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목 차 -
1. 이론적 배경 ____________(p.3)
2. 개 요 ____________(p.4)
3. 시 험 목 적 ____________(p.4)
4. 준 비 물 _______________(p.4)
5. 시 험 순 서 ____________(p.5)
6. 주 의 사 항 ____________(p.7)
7. 비중 시험 (추가)설명 ____(p.8)
8. 시험결과 및 데이터 ______(p.11)
9. 데이터 해석 ____________(p.13)
10. 고 찰 ___________(p.16)
11. 사 진 자 료 ___________(p.16)
12. 참 고 문 헌 ___________(p.18)
1. 이론적 배경 ____________(p.3)
2. 개 요 ____________(p.4)
3. 시 험 목 적 ____________(p.4)
4. 준 비 물 _______________(p.4)
5. 시 험 순 서 ____________(p.5)
6. 주 의 사 항 ____________(p.7)
7. 비중 시험 (추가)설명 ____(p.8)
8. 시험결과 및 데이터 ______(p.11)
9. 데이터 해석 ____________(p.13)
10. 고 찰 ___________(p.16)
11. 사 진 자 료 ___________(p.16)
12. 참 고 문 헌 ___________(p.18)
본문내용
하여 수위가 피크노미터의 절반정도가 되게 한다.
⑨ 흙 속의 공기를 쉽게 배출시키기 위하여 피크노미터를 10분 이상 끓인 다.
⑩ 피크노미터를 검정곡선 범위 내의 온도까지 식힌다.
⑪ 피크노미터를 증류수로 채우고 뚜껑을 닫은 후 물로 가득 채운다. 뚜껑 부분에 기포가 없도록 완전하게 채워야 한다. 피크노미터의 표면과 뚜껑 외부의 물기를 깨끗이 제거한다.
⑫ (피크노미터 + 증류수 + 시료)의 무게 를 0.01gf정밀도로 측정하 고 온도 를 측정한다.
⑬ 무게 를 임의의 온도 에 대한(피크노미터 + 증류수)의 무게 로 환산한다.
⑭ 같은 방법으로 3회 이상 시험하여 이상한 값은 버리고 나머지의 평균값 을 채택한다.
2) 습윤시료 사용
비중시험에는 가능한 노 건조시료를 사용하며 특별한 경우에만 습윤시료를 사용한다.
① 피크노미터를 건조시킨다.
② 건조된 피크노미터의 무게 를 잰다.
③ 피크노미터에 기포가 없도록 증류수를 가득 채우고(피크노미터 + 증류 수)의 무게 와 온도 를 측정한다.
④ 유리판 위나 유발 안에서 빻아서 입자를 낱알 형태로 만든다.
⑤ 검정을 끝낸 깨끗하고 건조한 피크노미터(무게 )속에 넣고 (피크노미터+ 시료)의 무게 를 0.01gf의 정도까지 측정한다.
⑥ 피크노미터에 증류수를 반 정도 채운다.
⑦ 흙 속의 공기를 쉽게 배출시키기 위하여 피크노미터를 10분 이상 끓인 다. 시료에 따라 끓이는 시간이 다를 수 있다. 이때 진공펌프를 사용하여 피크노미터속의 압력을 대기압 이하로 내리면 끓는 온도가 내려가 공기 배출이 용이해진다.
⑧ 피크노미터의 검정곡선 범위내의 온도까지 식힌 다음 증류수로 채우고 뚜껑을 닫은 후 물로 채운다.
⑨ 피크노미터의 표면과 뚜껑 외부의 물기를 깨끗이 제거한 후 (피크노미터 + 증류수 + 시료)의 무게 와 온도 를 측정한다.
⑩ 내용물을 증발접시에 옮긴다. 미량이라도 입자가 남지 않아야 한다.
⑪ 내용물을 노건조 시킨다.
⑫ 노건조한 후 노에서 꺼내어 데시케이터에서 실온으로 식힌다.
⑬ 건조무게 를 측정한다.
⑭ 를 온도 에 대한 값 로 전환한다.
