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무균술과 관련된 용어와 정의
Ⅱ.본론
1. 소독
1. 소독의 정의
2. 소독의 종류
2. 멸균
1. 멸균의 정의
2. 멸균의 종류
Ⅲ.결론
느낀점
Ⅳ.참고문헌
무균술과 관련된 용어와 정의
Ⅱ.본론
1. 소독
1. 소독의 정의
2. 소독의 종류
2. 멸균
1. 멸균의 정의
2. 멸균의 종류
Ⅲ.결론
느낀점
Ⅳ.참고문헌
본문내용
한 수술기구, 각종 플라스틱 및 고무제폼, 각종 카테터 및 내 시경 등 열에 약하고 습기에 예민한 기구들에 이용된다. 아포를 포함한 모든 미생물을 파 괴시키는데, 액체상태로서 보관하기 쉬우나 폭발성이 강하고 공기중에서 인화성이 매우 높은 성질을 지니고 있다. 인체에 독성이 높으므로 멸균 후 환기에 유의해야한다.
E.O. 가스 멸균법은 40~60%의 습도, 50~60℃에서 3~7시간 멸균해야 한다.
고압증기 멸균법에 비해 경비가 많이 드는 것이 단점이며, 유효기간은 6개월~2년이다.
5) 유리알 멸균법(glass bead)
-216도 전후의 온도로 가열해서 사용한다.
-적용: file, broaches (25~30 초 동안 가열)
6) 방사선 멸균법
침투력이 강하나 비싸고 발암작용을 하므로 많이 사용하지 않는다.
Ⅲ.결론
느낀점
중앙 공급실이라는 특수파트에서 실습을 하면서 일반 병동에서는 배우기 힘든 것들을 배울 수 있어서 참 좋았다. 중앙공급실의 기능, 물품관리법, 병실과 소독물품들을 교환하는 방법, 병동에서 사용되는 소독 약품에 대한 준비와 공급과정, 소독의 과정, set의 종류 등 많은 것들을 알게 되었다. 병동에서 물건 받으러 갈 때 보던 중앙공급실과는 많은 차이가 있었다. 특히, 이번 레포트를 준비하면서 소독과 멸균의 정의 및 종류 방법 등에 대해 다시 한 번 자세히 알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Ⅳ.참고문헌
기본간호학2 (2007) 현문사 손정태, 장은희 외
소독 및 전염병학 : 김은주외 3명 청구문화사. 2000 p.66~82
http://blog.daum.net/geypyo/17711720
E.O. 가스 멸균법은 40~60%의 습도, 50~60℃에서 3~7시간 멸균해야 한다.
고압증기 멸균법에 비해 경비가 많이 드는 것이 단점이며, 유효기간은 6개월~2년이다.
5) 유리알 멸균법(glass bead)
-216도 전후의 온도로 가열해서 사용한다.
-적용: file, broaches (25~30 초 동안 가열)
6) 방사선 멸균법
침투력이 강하나 비싸고 발암작용을 하므로 많이 사용하지 않는다.
Ⅲ.결론
느낀점
중앙 공급실이라는 특수파트에서 실습을 하면서 일반 병동에서는 배우기 힘든 것들을 배울 수 있어서 참 좋았다. 중앙공급실의 기능, 물품관리법, 병실과 소독물품들을 교환하는 방법, 병동에서 사용되는 소독 약품에 대한 준비와 공급과정, 소독의 과정, set의 종류 등 많은 것들을 알게 되었다. 병동에서 물건 받으러 갈 때 보던 중앙공급실과는 많은 차이가 있었다. 특히, 이번 레포트를 준비하면서 소독과 멸균의 정의 및 종류 방법 등에 대해 다시 한 번 자세히 알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Ⅳ.참고문헌
기본간호학2 (2007) 현문사 손정태, 장은희 외
소독 및 전염병학 : 김은주외 3명 청구문화사. 2000 p.66~82
http://blog.daum.net/geypyo/1771172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