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문제
㉮ 성교육 프로그램은 결손가정 여중생의 성에 대한 지식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 성교육 프로그램은 결손가정 여중생의 성에 대한 태도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 결손가정 여중생과 비 결손가정 여중생의 성에 대한 지식의 향상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 결손가정 여중생과 비 결손가정 여중생의 성에 대한 태도의 향상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3. 용어의 정의
4. 연구의 제한점
II. 이론적 배경
1. 청소년기의 성 태도 발달
2. 성교육의 개념
3. 성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선행연구
4. 성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Ⅲ. 연구가설
Ⅳ. 연구방법
Ⅴ.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성교육이 성지식에 미치는 효과
3. 성교육이 성태도에 미치는 효과
4.결손가정과 비결손가정 학생의 성지식 수준의 차이
5. 결손가정과 비결손가정의 학생의 성태도의 차이
Ⅵ. 결과 및 제언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문제
㉮ 성교육 프로그램은 결손가정 여중생의 성에 대한 지식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 성교육 프로그램은 결손가정 여중생의 성에 대한 태도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 결손가정 여중생과 비 결손가정 여중생의 성에 대한 지식의 향상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 결손가정 여중생과 비 결손가정 여중생의 성에 대한 태도의 향상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3. 용어의 정의
4. 연구의 제한점
II. 이론적 배경
1. 청소년기의 성 태도 발달
2. 성교육의 개념
3. 성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선행연구
4. 성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Ⅲ. 연구가설
Ⅳ. 연구방법
Ⅴ.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성교육이 성지식에 미치는 효과
3. 성교육이 성태도에 미치는 효과
4.결손가정과 비결손가정 학생의 성지식 수준의 차이
5. 결손가정과 비결손가정의 학생의 성태도의 차이
Ⅵ. 결과 및 제언
본문내용
단에 실험처치 전후 검사를 통해 두 집단간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표와 같이 나타났다.
<표1-1>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성지식 사전- 사후검사의 평균과 표준편차
집단
n
사전검사
사후검사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조정평균
실험집단
40
41.30
14.16
67.10
15.35
67.44
통제집단
40
42.40
13.27
41.80
11.66
41.46
실험집단의 성지식점수는 사전검사는 평균이 41.30이고 , 사후검사는 67.10으로 25.887의 향상을 가져온 반면에 통제집단은 평균이 42.40, 사후검사는 41.80으로 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사후검사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평균의 차이는 25.3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표1-2> 결손- 비결손 가정의 성지식 점수에 대한 공분산 분석표
분산원
제곱값
자유도
평균제곱값
F
p
공변인
5603.47
1
5603.47
48.44
.000
집단
13476.27
1
13476.27
116.50
.000
오차
8906.52
77
115.66
전체
27311.80
79
표와 같이 두 집단 간의 사후 검사 점수 차이는 사전 검사 점수 차이로 인한 영향을 통제하고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은 긍정이 되었다. 이 결과는 성교육 프로그램이 여중생의 성지식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3. 성교육이 성태도에 미치는 효과
<표2-1> 실험- 통제 집단별 성태도 사전-사후 점수의 평균과 표준 편차
집단
n
사전검사
사후검사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조정평균
실험집단
40
99.70
11.06
135.05
7.23
135.24
통제집단
40
103.05
7.89
109.00
9.19
108.80
이것 역시 성태도 검사지로 총 155점 만점으로 검사하였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실험처치 전후 검사를 통하여 두 집단 간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유의하게 나타났다.
<표2-2> 결손- 비결손 가정의 성태도 점수에 대한 공분산 분석표
분산원
제곱값
자유도
평균제곱값
F
p
공변인
97.53
1
97.53
1.43
.235
집단
13558.99
1
13558.99
199.15
.000
오차
5242.36
77
69.08
전체
27311.80
79
사전검사의 영향을 조정한 후, 사후 검사에서 집단 간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지 검증하기 위해 실시한 공분산 분석결과는 위의 표와 같다. 결과 두 집단 간의 점수 차이로 인한 영향을 통제하고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은 긍정되었다. 이 결과는 성교육프로그램이 여중생의 성태도를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4.결손가정과 비결손가정 학생의 성지식 수준의 차이
<표3-1> 실험집단내의 결손-비결손 가정의 성지식 평균과 표준편차
집단
n
사전검사
사후검사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조정평균
실험집단
20
45.40
15.09
71.80
13.88
68.61
통제집단
20
37.20
12.18
62.40
15.64
65.58
<표3-2> 실험집단내 결손- 비결손 가정의 성지식 점수에 대한 공분산 분석표
분산원
제곱값
자유도
평균제곱값
F
p
공변인
4306.14
1
4306.14
39.73
.000
집단
84.21
1
84.21
.777
.384
오차
4009.85
37
108.37
전체
9199.60
39
위의 표와 같이 두 집단 간의 사후검사 점수 차이는 사전검사 점수 차이로 인한 영향을 통제하고도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은 기각되었다.
