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2장.
4. 빈도분석
5. 기술통계분석
5-2 신뢰성 분석의 개요
5-3 신뢰성분석
6-1. 통계학의 종류와 기본용어
6-2. 1종 오류
7-1. 단일모집단 평균검증(t)
7.2 두 모집단 평균차이 검증(t)
9.1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11.1 Pearson 상관관계분석
11.2 Spearman 서열상관관계분석
11.3 편상관관계 분석
12.1 단순회귀분석
12.2 다중회귀분석
4. 빈도분석
5. 기술통계분석
5-2 신뢰성 분석의 개요
5-3 신뢰성분석
6-1. 통계학의 종류와 기본용어
6-2. 1종 오류
7-1. 단일모집단 평균검증(t)
7.2 두 모집단 평균차이 검증(t)
9.1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11.1 Pearson 상관관계분석
11.2 Spearman 서열상관관계분석
11.3 편상관관계 분석
12.1 단순회귀분석
12.2 다중회귀분석
본문내용
변수가 회귀식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비유의적이다. 유의확률이 .238이기 때문이다.
(3) 교육기간은 다른 두 변수가 회귀식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유의적이다. 유의확률이 .006이기 때문이다.
교육기간이 길수록 TV시청시간이 적다. 1년 길어질수록 .152시간만큼 줄어든다.
표준화 계수의 베타의 절대값을 비교하면, 세 개의 독립변수 중 TV시청시간에 가장 영향력이 큰 변수는 동거여부이며, 그 다음은 교육기간, 그리고 연령의 순이다.
공선성 - 두 개의 독립변수들 간의 관계
공선성 통계량
공차한계,VIF(분산팽창요인)
공차한계 : 0.10 보다 훨씬 클때,
VIF 값이 : 10 훨씬 작을때, 공성성에 문제가 없다.
위의 공선성 통계량을 보면,
위의 조건에 만족하므로, 공선성에 문제가 없다.
종속변수는 시청시간이고, 모델개발을 위한 독립변수 투입방신은 단계 선택 방식이고, 1단계에서는 교육기간만 투입되었고, 2단계에서는 동거여부까지 투입 되었다. 여기서 교육기간이 먼저 투입된 이유는 시청시간과 상관관계가 가장 높았기 때문이다.
R제곱이 .375로 나타났다. 이 경우 R은 .612 인데, 이 값은 상관계수와 같은 값이다.
다음으로 2단계에서 동거여부가 추가적으로 투입된 결과 R제곱은 .599이다.
.225만큼 증가하였으며 R제곱 증가량은 유의확률 .002로, .01 범위 이내에서 유의적이다.
교육기간만 투입한 회귀모형1과 동거여부를 추가적으로 투입한 회귀모형 2는 모두 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모형1에 비하여 회귀모형 2가 보다 유의적임을 알 수 있다.
회귀식은 이다.
각 계수값은 모두 유의함을 알수있다.
공선성의 문제가 없다(공차한계가 0.10 보다 크고, VIF가 10보다 작기 때문)
12.3 연습문제
연구문제- 사원들의 발표능력이 사원들의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가?
귀무가설-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대립가설- 영향을 미친다.
직무성적의 평균은 90.73점이고, 표준편차는 3.863이고, 케이스의 수는 15명이다.
발표능력의 평균은 9.160점이고, 표준편차는 .4339이고, 케이스의 수는 15명이다.
직무성과 발표능력의 상관계수가 .858이므로, 상관관계가 아주 높은편이다.
(유의확률은 .000이므로, 유의수준 .001의 범위 이내에서 유의하므로, 귀무가설을 기각하고, 연구가설을 지지한다)
따라서, 발표능력이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수있다.
종속변수는 직무성적이고, 전체입력 방법으로 독립변수(발표능력)을 진입시켰다.
R값은 상관계수이므로 상관계수가 .858으로 높다라는것을 알수있다.
R제곱값이 .736 이므로 종속변수 분산의 73.6%가 독립변수에 의해 설명됨을 알 수 있다.
전체 분산의 값은 208.933이고(합계의 제곱합 값), 종속변수의 분산중 설명되는 분산이 153.877이고(선형회귀분석의 제곱합), 설명되지 않는 분산이 55.056(잔차의 제곱합)이다.
