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적장애인 개입사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사례개요
1. 사례개입배경
2. 클라이언트 개요
3. 과거력
4. 가족력
3. 사정
1) 욕구 사정
(1) C.T의 욕구
(2) 모의 욕구
2) 아동에 대한 사정
(1) 신체적/인지적 발달
(2) 심리/정서적/언어적 특징
(3) 사회/행동적 특징
3) 환경사정 및 자원사정
4) 강점 및 약점
(1) 강점
(2) 약점

Ⅱ. 개입목표 및 개입방법
1. 문제목록
1) 거시적 측면
2) 미시적 측면
2. 목표 및 계획
1) 단기목표
2) 장기목표
(1) 거지적 측면
(2) 미시적 측면

Ⅲ. 느낀점

본문내용

해야지 설립허가를 내주도록 제도적인 마련이 필요 한다.
③ 보조교사 확충
- 현재 학교에 보조교사가 2명이 있다고는 하지만 현재 특수반에 가서 수업 받는 시간 외의 시간에는 C.T를 보조해줄 보조교사가 없기 때문에 보다 많은 보조교사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장애아동 3명당 보조교사 한명을 파견해주도록 하여 옆에서 보조가 필요한 c.t와 같은 아동들에게 배치하여 옆에서 보조를 해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④ 사람들의 인식개선
- 세상이 많이 바뀌고 사람들의 인식이 바뀌고 있다고는 하나 아직 부정적인 시각으로 보는 입장이 많다. c.t의 모도 그러한 것을 느끼고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많은 사람들의 인식개선을 시키기 위한 한 방법으로 장애인을 주제로 한 영화들이 많이 만들어 지고 있다. ‘말아톤’이나, ‘맨발의 기봉이’와 같은 영화처럼 장애인을 주제로 한 영화들을 영화감독들이 많이 만들어 장애인들도 비장애인보다 시간이 오래 걸리고 노력이 많이 필요할 지라도 비장애인처럼 할 수 있다는 인식을 심어주고, 장애인을 긍정적인 눈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장애인에 대한 영화사업을 통한 인식개선이 필요하다.
(2) 미시적 측면
① 교사들의 관심
- 비장애인 아동보다 장애를 가진 c.t의 경우에는 누구보다 많은 사람들의 따뜻한 관심이 필요하다. c.t의 경우에는 언어적인 문제를 많이 가지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학교 선생님들이 c.t에게 관심을 가지고 수업을 시작하기 전이나, C.T가 보일 때에 간단한 질문을 해줌으로써 이해력이 부족하고, 단어의 의미를 파악하는데 문제를 가지고 있는 C.T에게는 그 질문하나가 비록 올바른 대답이 아닐 지라도 질문한 문장에 있는 단어들의 의미를 파악하는 것에 도움을 줄 것이고, 문장을 이해 할 수 있는 능력이 향상 될 수 있을 것 이므로 c.t에 대해 선생님들이 작은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Ⅲ. 느낀점
인터뷰를 하면서 아쉬운 것은 C.T와 많은 대화를 해보지 못했다는 것이다. C.T를 만날 수 있는 시간은 특수교육 반에서 수업을 받다가 쉬는 시간일 때만 잠깐씩 만나 볼 수 있었다. 때문에 잠깐식 간단한 대화는 했지만 C.T와 라포를 형성 할 수 있을 만큼의 시간을 갖지 못했고, C.T가 이해능력이 부족해 대화가 전혀 되지 않았기 때문에 모와 인터뷰를 하는 것으로 만족해야 했다.
C.T의 모를 만나면서 느낀 것은 정말 사회복지학과에서 장애인복지론 수업을 듣는 학생으로서 부끄럽다는 것이었다. 모는 비록 자녀의 장애를 받아들이기는 힘들었지만 그것을 이겨내고 많은 정보를 수집해서 C.T의 교육을 체계적으로 이끌어 가고 있었다. 장애와 관련해서 정부의 서비스지원 체계, 복지관에서 이용 가능한 서비스, 지역자원에 대해 너무 자세히 잘 알고 있었으며 겉핥기식으로 알고 있는 우리와는 비교가 되지 않았다.
모는 현재 C.T가 초등학교를 졸업하면 중학교는 혜림학교로 보낼 계획을 세워두고 있었다. 이처럼 모는 C.T의 교육에 있어 잠시도 쉬지 않고 계획을 세워 진행하고 있었다. 어떻게 보면 쉽지 않은 길에서 모는 어머니로써 최선을 다하고 있었다.
모는 C.T를 위해 통합교육을 선택했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통합교육이 제대로 실시가 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힘들어 하는 부분이 없잖나마 있었다. 특히 장애아동을 돌봐줄 선생님이 부족하기 때문에 모가 C.T의 등하교 외에 식사보조로 한 번 더 와야 하는 부분이었다. 또 모는 특수교육을 받을 우리는 준비가 되었지만 특수교육을 제공할 선생님들은 아직 준비가 덜 되어 있는 것 갔다고 말씀하셨다. 그런 모습을 보면서 통합교육에 있어 사회복지계 뿐만 아니라 교육계에서의 노력 또한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 가격1,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0.06.03
  • 저작시기2009.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66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