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머를 활용하라.
② 자기가 던진 유머에 자기가 먼저 웃지 말라.
③ 상대의 감정이 상하지 않게 하라. 예를 들어 지체장애인은 팔 떨어진 서류걸이나 다 리 부러진 의자에 관한 농담을 재미있게 여기지 않는다.
④ 간결하고 핵심이 뚜렷한 유머를 구사하라.
⑤ 유머를 청중과 연관시키라.
⑥ 잘 알아들을 수 있도록 큰 소리로 말하라.
⑦ 실패한 유머를 반복하지 말라.
⑧ 성공한 유머도 반복하지 말라. 같은 얘기는 한번으로 족하다.
⑨ 자기 자신을 소재로 한 유머를 구사하라(외모, 나이, 재미있는 경험 등).
⑩ 청중과 관계 있는 실제 인물을 유머에 등장시키라.
유머 감각을 익히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타인의 얘기에 웃을 줄 알고, 재미있는 얘기를 찾아다니며 듣는 노력이 밑바탕에 깔려 있어야 한다. 거기다 여유와 자신감을 갖는다면 ‘유머리스트’로서 자격이 있는 사람으로 간주된다.
김은태 유머 평론가는 “유머 감각이 뛰어난 사람은 두뇌 회전이 빠르기 때문에 반대로 유머 감각을 익히면 두뇌 회전도 빨라진다”고 역설한다. 더불어 진정한 유머리스트가 되려면 우선 건강한 유머를 구사해야 하며, 좋은 유머와 나쁜 유머를 구분할 줄 아는 것이 유머 감각을 살리는 중요한 일이라고 덧붙인다.
유머가 언제나 웃음을 주고 좋은 결과만 낳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유머를 잘못 사용한 탓에 오히려 적을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인신 공격성 유머나 되 받아치는 성향의 유머, 분위기를 파악하지 못하고 아무데서나 남발하는 유머가 그러한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유머의 좋은 효과를 기대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요소에 주의를 두어야 한다.
① 상대를 헐뜯는 부분이 담겨 있는지 살펴본다.
② 비교 대상으로 쓰인 것이 혐오스럽다면 이미 실패한 유머다.
③ 훈훈한 인정이 오가는 내용이라면 일단 좋은 유머다.
④ 상대에 대한 배려가 있는가 없는가 살펴본다.
⑤ 신체적 약점을 이용하는 내용이 있는지 살펴본다.
⑥ 두 번 이상 연상해야 고개가 끄덕여지도록 한다.
⑦ 지금 이 유머가 주변 정서와 어울리고 있는가 확인한다.
⑧ 웃음의 뒷맛이 씁쓸하지 않도록 한다.
⑨ 유머를 듣고 웃음이 갑자기 나오는지 슬며시 나오는지 확인하라.
유머는 주변 상황이 중요하며, 유머를 들어줄 분위기가 만들어지기 전에 하는 유머는 금물이며, 상대와 환경에 따라 적절히 구사해야 좋은 효과를 가져온다는 것이다.
유머는 우리말 큰 사전에 '익살, 해학'이라고 풀이되어 있고 '익살'은 '일부러 멋지게 남을 웃기는 말이나 짓'으로, '해학'은 '익살스럽고 멋이 있는 말이나 짓'이라고 풀이하고 있다. 또한 유머를 '사람을 웃거나 미소짓게 만드는 어떤 것'이라고 정의하는 데 이러한 정의들은 모두 유머와 웃음이 서로 밀접한 관계에 있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웃음은 건강을 증진시키고, 사람들을 친하게 하고, 창의력을 증대시키는 기능도 있다고 한다. 웃음이 가지고 있는 이러한 유용성들은 대화를 하면서 유머를 잘 구사하는 사람이 더 좋은 인간관계를 맺을 수 있게 해 줄 뿐만 아니라, 나아가 '유머가 없는 연설은 범죄행위'라는 말을 할 정도로 대화에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게 한다.
유머의 유형으로 유머의 중심 소재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허튼 소리, 풍자, 철학적 유머, 성적 유머, 적대감을 드러내는 유머, 인종이나 지방색을 드러내는 유머 등 인간의 생활 가운데서 얼마든지 만들 수 있다. 이렇게 우리 생활에 밀접하고 친숙한 유머는 그 만큼 사회상을 담고 있는 폭 또한 크다. 유머를 한번 듣고 웃는 끝나는 것이 아닌 그 안에 담긴 우리의 모습 더 나아가서 우리가 지향하는 바가 무엇인지도 읽을 수 있는 것이야말로 유머를 진정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② 자기가 던진 유머에 자기가 먼저 웃지 말라.
③ 상대의 감정이 상하지 않게 하라. 예를 들어 지체장애인은 팔 떨어진 서류걸이나 다 리 부러진 의자에 관한 농담을 재미있게 여기지 않는다.
④ 간결하고 핵심이 뚜렷한 유머를 구사하라.
⑤ 유머를 청중과 연관시키라.