이다.
이고,
발표능력에 따라서 직무성적의 변하는 정도가 73.6%정도 변하고, 153.877 정도 변한다.
설명할수 없는 정도는 , 55.056 이다.
(유의확률이 .000이므로, 유의수준 .001 범위내에서 유의하므로, 귀무가설을 기각하고, 연구가설을 지지한다)
회귀식은
발표능력이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라는 귀무가설을 기각하고 (유의확률이 .000이고, 유의수준 .001이내에서 귀무가설을 기각한다.) 발표능력이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친다 라는 연구가설을 지지한다.
12.3.2
연구문제 - 사원들의 발표능력,분석능력 및 응용력이 사원들의 직무성적에 영향을 미치는가?
귀무가설 -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대립가설 - 영향을 미친다.
종속변수는 직무성적이고, 독립변수 투입 방법은 동시 입력 방식으로서
응용력, 발표능력, 분석능력 세 개의 독립변수가 하나도 제거 됨 없이 모두 투입되었음을 나타낸다.
R값은 상관계수로서, 상관계수가 .977로 아주 높은 상관관계를 갖고있음을 나타낸다.
R제곱은 응용력, 발표능력, 분석능력 세 개의 독립변수들이 투입된 결과 R제곱이 .955로 종속변수(직무성적)을 95.5% 설명하고 있음을 알 수있다.
또한, 자유도를 반영한 수정된 R제곱은 .942로 낱났다.
R제곱은 결정계수나 설명력이다.
R제곱은 성형회귀분석 제곱합/합계 제곱합 이다.
전체 분산은 208.933이고, 설명이 되는 분산은 199.431이며 설명이 되지 않는 분산은 9.502 이다.
이 값을 각각의 자유도와 나눈 값이 평균 제곱이다.
이다.
유의확률이 .000이므로, 유의수준 .001범위 내에서 귀무가설(설명력이 0이다.)을 기각하고, 연구가설을 지지하므로, 종속변수를 설명하는데 유용하다.
분석능력은 다른 두 변수들(발표능력, 응용력)이 회귀식에 포함되는 경우 직무성적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발표능력과 응용력은 각각 다른 두 변수들이 회귀식에 포함된 경우 직무성적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함을 나타났다. (유의확률이 .142 .299로 높으므로,)
회귀식은 이다.
공선성 통계량을 보면 공차한계가 0.1보다 크고, 10보다 작기 때문에 공선성 문제는 없다.
단계입력방식에 의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분석능력만이 독립변수로서 회귀식에 투입되었다. 분석능력이 회귀식에 투입 될 때 발표능력과 응용력은 종속변수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력이 낮아 회귀식에 포함되지 못했다.
구체적으로, 제외된 변수의 표를 보면 발표능력이 유의확률 .139, 그리고 응용력의 유의확률은 .314로 나타나 있다.
14.1 요인분석
유의확률이 .000으로 나타났으므로 요인분석할수있는 적절한 자료이다.
.5보다 크므로 분석을 진행하는데 문제가 없다.
고유값 1을 기준으로 1을넘는 값은 성분 1,2,3 뿐이다.
1이 넘는 값들만 요인으로 축약된다. 따라서 요인이 3개로 축약된다.
스크린 도표 상으로도 고유값이 1이 넘는 것은 3개 밖에 없으므로, 요인 3개로 축약된다.
요인 1에는 (유명상표,고품질,값어치 있음)
요인 2에는 (환불용이,광고제품과 동일,분실염려없음)
요인 3에는 (구매가 용이,원하는 장소에 배달,시간절약)
따라서 요인 1에는 품질 , 요인 2에는 신뢰성, 요인 3에는 편의성 정도로 명명할수 있다.
(3) 교육기간은 다른 두 변수가 회귀식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유의적이다. 유의확률이 .006이기 때문이다.
교육기간이 길수록 TV시청시간이 적다. 1년 길어질수록 .152시간만큼 줄어든다.
표준화 계수의 베타의 절대값을 비교하면, 세 개의 독립변수 중 TV시청시간에 가장 영향력이 큰 변수는 동거여부이며, 그 다음은 교육기간, 그리고 연령의 순이다.