⑮ 같은 방법으로 3~5회 이상 시험하여 이상한 값은 버리고 나머지(최소 3 개 이상)의 평균값을 채택한다.
측정치를 정리하고 비중을 계산한다.
5. 주의 사항
① 무게는 항상 뚜껑(stopper)과 함께 잰다.
② 비중의 표준온도는 15이다.
③ 2개 이상을 시험하여 평균치를 비중으로 하되 2개의 비중 차가 0.03이 상이면 재시험한다.
④ 비중병에 증류수를 채울 때에는 기포가 남지 않도록 할 것과 스토퍼를 바른 위치에 둘 것에 주의해야 한다.
⑤ 비중병을 사용할 경우에는 될 수 있는 대로 100ml 것을 사용하고, 조립 의 흙인 경우에는 메스플라스크를 사용한다.
6. 결과의 해석 및 정리 ( 데이터포함)
1) 비중
.
2)비중을 이용한 간극비와 포화도의 계산
① 간극비(e)
② 포화도
③ 의 계산
④ 비중 결정
각온도에 대한 보정계수()의 값
온도(℃)
보정계수()
온도(℃)
보정계수()
4
-0.0006
-18
0.0004
5
-0.0006
19
0.0006
6
-0.0006
20
0.0008
7
-0.0006
21
0.0010
8
-0.0006
22
0.0012
9
-0.0005
23
0.0014
10
-0.0005
24
0.0016
11
-0.0004
25
0.0018
12
-0.0003
26
0.0020
13
-0.0002
27
0.0023
14
-0.0001
28
0.0025
15
0.0000
29
0.0028
16
0.0001
30
0.0031
17
0.0003
※단, 온도의 변화에 따른 물의 비중의 변화 범위는 대단히 좁다. 따라서 물의 비중 대신 15℃를 기준으로 보정하더라도 측정값의 큰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는다. 한국공업규격은 15℃를 기준으로 보정계수를 정하여 보정하도록 하고 있다.
15℃의 물에 대한 비중은 다음식과 같다.
비중병 검정
시험번호
1
2
3
(비중병+물)의 무게 , g
146.755
141.811
141.961
온도 ℃
15
15
15
비중 결정
시험번호
#1
#2
#3
1
온도
15
15
15
2
(비중병+물+흙 )의 무게, g
154.450
151.763
146.731
3
(비중병+물)의 무게, g
146.755
141.811
141.961
4
용기 번호
5-1
5-2
5-3
5
(마른흙+용기) 의무게 g
88.330
86.810
84.870
6
용기의무게 g
64.31
62.34
60.67
7
마른흙의무게, g
24.02
24.47
24.20
8
보정계수,
1
1
1
9
흙의 비중
1.4206
1.5342
1.3021
평균비중 , = 1.36135
⑤함수비 계산
* 함수비를 알려면 시료에 포함된 물의 중량을 알아야 한다. 비중병에 넣은 시료의 양은 각각 25g의 정해진 양이다. 비커의 마른 흙의 무게는 순수한 흙만의 무게를 의미하므로, 초기 시료의 양(25g)에서 마른 흙의 무게를 빼주면 시료에 포함된 물의 함량(함수비)를 구할 수 있다.
⑥ 시료의 비중
5-2 시험 데이터 값은 간극비e에서 발생한 오류로 평균계산 시 이를 제외하고 계산한다.
* 5-2 시험 데이터 값은 간극비 에서 발생한 오류로 인해 평균계산 시 5-2의 데이터를 제외하고 계산에서 제외한다.
