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유가사상과 도가사상의 비교와 나의생각
1.유가
1)유가의 성립
2)춘추전국시대의 유가사상의 주장
3)유가의 인간관
4)유가의 교육학적 측면
5)유가의 세계관
2.도가
1)도가의 성립
2)춘추전국시대의 도가사상의 주장
3)도가의 인간관
4)도가의 교육학적 측면
5)도가의 세계관
3.유가와 도가의 차이
4.나의 의견
1.유가
1)유가의 성립
2)춘추전국시대의 유가사상의 주장
3)유가의 인간관
4)유가의 교육학적 측면
5)유가의 세계관
2.도가
1)도가의 성립
2)춘추전국시대의 도가사상의 주장
3)도가의 인간관
4)도가의 교육학적 측면
5)도가의 세계관
3.유가와 도가의 차이
4.나의 의견
본문내용
어떠한 문제에 도달하였을 때 그 문제를 해결하려 하지 않고 그저 흐름에 내버려 두고 떠나버린다면 해결책이 없다는 점에서 그 문제가 있다고 할 수 있다.
4.나의 의견
공자의 사상을 들어보면 급속하게 변화하는 현대사회속에 우리가 살고있어서 그런지 매우 고리타분하게 들릴지모른다. 공자는 지도자가 덕이 있어야 하며 백성들을 도덕과 예의로 지배해야 한다고 주장을 하였다. 지도자들은 백성들을 도덕과 예의로 다스려야한다고 주장하였다. 왜냐하면 왕이 먼저 도덕과 예의를 갖추어야 아랫사람은 섬기고 따를것이고 충성할것이다. 하지만 사람은 욕심이많으므로 그렇게 되기가 매우힘들다. 그러므로 왕은 예의와 도덕을갖추고 노력을 해야만 백성들이 지도자를 따르고 나라가발전하게될것이다. 현대사회는 민주주의사회이지만 사회의 지도층이 있다는것을 감안하면 이것을 현대사회에 적용을할수 있을것이다. 그런데 21세기, 민주주의 사회인 대한민국에서 국민들의 손에 의해 선출된 이명박 대통령은 정말 국민을 근본으로 생각하고 있을까?
그리고 도가사상은 인간은 모두평등하고 간섭받거나 지배받지않은, 욕심도버리고 자연스러운 상태를 의미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현대사회는 경쟁사회고 문화가 발달하였으며 인위적임, 경쟁 등등 현대사회와는 전혀 맞지않는 사상처럼 보인다. 하지만 현대사회의 빠름과 조급함 인위적인 이러한 사회에서, 도가사상은 우리가 한숨을쉬고 여유로움을 가질수있게끔 도와준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인위적이지않고 꾸밈이없는 자연으로 돌아가는 삶과, 욕심많은 우리의 현대인들에게 이기심을버리고 물과같이 희생하고 유연함을가지는 가르침을 배울수있다고 생각한다.
4.나의 의견
공자의 사상을 들어보면 급속하게 변화하는 현대사회속에 우리가 살고있어서 그런지 매우 고리타분하게 들릴지모른다. 공자는 지도자가 덕이 있어야 하며 백성들을 도덕과 예의로 지배해야 한다고 주장을 하였다. 지도자들은 백성들을 도덕과 예의로 다스려야한다고 주장하였다. 왜냐하면 왕이 먼저 도덕과 예의를 갖추어야 아랫사람은 섬기고 따를것이고 충성할것이다. 하지만 사람은 욕심이많으므로 그렇게 되기가 매우힘들다. 그러므로 왕은 예의와 도덕을갖추고 노력을 해야만 백성들이 지도자를 따르고 나라가발전하게될것이다. 현대사회는 민주주의사회이지만 사회의 지도층이 있다는것을 감안하면 이것을 현대사회에 적용을할수 있을것이다. 그런데 21세기, 민주주의 사회인 대한민국에서 국민들의 손에 의해 선출된 이명박 대통령은 정말 국민을 근본으로 생각하고 있을까?
그리고 도가사상은 인간은 모두평등하고 간섭받거나 지배받지않은, 욕심도버리고 자연스러운 상태를 의미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현대사회는 경쟁사회고 문화가 발달하였으며 인위적임, 경쟁 등등 현대사회와는 전혀 맞지않는 사상처럼 보인다. 하지만 현대사회의 빠름과 조급함 인위적인 이러한 사회에서, 도가사상은 우리가 한숨을쉬고 여유로움을 가질수있게끔 도와준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인위적이지않고 꾸밈이없는 자연으로 돌아가는 삶과, 욕심많은 우리의 현대인들에게 이기심을버리고 물과같이 희생하고 유연함을가지는 가르침을 배울수있다고 생각한다.
추천자료
중국사상에서 순자사상의 위치
[중국][경제개혁][중국 경제개혁][모택동 사상]중국 경제개혁과 모택동 사상(중국 경제개혁의...
[원효][원효대사][원효사상][원효(원효대사) 일심사상][원효(원효대사) 불교학 습득과정]원효...
[유교][유교사상][유교(유교사상) 인간관][유교(유교사상) 효사상]유교(유교사상)의 정의와 ...
[북한주체사상]북한 주체사상의 개념, 북한 주체사상의 형성배경, 북한 주체사상의 원칙, 북...
[묵자, 묵가] 묵자의 사상과 철학(묵자 사상)(묵가 사상)
신라 교육사상가 원효, 설총, 최치원, 고려 교육사상가 최충과 안향, 고려 교육사상가 이색과...
노자의 교육사상(교육철학), 공자의 교육사상(교육철학), 묵자의 교육사상(교육철학), 맹자의...
신라 원효, 설총, 최치원의 교육사상, 고려 최충과 안향의 교육사상, 고려 이색과 정몽주의 ...
[도가사상]道(도)의 정의, 道(도)의 깨달음, 도가사상(노장사상)의 개념, 도가사상(노장사상)...
동양사상(동양철학)과 민주주의, 동양사상(동양철학)과 윤리, 동양사상(동양철학)과 유학, 동...
[철학][생철학]철학의 의미, 철학의 대상, 철학과 생철학, 철학과 종교철학, 철학과 교육철학...
도가사상(道家思想)과 신선사상(神仙思想)
고대철학의이해 - 중국 고대철학의 형성 배경, 유가 철학에 관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