공선성 - 두 개의 독립변수들 간의 관계
공선성 통계량
공차한계,VIF(분산팽창요인)
공차한계 : 0.10 보다 훨씬 클때,
VIF 값이 : 10 훨씬 작을때, 공성성에 문제가 없다.
위의 공선성 통계량을 보면,
위의 조건에 만족하므로, 공선성에 문제가 없다.
종속변수는 시청시간이고, 모델개발을 위한 독립변수 투입방신은 단계 선택 방식이고, 1단계에서는 교육기간만 투입되었고, 2단계에서는 동거여부까지 투입 되었다. 여기서 교육기간이 먼저 투입된 이유는 시청시간과 상관관계가 가장 높았기 때문이다.
R제곱이 .375로 나타났다. 이 경우 R은 .612 인데, 이 값은 상관계수와 같은 값이다.
다음으로 2단계에서 동거여부가 추가적으로 투입된 결과 R제곱은 .599이다.
.225만큼 증가하였으며 R제곱 증가량은 유의확률 .002로, .01 범위 이내에서 유의적이다.
교육기간만 투입한 회귀모형1과 동거여부를 추가적으로 투입한 회귀모형 2는 모두 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모형1에 비하여 회귀모형 2가 보다 유의적임을 알 수 있다.
회귀식은 이다.
각 계수값은 모두 유의함을 알수있다.
공선성의 문제가 없다(공차한계가 0.10 보다 크고, VIF가 10보다 작기 때문)
12.3 연습문제
연구문제- 사원들의 발표능력이 사원들의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가?
귀무가설-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대립가설- 영향을 미친다.
직무성적의 평균은 90.73점이고, 표준편차는 3.863이고, 케이스의 수는 15명이다.
발표능력의 평균은 9.160점이고, 표준편차는 .4339이고, 케이스의 수는 15명이다.
직무성과 발표능력의 상관계수가 .858이므로, 상관관계가 아주 높은편이다.
(유의확률은 .000이므로, 유의수준 .001의 범위 이내에서 유의하므로, 귀무가설을 기각하고, 연구가설을 지지한다)
따라서, 발표능력이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수있다.
종속변수는 직무성적이고, 전체입력 방법으로 독립변수(발표능력)을 진입시켰다.
R값은 상관계수이므로 상관계수가 .858으로 높다라는것을 알수있다.
R제곱값이 .736 이므로 종속변수 분산의 73.6%가 독립변수에 의해 설명됨을 알 수 있다.
전체 분산의 값은 208.933이고(합계의 제곱합 값), 종속변수의 분산중 설명되는 분산이 153.877이고(선형회귀분석의 제곱합), 설명되지 않는 분산이 55.056(잔차의 제곱합)이다.
이다.
이고,
발표능력에 따라서 직무성적의 변하는 정도가 73.6%정도 변하고, 153.877 정도 변한다.
설명할수 없는 정도는 , 55.056 이다.
(유의확률이 .000이므로, 유의수준 .001 범위내에서 유의하므로, 귀무가설을 기각하고, 연구가설을 지지한다)
회귀식은
발표능력이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라는 귀무가설을 기각하고 (유의확률이 .000이고, 유의수준 .001이내에서 귀무가설을 기각한다.) 발표능력이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친다 라는 연구가설을 지지한다.
12.3.2
연구문제 - 사원들의 발표능력,분석능력 및 응용력이 사원들의 직무성적에 영향을 미치는가?
귀무가설 -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대립가설 - 영향을 미친다.
종속변수는 직무성적이고, 독립변수 투입 방법은 동시 입력 방식으로서
응용력, 발표능력, 분석능력 세 개의 독립변수가 하나도 제거 됨 없이 모두 투입되었음을 나타낸다.
R값은 상관계수로서, 상관계수가 .977로 아주 높은 상관관계를 갖고있음을 나타낸다.
R제곱은 응용력, 발표능력, 분석능력 세 개의 독립변수들이 투입된 결과 R제곱이 .955로 종속변수(직무성적)을 95.5% 설명하고 있음을 알 수있다.
