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계곡
계곡의 특징
계곡의 대표적인 생물들
2. 하천
하천의 역할
하천의 생물들
3. 호수
수중생물 관찰방법
4. 기타
집에서 물고기를 키우려면
빙고게임
수서생물그리기
계곡의 특징
계곡의 대표적인 생물들
2. 하천
하천의 역할
하천의 생물들
3. 호수
수중생물 관찰방법
4. 기타
집에서 물고기를 키우려면
빙고게임
수서생물그리기
본문내용
느려지며 나뭇가지와 수초가 있는 지역은 물자라와 같은 수서 곤충이 서식하는 장소이며 보호색을 띄므로 자세한 관찰이 필요
6. 계곡에서는 넓은 지역보다는 좁은 지역을 세심하게 관찰하는 것이 더욱 많은 생물을 관찰
7. 봄과 초여름에는 수초지대를 자세히 관찰하면 물고기의 알과 수서 곤충 류의 알을 관찰
8. 봄, 여름, 그리고 가을의 맑은 날 늦은 오후에는 하루살이와 날도래들의 집단 우화를 관찰
9. 하루살이 애벌레와 날도래 애벌레는 날도래가 집을 짓고 살므로 구분할 수 있다.
10. 하천의 지형에 의해 물고기 종류도 각각 달라집니다.
11. 주로 계곡의 생물은 크기가 작으므로 돋보기는 꼭 필요합니다. 플라나리아. 옆새우의 크기는 매우 작기 때문
12. 수서 곤충의 애벌레를 발견 시 아가미의 위치를 알아봅니다.
13. 하천에서는 하류에서 상류로 이동하면서 관찰
하나. 집에서 물고기를 키우려면...
가기전에 준비할 일
먼저 어항을 준비한다. 지나치게 크면 관리가 어렵고, 너무 작으면 물이 쉽게 오염되어 오히려 잔손이 많이 간다. 대체로 80-100리터 정도면 무난하고, 자갈과 모래를 바닥에 깔고 수초를 심는다. 대부분의 민물고기는 물의 흐름이 있어야 하므로 수중펌프를 준비한다. 수중펌프는 시간당 물 전체를 3회 내지 5회 정도 순환시키는 정도의 용량이 좋다.
물고기를 넣기 최소 하루 전에 수돗물을 담고 염소 중화제와 수질 안정제를 수량에 맞추어 넣은 후 공기펌프를 돌린다. 하지만 물 속의 박테리아 군집이 안정되려면 일주일 이상 정치를 시켜두어야 안전하다. 우리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박테리아 군집은 물고기가 배설하는 암모니아와 아질산염을 산화시키는 기능을 하므로., 물고기를 넣기 전에 박테리아 군집이 안정될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이 필요하다.
채집한 민물고기 운반법
맑은 물에 사는 민물고기는 용존산소에 대단히 민감하기 때문에 학교까지 살려오기가 쉽지 않다. 안전하게 운반하려면 의료기상에서 판매하는 약 2리터 용량의 의료용 산소(85%)탱크를 이용하면 좋다. 비닐봉지 안에 물과 함께 민물고기를 넣고 산소를 주입하여 밀봉하여 옮기면 운반하기도 좋고, 하루정도는 거뜬히 견디며 물고기 상태도 양호하다. 건전지로 작동하는 공기펌프를 두껑에 구멍을 뚫은 반찬통에 연결시켜 물고기를 이동시키는 방법도 좋다. 건전지용 공기펌프는 일반 수족관에서 구입할 수 있다.
어항을 꾸민 후
먹이는 편식을 하지 않도록 열대어 가게에서 파는 배합사료를 두가지 이상 섞어서 하루에 한번 정도 주고, 일주일에 한 두 번 정도는 냉동 장구벌레나 실지렁이를 공급해주면 된다. 우리 민물고기를 키우면서 여러번 어려움에 부딪히겠지만, 무엇보다도 물고기 사육일지를 꼼꼼히 기록하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
집중탐구
물고기의 내부구조
1) 아가미 : 척추동물에서는 어류에 있으며 양서류에서는 그 유생(올챙이)과 일부 성체가 새역(域:인두의 측벽에 해당하는 부분)에서 체외로 나온 총채 모양이나 깃 모양의 아가미, 즉 겉아가미[外]가 있다. 보통은 새역에 늘어서 있는 몇 쌍의 아가미구멍에 의하여 외계에 열려 있는 점막의 주름이다.