⑥ 잘 알아들을 수 있도록 큰 소리로 말하라.
⑦ 실패한 유머를 반복하지 말라.
⑧ 성공한 유머도 반복하지 말라. 같은 얘기는 한번으로 족하다.
⑨ 자기 자신을 소재로 한 유머를 구사하라(외모, 나이, 재미있는 경험 등).
⑩ 청중과 관계 있는 실제 인물을 유머에 등장시키라.
유머 감각을 익히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타인의 얘기에 웃을 줄 알고, 재미있는 얘기를 찾아다니며 듣는 노력이 밑바탕에 깔려 있어야 한다. 거기다 여유와 자신감을 갖는다면 ‘유머리스트’로서 자격이 있는 사람으로 간주된다.
김은태 유머 평론가는 “유머 감각이 뛰어난 사람은 두뇌 회전이 빠르기 때문에 반대로 유머 감각을 익히면 두뇌 회전도 빨라진다”고 역설한다. 더불어 진정한 유머리스트가 되려면 우선 건강한 유머를 구사해야 하며, 좋은 유머와 나쁜 유머를 구분할 줄 아는 것이 유머 감각을 살리는 중요한 일이라고 덧붙인다.
유머가 언제나 웃음을 주고 좋은 결과만 낳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유머를 잘못 사용한 탓에 오히려 적을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인신 공격성 유머나 되 받아치는 성향의 유머, 분위기를 파악하지 못하고 아무데서나 남발하는 유머가 그러한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유머의 좋은 효과를 기대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요소에 주의를 두어야 한다.
① 상대를 헐뜯는 부분이 담겨 있는지 살펴본다.
② 비교 대상으로 쓰인 것이 혐오스럽다면 이미 실패한 유머다.
③ 훈훈한 인정이 오가는 내용이라면 일단 좋은 유머다.
④ 상대에 대한 배려가 있는가 없는가 살펴본다.
⑤ 신체적 약점을 이용하는 내용이 있는지 살펴본다.
⑥ 두 번 이상 연상해야 고개가 끄덕여지도록 한다.
⑦ 지금 이 유머가 주변 정서와 어울리고 있는가 확인한다.
⑧ 웃음의 뒷맛이 씁쓸하지 않도록 한다.
⑨ 유머를 듣고 웃음이 갑자기 나오는지 슬며시 나오는지 확인하라.
유머는 주변 상황이 중요하며, 유머를 들어줄 분위기가 만들어지기 전에 하는 유머는 금물이며, 상대와 환경에 따라 적절히 구사해야 좋은 효과를 가져온다는 것이다.
유머는 우리말 큰 사전에 '익살, 해학'이라고 풀이되어 있고 '익살'은 '일부러 멋지게 남을 웃기는 말이나 짓'으로, '해학'은 '익살스럽고 멋이 있는 말이나 짓'이라고 풀이하고 있다. 또한 유머를 '사람을 웃거나 미소짓게 만드는 어떤 것'이라고 정의하는 데 이러한 정의들은 모두 유머와 웃음이 서로 밀접한 관계에 있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웃음은 건강을 증진시키고, 사람들을 친하게 하고, 창의력을 증대시키는 기능도 있다고 한다. 웃음이 가지고 있는 이러한 유용성들은 대화를 하면서 유머를 잘 구사하는 사람이 더 좋은 인간관계를 맺을 수 있게 해 줄 뿐만 아니라, 나아가 '유머가 없는 연설은 범죄행위'라는 말을 할 정도로 대화에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게 한다.
유머의 유형으로 유머의 중심 소재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허튼 소리, 풍자, 철학적 유머, 성적 유머, 적대감을 드러내는 유머, 인종이나 지방색을 드러내는 유머 등 인간의 생활 가운데서 얼마든지 만들 수 있다. 이렇게 우리 생활에 밀접하고 친숙한 유머는 그 만큼 사회상을 담고 있는 폭 또한 크다. 유머를 한번 듣고 웃는 끝나는 것이 아닌 그 안에 담긴 우리의 모습 더 나아가서 우리가 지향하는 바가 무엇인지도 읽을 수 있는 것이야말로 유머를 진정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추천자료
블록 버스터와 스타 시스템-한국문화산업분석에 초점을 맞추어
(요약본)한국건축문화유산의 보존과 역사
기독교와 한국문화
한국문화의 특성을 설명하고 사회복지실천과의 연관성에 대해 본인의 의견을 서술하시오.
한국청동기문화
일본문화의이해 - 독도 분쟁
리포트_대중문화의이해_1
세계문화이해
마틴 J. 개논의 「세계문화이해」읽고 - 지역별로 접하는 세계문화와 이해
앉아서 떠나는23개국 지적 문화여행 [마틴J. 개논의 세계문화이해]
한국문화교육론 10p TV 문학관 -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
OCU 한국민속과전통문화 박물관 견학 리포트
[한국전통문화] 십이지 동물의 상징성과 관련 속담(쥐, 소, 호랑이, 토끼, 용, 뱀, 말, 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