또한, 자유도를 반영한 수정된 R제곱은 .942로 낱났다.
R제곱은 결정계수나 설명력이다.
R제곱은 성형회귀분석 제곱합/합계 제곱합 이다.
전체 분산은 208.933이고, 설명이 되는 분산은 199.431이며 설명이 되지 않는 분산은 9.502 이다.
이 값을 각각의 자유도와 나눈 값이 평균 제곱이다.
이다.
유의확률이 .000이므로, 유의수준 .001범위 내에서 귀무가설(설명력이 0이다.)을 기각하고, 연구가설을 지지하므로, 종속변수를 설명하는데 유용하다.
분석능력은 다른 두 변수들(발표능력, 응용력)이 회귀식에 포함되는 경우 직무성적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발표능력과 응용력은 각각 다른 두 변수들이 회귀식에 포함된 경우 직무성적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함을 나타났다. (유의확률이 .142 .299로 높으므로,)
회귀식은 이다.
공선성 통계량을 보면 공차한계가 0.1보다 크고, 10보다 작기 때문에 공선성 문제는 없다.
단계입력방식에 의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분석능력만이 독립변수로서 회귀식에 투입되었다. 분석능력이 회귀식에 투입 될 때 발표능력과 응용력은 종속변수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력이 낮아 회귀식에 포함되지 못했다.
구체적으로, 제외된 변수의 표를 보면 발표능력이 유의확률 .139, 그리고 응용력의 유의확률은 .314로 나타나 있다.
14.1 요인분석
유의확률이 .000으로 나타났으므로 요인분석할수있는 적절한 자료이다.
.5보다 크므로 분석을 진행하는데 문제가 없다.
고유값 1을 기준으로 1을넘는 값은 성분 1,2,3 뿐이다.
1이 넘는 값들만 요인으로 축약된다. 따라서 요인이 3개로 축약된다.
스크린 도표 상으로도 고유값이 1이 넘는 것은 3개 밖에 없으므로, 요인 3개로 축약된다.
요인 1에는 (유명상표,고품질,값어치 있음)
요인 2에는 (환불용이,광고제품과 동일,분실염려없음)
요인 3에는 (구매가 용이,원하는 장소에 배달,시간절약)
따라서 요인 1에는 품질 , 요인 2에는 신뢰성, 요인 3에는 편의성 정도로 명명할수 있다.
추천자료
[기업윤리경영][기업윤리][윤리경영][기업경영]기업윤리경영의 개념, 기업윤리경영의 배경, ...
[경영평가][경영][업무체계도][평점계산]경영평가의 유형, 경영평가의 변천과정, 경영평가의 ...
[최고경영자][CEO]최고경영자(CEO)의 정의, 최고경영자(CEO)의 단계별 역할, 최고경영자(CEO)...
중소기업 경영의 필요성, 중소기업 경영의 목표, 중소기업 경영의 환경, 중소기업 경영의 M&a...
[경영 의사결정][경영][의사결정][경영 의사결정 유형][경영 의사결정 수준]경영 의사결정의 ...
[경영조직][경영][조직][분화][직급체계][최고경영자][경영자][CEO]경영조직의 개념, 경영조...
[학교경영계획][학교경영계획][학교경영][학교][경영][학교경영계획 정의][학교경영계획 모형...
[경영관리][경영관리 인간관계론][경영관리의 관리자적 자질]경영관리의 계층별 유형, 경영관...
[경영인][기업가][기업인]경영인(기업가, 경영자, 기업인)의 분류, 경영이념, 경영인(기업가,...
[가치경영][가치경영 사례][경제적 부가가치][가상공동체]가치경영의 개념, 가치경영의 측정...
[경영][건설업경영][방송경영][스포츠경영][부동산경영][은행경영][디자인경영][태권도경영]...
[경영 의사결정][경영 의사결정 선행연구][경영 의사결정 역기능][경영 의사결정 사례]경영 ...
[경영계획][경영계획 정의][경영계획 유형][경영계획 의의][경영계획 전략]경영계획의 정의, ...
[경영정보][경영][정보][경영정보 요소][경영정보 내용][경영정보 공유][경영정보 시스템][경...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