⑦ 간극비와 단위중량
⑧ V값 구하기
⑨ 습윤단위중량의 계산
⑩ 함수비 bar W 의 계산
⑪ 건조단위 중량의 계산
⑫ 검산 평균값을 통한 계산
⑬ e값의 계산
⑭ 습윤토
⑮ 검산평균값을통한계산
포화도
평균값 정리
8. 고 찰
9. 사진 자료
①비커에 무게 측정 중 ② 체가름 하는 장면
③피크노미터에 시료 넣는 중 ④ 가열한 뒤 침전된 모습
⑤ 잔골재의 분류 ⑥비중 시료 담은 비커(노건조)
⑦가열한 뒤 침전 모습
10. 참고문헌
권호진, 『토질역학』, 제2판, 구미서관, 2009
김상규, 『토질시험』, 수정판, 동명사, 2008
김용성, 『토질공학』, 일광, 2003
박종현, 『토질시험』, 동학, 2002
이상덕, 『토질시험(원리와 방법)』, 새론, 1997
임상주, 『건설재료시험』, 나누리, 2005
Barja M. Das, 『토질공학』, 신은철 역, 교보문고, 2001
⑨ 흙 속의 공기를 쉽게 배출시키기 위하여 피크노미터를 10분 이상 끓인 다.
⑩ 피크노미터를 검정곡선 범위 내의 온도까지 식힌다.
⑪ 피크노미터를 증류수로 채우고 뚜껑을 닫은 후 물로 가득 채운다. 뚜껑 부분에 기포가 없도록 완전하게 채워야 한다. 피크노미터의 표면과 뚜껑 외부의 물기를 깨끗이 제거한다.
⑫ (피크노미터 + 증류수 + 시료)의 무게 를 0.01gf정밀도로 측정하 고 온도 를 측정한다.
⑬ 무게 를 임의의 온도 에 대한(피크노미터 + 증류수)의 무게 로 환산한다.
⑭ 같은 방법으로 3회 이상 시험하여 이상한 값은 버리고 나머지의 평균값 을 채택한다.
2) 습윤시료 사용
비중시험에는 가능한 노 건조시료를 사용하며 특별한 경우에만 습윤시료를 사용한다.
① 피크노미터를 건조시킨다.
② 건조된 피크노미터의 무게 를 잰다.
③ 피크노미터에 기포가 없도록 증류수를 가득 채우고(피크노미터 + 증류 수)의 무게 와 온도 를 측정한다.
④ 유리판 위나 유발 안에서 빻아서 입자를 낱알 형태로 만든다.
⑤ 검정을 끝낸 깨끗하고 건조한 피크노미터(무게 )속에 넣고 (피크노미터+ 시료)의 무게 를 0.01gf의 정도까지 측정한다.
⑥ 피크노미터에 증류수를 반 정도 채운다.
⑦ 흙 속의 공기를 쉽게 배출시키기 위하여 피크노미터를 10분 이상 끓인 다. 시료에 따라 끓이는 시간이 다를 수 있다. 이때 진공펌프를 사용하여 피크노미터속의 압력을 대기압 이하로 내리면 끓는 온도가 내려가 공기 배출이 용이해진다.
⑧ 피크노미터의 검정곡선 범위내의 온도까지 식힌 다음 증류수로 채우고 뚜껑을 닫은 후 물로 채운다.
⑨ 피크노미터의 표면과 뚜껑 외부의 물기를 깨끗이 제거한 후 (피크노미터 + 증류수 + 시료)의 무게 와 온도 를 측정한다.
⑩ 내용물을 증발접시에 옮긴다. 미량이라도 입자가 남지 않아야 한다.
⑪ 내용물을 노건조 시킨다.
⑫ 노건조한 후 노에서 꺼내어 데시케이터에서 실온으로 식힌다.
⑬ 건조무게 를 측정한다.
⑭ 를 온도 에 대한 값 로 전환한다.
⑮ 같은 방법으로 3~5회 이상 시험하여 이상한 값은 버리고 나머지(최소 3 개 이상)의 평균값을 채택한다.
측정치를 정리하고 비중을 계산한다.
5. 주의 사항
① 무게는 항상 뚜껑(stopper)과 함께 잰다.
② 비중의 표준온도는 15이다.
③ 2개 이상을 시험하여 평균치를 비중으로 하되 2개의 비중 차가 0.03이 상이면 재시험한다.
④ 비중병에 증류수를 채울 때에는 기포가 남지 않도록 할 것과 스토퍼를 바른 위치에 둘 것에 주의해야 한다.