2) 부레 : 부레의 중요한 역할은 자체의 비중을 주위의 물의 비중과 일치시켜 운동을 하기 쉽게 하는 점에 있다. 특히 물고기가 물의 깊이에 따라 상하로 이동할 때, 내부의 가스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두 번째, 부레는 간접적으로 귀와 연결되어 청각 또는 평형감각을 담당한다. 또 부레는 소리를 내는 작용도 한다. 그 중 가장 간단한 것은 내부의 가스를 좁은 기도를 통하여 식도로 밀어내어 울음소리를 낸다. 그러나 부레에 의하여 직접 소리를 내는 것보다는 공명기관으로 작용한다.
3) 비늘 : 비늘은 성장을 계속하고 탈피를 하지 않으므로, 동심원상의 연륜이 생긴다. 송어류 등에서는 하천에 있던 연수와 바다에 있던 연수가 명확하게 나타난다.
4) 측선 : 물체나 다른 생물을 감지하거나, 수류의 변화를 감수하는 촉각기관이다. 옆줄이라고도 한다.
오늘 하루 관찰한 생물들을 지워보세요
가로, 세로, 혹은 대각선 방향으로 세 줄을 먼저 지운 사람은
“빙고”라고 외쳐주세요
소금쟁이
하루살이
파리
날 도래
쉬리
나비
강도래
뱀장어
피라미
꺽지
동사리
도롱뇽
잉어
돌고기
갈겨니
모래무지
물자라
잠자리유충
버들치
납지리
은어
배스
붕어
열목어
메기
수서생물 그리기Ⅰ
오늘 관찰한 생물중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생물을 그려보세요. 돋보기로 관찰하면 신기한게 아주 많이 보일꺼예요.
일 시 : 20 년 월 일 요일
생물이름 :
관찰장소 :
특 징 :
------------------------------------------------------------------------------------------------------------------------------------------------------------------------------------------------------------------------------------------------------------------------------------------------------------
자세히 그려보세요! ; 색칠까지 하면 귀여운 생물이 되겠죠!
수서생물 그리기Ⅱ
오늘 관찰한 생물중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생물을 그려보세요. 돋보기로 관찰하면 신기한게 아주 많이 보일꺼예요.
일 시 : 20 년 월 일 요일
생물이름 :
관찰장소 :
특 징 :
------------------------------------------------------------------------------------------------------------------------------------------------------------------------------------------------------------------------------------------------------------------------------------------------------------
자세히 그려보세요! ; 색칠까지 하면 귀여운 생물이 되겠죠!
6. 계곡에서는 넓은 지역보다는 좁은 지역을 세심하게 관찰하는 것이 더욱 많은 생물을 관찰
7. 봄과 초여름에는 수초지대를 자세히 관찰하면 물고기의 알과 수서 곤충 류의 알을 관찰
8. 봄, 여름, 그리고 가을의 맑은 날 늦은 오후에는 하루살이와 날도래들의 집단 우화를 관찰
9. 하루살이 애벌레와 날도래 애벌레는 날도래가 집을 짓고 살므로 구분할 수 있다.
10. 하천의 지형에 의해 물고기 종류도 각각 달라집니다.
11. 주로 계곡의 생물은 크기가 작으므로 돋보기는 꼭 필요합니다. 플라나리아. 옆새우의 크기는 매우 작기 때문
12. 수서 곤충의 애벌레를 발견 시 아가미의 위치를 알아봅니다.
13. 하천에서는 하류에서 상류로 이동하면서 관찰
하나. 집에서 물고기를 키우려면...
가기전에 준비할 일
먼저 어항을 준비한다. 지나치게 크면 관리가 어렵고, 너무 작으면 물이 쉽게 오염되어 오히려 잔손이 많이 간다. 대체로 80-100리터 정도면 무난하고, 자갈과 모래를 바닥에 깔고 수초를 심는다. 대부분의 민물고기는 물의 흐름이 있어야 하므로 수중펌프를 준비한다. 수중펌프는 시간당 물 전체를 3회 내지 5회 정도 순환시키는 정도의 용량이 좋다.
물고기를 넣기 최소 하루 전에 수돗물을 담고 염소 중화제와 수질 안정제를 수량에 맞추어 넣은 후 공기펌프를 돌린다. 하지만 물 속의 박테리아 군집이 안정되려면 일주일 이상 정치를 시켜두어야 안전하다. 우리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박테리아 군집은 물고기가 배설하는 암모니아와 아질산염을 산화시키는 기능을 하므로., 물고기를 넣기 전에 박테리아 군집이 안정될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이 필요하다.
