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바다 강릉기행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동해바다 강릉기행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우리가 가는곳
참소리박물관
양떼목장
정리활동
체험보고서
메모장

본문내용

종류는 메리노 양으로 알려져 있다. 개장 당시에는 500여 마리에 달했으나 털을 목적으로 양을 키우던 것은 아니었기 때문에 점차 그 수가 줄어들어 지금은 230여 마리가 관광이나 기타목적으로 사육되고 있다. 사육 방법으로는 5월에서 10월에 걸쳐 주로 자연 방목되며 이때는 관광객이 직접 메리노 양을 접하거나 드넓은 목장을 배경으로 자유롭게 촬영도 할수 있다. 하지만 기온이 낮은 겨울철엔 주로 축사에 머물며 건초를 먹이로 겨울을 나기 때문에 들판을 노닐며 풀을 뜯는 양들을 보기는 힘들다. 그러나 목장측은 겨울에도 이곳을 찾는 이들을 위해 50여 마리를 따로 축사에 준비해두고 있으며 관광객들로 하여금 먹이주기 체험등을 통해 양을 직접 만져보며 이 신비로운 생명체와 교감을 이어주고 있다.
[미리 알아볼까요?]
★ 대관령
해발고도 832m. 고개의 총연장이 13km나 되며, 고개의 굽이가 99개소에 이른다고 한다. 서울과 영동을 잇는 태백산맥의 관문이며, 영동고속도로가 통과한다.
이 일대는 황병산, 선자령, 발왕산 등에 둘러싸인 분지로, 고위평탄면 지형을 이룬다. 기후는 한랭 다우지역으로 한국에서 가장 먼저 서리가 내리는 지역이다. 특히 겨울에 눈이 많이 내려 스키장이 들어서기에 좋은 조건이다. 연평균 기온은 6.1 ℃, 연강수량은 1,450mm이다. 고랭지 채소 및 씨감자의 주산지이며 목축업이 발달해 있다.
(고위평탄면 : 해발고도가 높은 곳에서 낮고 평탄한 면이 넓게 펼쳐져 있는 지형을 말한다.)
★ 고랭지 채소
산지나 고원 지대는 상대적으로 기온이 낮으므로 그 지형의 고도에 따른 기온의 차이, 기후의 다름을 감안하고 그곳의 지세·토질 등의 차이에 따라 거기에 알맞은 농사를 지어야 할 필요가 생긴다. 일반적으로 고랭지는 기온이 낮고 눈이 쌓여있는 기간이 길고 안개와 서리가 낀 날도 많으나 그 대신에 일조시간이 길기 때문에 그에 적절한 품종을 선택하고 재배 농법의 개량 등에 힘쓰면 보다 많은 수익성을 올릴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우리 나라에서는 대관령 일대에서의 고랭지 채소재배가 활발한데, 배추·여름 무 등 채소와 맥주의 원료인 홉과 여러 가지의 약초 및 목초 재배도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고랭지에서의 채소 재배는 무농약 재배인 청정재배 채소의 생산이 가능하므로 신선도면에서도 우수한 상품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가격면에서 저지대 농지에서의 산품보다 비싼 것이 흠이다.
★ 건초
사료작물의 생장은 계절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가축에 신선한 생초를 끊임없이 공급할 수는 없다. 따라서 건초나 엔실리지와 같은 저장사료가 필요하게 된다.
【건초의 종류】 건초는 생초보다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사료가치가 높으면서 건조되기 쉬운 재료가 쓰이며, 유럽이나 미국 등지에서는 앨팰퍼가 가장 중요한 재료로 이용되고 있다.
【건초의 품질】 외관상으로 보아 양질(良質)의 건초는 다음과 같은 것이라야 한다. ① 전반적으로 담록색(淡綠色)이고, 특유한 향기가 있으며, 곰팡이가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② 부러뜨려 볼 때에 탄력성이 있고 또한 잎이 많이 달려 있어야 한다. ③ 유독초(有毒草)가 없고 다른 잡초가 적게 섞여 있어야 한다. ④ 수분함량이 15 % 이하라야 한다.
【건초의 급여】 가축의 종류 ·품종 ·체중 등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그 가축 체중의 1~3%를 하루에 급여하면 된다
★ [집중탐구] 양
양모(양털)
화학적으로는 케라틴이라는 단백질로 되어 있으며, 황을 함유하기 때문에 태우면 특이한 냄새가 난다.
양모는 1년에 한 번 봄에 깎는다. 양모는 흩어지지 않도록 깎아, 한 마리의 양으로부터 1장의 양모피(한 벌의 양모, 플리이스)를 취하고, 주위의 더러운 부분이나 품질이 나쁜 부분을 제거한 다음 겉면을 안쪽으로 하여 갠다.
양모의 생산은 2세 때가 최고이고, 그 이후는 나이를 더해 갈수록 점점 감소한다. 또 숙달된 사람은 기계깎기로 하루에 200마리 이상의 양모를 깎을 수가 있으나, 손으로 깎을 경우에는 한 마리를 깎는 데 약 20분이 걸린다.
양모는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아르헨티나 ·미국 ·러시아 등지에서 많이 생산된다. 오스트레일리아산(産)은 메리노종(種)이 대부분으로, 품질이 우량한 것이 많고, 양적으로도 세계의 약 1/3을 차지하고 있다. 한국은 양모의 수요량을 거의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현장체험보고서
학년 반 이름
견 학 목 적
견 학 한 곳
견 학 일 시
200 년 월 일 ( 요일)
교 통 수 단
도보 승용차 버스 기차 선박 비행기
도와주신 분
함께간 친구
견학한 내용
본것
1.
2.
3.
들은것
1.
2.
3.
만져본것
1.
2.
3.
궁금한 점
1.
2.
3.
4.
5.
견학을 통해 알게된 점과 조사한 내용
본것
※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을 그려보세요.
체험
일기장
※ 오늘 체험한 내용을 일기장에 써보세요.
---------------------------------------------
---------------------------------------------
---------------------------------------------
---------------------------------------------
---------------------------------------------
---------------------------------------------
---------------------------------------------
---------------------------------------------
---------------------------------------------
---------------------------------------------
---------------------------------------------
---------------------------------------------
---------------------------------------------
---------------------------------------------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0.06.09
  • 저작시기201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79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