⑤ 비중병을 사용할 경우에는 될 수 있는 대로 100ml 것을 사용하고, 조립 의 흙인 경우에는 메스플라스크를 사용한다.
6. 결과의 해석 및 정리 ( 데이터포함)
1) 비중
.
2)비중을 이용한 간극비와 포화도의 계산
① 간극비(e)
② 포화도
③ 의 계산
④ 비중 결정
각온도에 대한 보정계수()의 값
온도(℃)
보정계수()
온도(℃)
보정계수()
4
-0.0006
-18
0.0004
5
-0.0006
19
0.0006
6
-0.0006
20
0.0008
7
-0.0006
21
0.0010
8
-0.0006
22
0.0012
9
-0.0005
23
0.0014
10
-0.0005
24
0.0016
11
-0.0004
25
0.0018
12
-0.0003
26
0.0020
13
-0.0002
27
0.0023
14
-0.0001
28
0.0025
15
0.0000
29
0.0028
16
0.0001
30
0.0031
17
0.0003
※단, 온도의 변화에 따른 물의 비중의 변화 범위는 대단히 좁다. 따라서 물의 비중 대신 15℃를 기준으로 보정하더라도 측정값의 큰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는다. 한국공업규격은 15℃를 기준으로 보정계수를 정하여 보정하도록 하고 있다.
15℃의 물에 대한 비중은 다음식과 같다.
비중병 검정
시험번호
1
2
3
(비중병+물)의 무게 , g
146.755
141.811
141.961
온도 ℃
15
15
15
비중 결정
시험번호
#1
#2
#3
1
온도
15
15
15
2
(비중병+물+흙 )의 무게, g
154.450
151.763
146.731
3
(비중병+물)의 무게, g
146.755
141.811
141.961
4
용기 번호
5-1
5-2
5-3
5
(마른흙+용기) 의무게 g
88.330
86.810
84.870
6
용기의무게 g
64.31
62.34
60.67
7
마른흙의무게, g
24.02
24.47
24.20
8
보정계수,
1
1
1
9
흙의 비중
1.4206
1.5342
1.3021
평균비중 , = 1.36135
⑤함수비 계산
* 함수비를 알려면 시료에 포함된 물의 중량을 알아야 한다. 비중병에 넣은 시료의 양은 각각 25g의 정해진 양이다. 비커의 마른 흙의 무게는 순수한 흙만의 무게를 의미하므로, 초기 시료의 양(25g)에서 마른 흙의 무게를 빼주면 시료에 포함된 물의 함량(함수비)를 구할 수 있다.
⑥ 시료의 비중
5-2 시험 데이터 값은 간극비e에서 발생한 오류로 평균계산 시 이를 제외하고 계산한다.
* 5-2 시험 데이터 값은 간극비 에서 발생한 오류로 인해 평균계산 시 5-2의 데이터를 제외하고 계산에서 제외한다.
⑦ 간극비와 단위중량
⑧ V값 구하기
⑨ 습윤단위중량의 계산
⑩ 함수비 bar W 의 계산
⑪ 건조단위 중량의 계산
⑫ 검산 평균값을 통한 계산
⑬ e값의 계산
⑭ 습윤토
⑮ 검산평균값을통한계산
포화도
평균값 정리
8. 고 찰
9. 사진 자료
①비커에 무게 측정 중 ② 체가름 하는 장면
③피크노미터에 시료 넣는 중 ④ 가열한 뒤 침전된 모습
⑤ 잔골재의 분류 ⑥비중 시료 담은 비커(노건조)
⑦가열한 뒤 침전 모습
10. 참고문헌
권호진, 『토질역학』, 제2판, 구미서관, 2009
김상규, 『토질시험』, 수정판, 동명사, 2008
김용성, 『토질공학』, 일광, 2003
박종현, 『토질시험』, 동학, 2002
이상덕, 『토질시험(원리와 방법)』, 새론, 1997
임상주, 『건설재료시험』, 나누리, 2005
Barja M. Das, 『토질공학』, 신은철 역, 교보문고, 2001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