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되어 0을 가르키게 된다.
이때 이 브릿지를 "balanced"되었다고 하고 전류계는 0을 가리키게 되고 이때 "nulled"되었다고 말한다. 만약 어떤 저항값이라도 조금이라도 변한다면 전류계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위의 그림4는 "unbalanced"된 브릿지이고 A점과 B점의 전압을 계산을 통해 보여준다. 만약 전류계가 A점과 B점에 연결되어 있다면 전류가 흐를 것이다. "balanced" 된 회로의 저항중 하나의 매우 작은 변화가 브릿지를 "unbalanced"되게 할 수 있다. 즉, 저항값을 변경함에 따라 "unbalanced", "balanced"되기 때문에 정밀한 저항 측정을 위해 쓰이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보면
만약 회로가 위의 것처럼 연결되어 있다면 이것은 정밀저항값 측정 브릿지이다. 저항 R2는 다이얼(0에서 10KΩ값을 가짐)을 가진 가변 저항이다. 만약 미지의 저항이 점 C와 점D사이에 연결되어 있다고 하자. 그 후에 R2의 다이얼을 돌려가면서 전압계가 0을 가리키는지 확인한다. 만약 0이 가리키는 지점이 나타난다면 이때의 저항 R2와 RX는 같은 저항값을 가진다. 즉, R2에 나타난 저항값이 미지의 저항값 RX가 된다.
이때 이 브릿지를 "balanced"되었다고 하고 전류계는 0을 가리키게 되고 이때 "nulled"되었다고 말한다. 만약 어떤 저항값이라도 조금이라도 변한다면 전류계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위의 그림4는 "unbalanced"된 브릿지이고 A점과 B점의 전압을 계산을 통해 보여준다. 만약 전류계가 A점과 B점에 연결되어 있다면 전류가 흐를 것이다. "balanced" 된 회로의 저항중 하나의 매우 작은 변화가 브릿지를 "unbalanced"되게 할 수 있다. 즉, 저항값을 변경함에 따라 "unbalanced", "balanced"되기 때문에 정밀한 저항 측정을 위해 쓰이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보면
만약 회로가 위의 것처럼 연결되어 있다면 이것은 정밀저항값 측정 브릿지이다. 저항 R2는 다이얼(0에서 10KΩ값을 가짐)을 가진 가변 저항이다. 만약 미지의 저항이 점 C와 점D사이에 연결되어 있다고 하자. 그 후에 R2의 다이얼을 돌려가면서 전압계가 0을 가리키는지 확인한다. 만약 0이 가리키는 지점이 나타난다면 이때의 저항 R2와 RX는 같은 저항값을 가진다. 즉, R2에 나타난 저항값이 미지의 저항값 RX가 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