채집한 민물고기 운반법
맑은 물에 사는 민물고기는 용존산소에 대단히 민감하기 때문에 학교까지 살려오기가 쉽지 않다. 안전하게 운반하려면 의료기상에서 판매하는 약 2리터 용량의 의료용 산소(85%)탱크를 이용하면 좋다. 비닐봉지 안에 물과 함께 민물고기를 넣고 산소를 주입하여 밀봉하여 옮기면 운반하기도 좋고, 하루정도는 거뜬히 견디며 물고기 상태도 양호하다. 건전지로 작동하는 공기펌프를 두껑에 구멍을 뚫은 반찬통에 연결시켜 물고기를 이동시키는 방법도 좋다. 건전지용 공기펌프는 일반 수족관에서 구입할 수 있다.
어항을 꾸민 후
먹이는 편식을 하지 않도록 열대어 가게에서 파는 배합사료를 두가지 이상 섞어서 하루에 한번 정도 주고, 일주일에 한 두 번 정도는 냉동 장구벌레나 실지렁이를 공급해주면 된다. 우리 민물고기를 키우면서 여러번 어려움에 부딪히겠지만, 무엇보다도 물고기 사육일지를 꼼꼼히 기록하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
집중탐구
물고기의 내부구조
1) 아가미 : 척추동물에서는 어류에 있으며 양서류에서는 그 유생(올챙이)과 일부 성체가 새역(域:인두의 측벽에 해당하는 부분)에서 체외로 나온 총채 모양이나 깃 모양의 아가미, 즉 겉아가미[外]가 있다. 보통은 새역에 늘어서 있는 몇 쌍의 아가미구멍에 의하여 외계에 열려 있는 점막의 주름이다.
2) 부레 : 부레의 중요한 역할은 자체의 비중을 주위의 물의 비중과 일치시켜 운동을 하기 쉽게 하는 점에 있다. 특히 물고기가 물의 깊이에 따라 상하로 이동할 때, 내부의 가스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두 번째, 부레는 간접적으로 귀와 연결되어 청각 또는 평형감각을 담당한다. 또 부레는 소리를 내는 작용도 한다. 그 중 가장 간단한 것은 내부의 가스를 좁은 기도를 통하여 식도로 밀어내어 울음소리를 낸다. 그러나 부레에 의하여 직접 소리를 내는 것보다는 공명기관으로 작용한다.
3) 비늘 : 비늘은 성장을 계속하고 탈피를 하지 않으므로, 동심원상의 연륜이 생긴다. 송어류 등에서는 하천에 있던 연수와 바다에 있던 연수가 명확하게 나타난다.
4) 측선 : 물체나 다른 생물을 감지하거나, 수류의 변화를 감수하는 촉각기관이다. 옆줄이라고도 한다.
오늘 하루 관찰한 생물들을 지워보세요
가로, 세로, 혹은 대각선 방향으로 세 줄을 먼저 지운 사람은
“빙고”라고 외쳐주세요
소금쟁이
하루살이
파리
날 도래
쉬리
나비
강도래
뱀장어
피라미
꺽지
동사리
도롱뇽
잉어
돌고기
갈겨니
모래무지
물자라
잠자리유충
버들치
납지리
은어
배스
붕어
열목어
메기
수서생물 그리기Ⅰ
오늘 관찰한 생물중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생물을 그려보세요. 돋보기로 관찰하면 신기한게 아주 많이 보일꺼예요.
일 시 : 20 년 월 일 요일
생물이름 :
관찰장소 :
특 징 :
------------------------------------------------------------------------------------------------------------------------------------------------------------------------------------------------------------------------------------------------------------------------------------------------------------
자세히 그려보세요! ; 색칠까지 하면 귀여운 생물이 되겠죠!
수서생물 그리기Ⅱ
오늘 관찰한 생물중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생물을 그려보세요. 돋보기로 관찰하면 신기한게 아주 많이 보일꺼예요.
일 시 : 20 년 월 일 요일
생물이름 :
관찰장소 :
특 징 :
------------------------------------------------------------------------------------------------------------------------------------------------------------------------------------------------------------------------------------------------------------------------------------------------------------
자세히 그려보세요! ; 색칠까지 하면 귀여운 생물이 되겠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