이 결과는 성교육 프로그램이 실험 집단 내의 결손-비결손 가정의 성지식의 차이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5. 결손가정과 비결손가정의 학생의 성태도의 차이
<표4-1> 실험집단내의 결손-비결손 가정의 성태도 사전-사후 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
집단
n
사전검사
사후검사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조정평균
실험집단
20
97.15
12.91
136.15
7.84
136.08
통제집단
20
102.25
8.42
133.95
6.58
134.01
<표4-2>실험집단내의 결손-비결손 가정의 성태도 점수에 대한 공분산 분석표분산원
제곱값
자유도
평균제곱값
F
p
공변인
3.30
1
3.30
.062
.806
집단
40.20
1
40.20
.748
.393
오차
1988.19
37
53.73
전체
2039.90
39
사전 검사의 영향을 조정한 후, 사후 검사에서 집단 간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지 검증하기 위해 실시한 공산분석 결과는 두 집단 간의 사후검사 점수 차이는 사전검사 점수 차이로 인한 영향을 통제하고도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은 기각되었다. 이 결과는 성교육프로그램이 실험 집단 내의 결손- 비결손 가정의 성태도의 차이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Ⅵ. 결과 및 제언
1. 결과
(1) 성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결손가정 여중생의 성에 대한 지식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가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어서 성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2) 성교육 프로그램을 활용한 결과 결손가정 여중생의 성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2. 제언
(1) 결손가정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결손가정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연구들이 있으나 성에 대한 자아개념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성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고 비교해 보는 것도 의의가 있을 것이다.
(2) 본 연구에서는 개인차 특성을 고려하지 않았다. 후속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의 특성에 따라 상, 하위 집단으로 구분하여 실험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3) 본 연구에서 사용된 프로그램은 포괄적이고 주제가 광범위하여 짧은 시간에 적용하고 효과를 보기는 어려우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다양한 상담 기법과 접목하여 새로운 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결손가정 학생들에게 어떤 프로그램이 효과적인지 연구하는것도 의의가 있을 것이다.
<표1-1>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성지식 사전- 사후검사의 평균과 표준편차
집단
n
사전검사
사후검사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조정평균
실험집단
40
41.30
14.16
67.10
15.35
67.44
통제집단
40
42.40
13.27
41.80
11.66
41.46
실험집단의 성지식점수는 사전검사는 평균이 41.30이고 , 사후검사는 67.10으로 25.887의 향상을 가져온 반면에 통제집단은 평균이 42.40, 사후검사는 41.80으로 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사후검사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평균의 차이는 25.3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표1-2> 결손- 비결손 가정의 성지식 점수에 대한 공분산 분석표
분산원
제곱값
자유도
평균제곱값
F
p
공변인
5603.47
1
5603.47
48.44
.000
집단
13476.27
1
13476.27
116.50
.000
오차
8906.52
77
115.66
전체
27311.80
79
표와 같이 두 집단 간의 사후 검사 점수 차이는 사전 검사 점수 차이로 인한 영향을 통제하고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은 긍정이 되었다. 이 결과는 성교육 프로그램이 여중생의 성지식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3. 성교육이 성태도에 미치는 효과
<표2-1> 실험- 통제 집단별 성태도 사전-사후 점수의 평균과 표준 편차
집단
n
사전검사
사후검사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조정평균
실험집단
40
99.70
11.06
135.05
7.23
135.24
통제집단
40
103.05
7.89
109.00
9.19
108.80
이것 역시 성태도 검사지로 총 155점 만점으로 검사하였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실험처치 전후 검사를 통하여 두 집단 간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유의하게 나타났다.
