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실습 목표]
[시험 장치 및 기구]
[안전 및 유의사항]
[실습순서]
1.비중병의 점검
2.흙의 비중 측정
※ 참고 사항
[관계 지식]
⑴ 결과의 정리
⑵ 결과의 이용
[시험 장치 및 기구]
[안전 및 유의사항]
[실습순서]
1.비중병의 점검
2.흙의 비중 측정
※ 참고 사항
[관계 지식]
⑴ 결과의 정리
⑵ 결과의 이용
본문내용
28
0.996264
0.9971
15
0.999129
1.0000
29
0.995976
0.9968
16
0.998972
0.9998
30
0.995678
0.9965
17
0.998804
0.9997
31
0.995372
0.9962
⑵ 결과의 이용
㈎흙의 기본적 성질인 공극비, 포화도의 계산
㈀공극비(e)의 계산
e=
여기서, Gs:흙의 비중
rw:물의 단위 무게(g/cm³)
w : 함수비(%)
rt: 습윤 단위 무게(g/cm³)
rd: 건조 단위 무게(g/cm³)
㈁포화도(sr)의 계산
Sr=
㈏흙의 다짐 정도를 알기 위하여 포화도 곡선, 영공기 공극 곡선, 공기 공극을 곡선
에 필요한 건조 단위 무게의 계산
㈀포화도 곡선, 영공기 공극 곡선(Zero Air Void Curve, ST=100% 인 경우)
rd=
㈁공기 공극율 일전 곡선
rd=(g/cm³)
여기서,υa:흙의 공기 공극율=
Va:흙 중의 공기 공극 부분의 체적(cm³)
V :다져진 흙의 전 체적(cm³)
㈐ 흙의 비중은 수축 안정 시험 결과 얻어진 수축비에 의하여 근사적으로 얻어진다.
Gs=
여기서, Gs: 흙입자의 비중
R:수축비
Ws:수축 한계(%)
㈑ 흙의 비중은 흙의 안정에 영향을 주는 공극비와 포화도를 구하는데 필요하다.
흙을 구성하는 광물 및 이탄의 대략적인 비중은 다음과 같다.
조암 광물 2.50~2.80
점토 광물 2.70~2.90
이 탄 1.10~2.50
따라서 섬유질과 유기질토를 제외한 대부분의 토립자의 비중은 거의 모든 흙에
대하여 2.60~2.85의 범위에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2.65~2.75라 생각하면 좋다.
0.996264
0.9971
15
0.999129
1.0000
29
0.995976
0.9968
16
0.998972
0.9998
30
0.995678
0.9965
17
0.998804
0.9997
31
0.995372
0.9962
⑵ 결과의 이용
㈎흙의 기본적 성질인 공극비, 포화도의 계산
㈀공극비(e)의 계산
e=
여기서, Gs:흙의 비중
rw:물의 단위 무게(g/cm³)
w : 함수비(%)
rt: 습윤 단위 무게(g/cm³)
rd: 건조 단위 무게(g/cm³)
㈁포화도(sr)의 계산
Sr=
㈏흙의 다짐 정도를 알기 위하여 포화도 곡선, 영공기 공극 곡선, 공기 공극을 곡선
에 필요한 건조 단위 무게의 계산
㈀포화도 곡선, 영공기 공극 곡선(Zero Air Void Curve, ST=100% 인 경우)
rd=
㈁공기 공극율 일전 곡선
rd=(g/cm³)
여기서,υa:흙의 공기 공극율=
Va:흙 중의 공기 공극 부분의 체적(cm³)
V :다져진 흙의 전 체적(cm³)
㈐ 흙의 비중은 수축 안정 시험 결과 얻어진 수축비에 의하여 근사적으로 얻어진다.
Gs=
여기서, Gs: 흙입자의 비중
R:수축비
Ws:수축 한계(%)
㈑ 흙의 비중은 흙의 안정에 영향을 주는 공극비와 포화도를 구하는데 필요하다.
흙을 구성하는 광물 및 이탄의 대략적인 비중은 다음과 같다.
조암 광물 2.50~2.80
점토 광물 2.70~2.90
이 탄 1.10~2.50
따라서 섬유질과 유기질토를 제외한 대부분의 토립자의 비중은 거의 모든 흙에
대하여 2.60~2.85의 범위에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2.65~2.75라 생각하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