단이 생기면서 흔들리게 되었다. 또 18세기 후반 이후에는 농민 중에 대지주로 성장하면서 양반계열에 진입하는 계층도 생겼다. 반면 양반 신분 중에서 경제적으로 몰락하여 상민 신분으로 된 계층도 적지 않게 나타났다.
사회 신분구성이 복잡하게 됨에 따라 주택을 단순히 민가와 반가로 양분하는 것이 용이하지도 않을뿐더러 또 당시의 주택 모습을 제대로 이해하는데도 반드시 유효한 수단인지 의문이 생기지 않을 수 없다.
민가의 가장 원형적인 형태가 어떤 것인지 현재로써는 알기 어렵다. 사회 경제의 흐름으로 미루어 17세기 초까지 민가는 각 지역에서 직접 생산을 담당하는 계층의 주거로써 일정한 형식을 갖추고 있었다고 짐작된다.
17세기 후반 이후 생산력이 향상되고 신분 질서가 동요되면서 민가는 다양한 양상으로 변화되어 갔다 타 지역과의 소통이 늘어나면서 주변지역의 새로운 주거 양식의 영향도 커졌다. 18, 19세기로 가면서 이런 변화들은 더욱 빠른 속도로 진전되고 민가는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갔다. 지금까지 조사되거나 분류 고찰된 민가는 대부분이 18, 19세기 것들이다.
17세기경까지는 양통집 계통의 민가가 넓은 범위 에서 지어졌다고 짐작된다. 양통집은 영세한 경제력 아래서 자연 변화에 대처해 몸을 보호하고 작업공간을 실내에 확보할 수 있는 유용한 구조였다.
양통집은 18세기를 지나 19세기로 가면서 크게 줄어들었다. 서민들의 경제력이 향상되고 생활의 편의를 추구하면서 양통집 대신 통풍이나 채광이
좋고 외부와의 연결이 쉬운 외통집으로 대체되었다. 전통적인 양통집
양통집 또는 겹집의 경우 산간지역의 혹독한 자연조건 속에서 생활의 지혜가 응집되어 나타난 여러 가지 모습들이 공간구성 속에 잘 결집되어 있다.
중세 농촌민가의 또 하나의 원형이라고 할 수 있는 외통집은 양통집과는 발생 계통을 달리하여 일찍부터 존재했다고 생각된다. 특히 기온이 비교적 온화한 농경지가 발달한 반도의 서부 지역에서 이런 평면 유형의 민가는 일찍부터 나타났다고 본다. 외통집의 간단한 형태는 방 둘이 한줄로 나란히 놓이고 한쪽 끝에 부엌이 달리는 경우이다. 가족의 작업은 주로 외부 마당을 적극 활용했으며 곡식 저장시설이나 가축을 위한 외양간도 살림집과 별도의 독립된 시설로 만들어졌다고 생각된다.
18, 19세기로 가면서 외통집은 형태가 다양해지고 주변에 부속시설이 늘어났다 평면은 단순한 ㅡ 자형에서 ㄱ 자 , ㄷ 자 , ㅁ 자형으로 발전하였다. 지역적으로도 일부 산간지대를 제외한 거의 전 지역으로 확산되어 갔다.
농촌의 민가들이 경제적 향상을 바탕으로 민가의 고유한 조형 세계를 펼쳐 나가고 있을 때 도시의 민가는 도시 생활의 제약 속에서 민가의 또 다른 면모를 가꾸어갔다. 무엇보다 협소한 대지 조건과 집과 집 사이를 지나는 도로들이 도시 민가의 형태를 제약하였다.
서울과 같은 대도시 주택에서는 도로와의 관계가 집의 출입문을 내는 방식이나 외벽의 처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지방 도시에서는 서울 보다는 대지 조건에 여유가 있었기 때문에 대개 비좁게 이어진 도로를 따라 간단한 울타리를 치고 농촌 지역과 유사한 형태의 기본 평면을 갖춘 집들이 지어 졌다.
10장
중세의 틀을 벗어나는
도시와 건축
18세기말 ~ 19세기 전반기
  • 가격2,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0.06.02
  • 저작시기201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64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