<표2-2> 결손- 비결손 가정의 성태도 점수에 대한 공분산 분석표
분산원
제곱값
자유도
평균제곱값
F
p
공변인
97.53
1
97.53
1.43
.235
집단
13558.99
1
13558.99
199.15
.000
오차
5242.36
77
69.08
전체
27311.80
79
사전검사의 영향을 조정한 후, 사후 검사에서 집단 간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지 검증하기 위해 실시한 공분산 분석결과는 위의 표와 같다. 결과 두 집단 간의 점수 차이로 인한 영향을 통제하고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은 긍정되었다. 이 결과는 성교육프로그램이 여중생의 성태도를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4.결손가정과 비결손가정 학생의 성지식 수준의 차이
<표3-1> 실험집단내의 결손-비결손 가정의 성지식 평균과 표준편차
집단
n
사전검사
사후검사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조정평균
실험집단
20
45.40
15.09
71.80
13.88
68.61
통제집단
20
37.20
12.18
62.40
15.64
65.58
<표3-2> 실험집단내 결손- 비결손 가정의 성지식 점수에 대한 공분산 분석표
분산원
제곱값
자유도
평균제곱값
F
p
공변인
4306.14
1
4306.14
39.73
.000
집단
84.21
1
84.21
.777
.384
오차
4009.85
37
108.37
전체
9199.60
39
위의 표와 같이 두 집단 간의 사후검사 점수 차이는 사전검사 점수 차이로 인한 영향을 통제하고도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은 기각되었다.
이 결과는 성교육 프로그램이 실험 집단 내의 결손-비결손 가정의 성지식의 차이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5. 결손가정과 비결손가정의 학생의 성태도의 차이
<표4-1> 실험집단내의 결손-비결손 가정의 성태도 사전-사후 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
집단
n
사전검사
사후검사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조정평균
실험집단
20
97.15
12.91
136.15
7.84
136.08
통제집단
20
102.25
8.42
133.95
6.58
134.01
<표4-2>실험집단내의 결손-비결손 가정의 성태도 점수에 대한 공분산 분석표분산원
제곱값
자유도
평균제곱값
F
p
공변인
3.30
1
3.30
.062
.806
집단
40.20
1
40.20
.748
.393
오차
1988.19
37
53.73
전체
2039.90
39
사전 검사의 영향을 조정한 후, 사후 검사에서 집단 간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지 검증하기 위해 실시한 공산분석 결과는 두 집단 간의 사후검사 점수 차이는 사전검사 점수 차이로 인한 영향을 통제하고도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은 기각되었다. 이 결과는 성교육프로그램이 실험 집단 내의 결손- 비결손 가정의 성태도의 차이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Ⅵ. 결과 및 제언
1. 결과
(1) 성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결손가정 여중생의 성에 대한 지식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가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어서 성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2) 성교육 프로그램을 활용한 결과 결손가정 여중생의 성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2. 제언
(1) 결손가정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결손가정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연구들이 있으나 성에 대한 자아개념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성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고 비교해 보는 것도 의의가 있을 것이다.
(2) 본 연구에서는 개인차 특성을 고려하지 않았다. 후속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의 특성에 따라 상, 하위 집단으로 구분하여 실험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3) 본 연구에서 사용된 프로그램은 포괄적이고 주제가 광범위하여 짧은 시간에 적용하고 효과를 보기는 어려우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다양한 상담 기법과 접목하여 새로운 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결손가정 학생들에게 어떤 프로그램이 효과적인지 연구하는것도 의의가 있을 것이다.
추천자료
'성교육'에 관한 종합적 보고서
청소년 성교육
청소년 성교육 현황과 발전방향
청소년 성교육 모델프로그램 개발 개요
성교육 내용과 방법
성교육 피임법
생태유아교육프로그램의 운영 실제, 생태유아교육프로그램의 목표, 교육목적, 생태유아교육의...
노인교육프로그램을 조사한 후 자신의 코멘트를 기술하시오. (노인교육프로그램 조사, 노인교...
청소년 성교육 실태와 개선 방향
장애인 성교육 부제문제
노인교육론- 노인교육프로그램 하나를 선정,현황,내용,교육방법 등을 조사,노인의 신체적심리...
노년기 가족교육프로그램(가족생활교육, 노인치매예방프로그램, 노년기가족교육, 노인대상프...
부모교육프로그램(부모교육문제점, 부모교육필요성, 부모교육효과, 부모교육프로그램사례, 동...
[평생교육프로그램개발론]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에서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과 요구조사 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