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프로그램명
2. 프로그램 개요
3. 기대효과
4. 프로그램 필요성
5. 프로그램 목적 및 목표
6. 프로그램 진행일정
7. 세부진행 상황 (10session)
2. 프로그램 개요
3. 기대효과
4. 프로그램 필요성
5. 프로그램 목적 및 목표
6. 프로그램 진행일정
7. 세부진행 상황 (10session)
본문내용
며 토론한다.
< 봉사활동 >
- 미리 연계한 장애우시설에 가서 봉사활동을 한다.
- 아이들이 겁먹지 않도록 어린 아이들이 있는 곳으로 가며,
사전에 미리 교육을 하고 가도록 한다.
마무리
- 봉사활동을 하고 느낀점을 얘기하며 장애에 대한 생각이
어떻게 바뀌었는지를 발표한다.
- 다음주 계획에 대해 얘기한다.
《 5 session 》
주 제
“ 아름다운 우리의 성 ”
일시
2009. 11. 11. 토
장소
학교사회복지실
수행인력
목표
올바른 성관념을 확립하고 자기 몸의 소중함을 깨닫게 해준다.
준비물
성교육 강의 자료, 비디오
진행방법
도입
< 프로그램 소개 진행자 소개 >
- 프로그램의 목적과 진행방법 등을 설명하고 앞으로의 진행에 있어 이해를 돕는다.
전개
< 성교육 강의 >
- 원주 성폭력 상담소와 연계 아이들에게 성교육을 통한 성폭력에 대한 예방교육을 실시한다.
< 비디오 시청 >
- 아이들의 흥미를 유발하기 위해 비디오 영상물을 통해 시청각교육을 실시한다.
< 성교육 체험 >
- 성폭력 상담소와 연계 성교육을 체험 할 수 있도록 한다.
- 성교육 체험은 상담소에서 준비한 것으로 한다.
마무리
- 아이들이 성교육의 강의를 얼마나 잘 들었는지 퀴즈를
통해 확인 한다.
- 성교육을 한 소감을 이야기 한다.
- 다음주에 있을 프로그램에 대해 얘기한다.
《 6 session 》
주 제
“ 만들어 볼까요? ”
일시
2009. 11. 25. 토
장소
학교사회복지실
수행인력
목표
우리 전통 문화에 대해 알고 스스로 만들기를 함으로써 창의성을 개발, 우리문화에 자부심을 심어준다.
준비물
도시락, 입장료
진행방법
도입
< 프로그램 소개 진행자 소개 >
- 프로그램의 목적과 진행방법 등을 설명하고 앞으로의 진행에 있어 이해를 돕는다.
전개
< 한지공예 >
- 우리 전통한지에 대해 알아보고 한지로 만든 공예품을 관람
- 직접 아이들이 한지를 만져보고 공예품을 만들 수 있도록 한지공예를 체험한다.
마무리
- 한지공예를 직접 해본 느낌을 발표하고 우리 문화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각자 소감을 말한다.
- 다음주에 있을 프로그램에 대해 얘기한다.
《 7 session 》
주 제
“ 우리고장 문화알기 ”
일시
2009. 12. 9. 토
장소
학교사회복지실
수행인력
목표
내가 사는 곳의 문화를 앎으로써 자신의 환경을 이해하고 자신의 고장을 사랑하는 마음을 갖는다.
준비물
도시락, 입장료, 필기도구
진행방법
도입
< 프로그램 소개 진행자 소개 >
- 프로그램의 목적과 진행방법 등을 설명하고 앞으로의 진행에 있어 이해를 돕는다.
전개
<시립 박물관 견학>
- 역사실, 민속생활실, 고미술실 등을 돌아보며 우리고장의 과거의 모습과 예술품들을 감상
- 점심을 먹은 후 가장 관심있었던 유물에 대한 감상문쓰기
마무리
- 박물관 견학 소감을 간단히 이야기 나눈다.
- 다음이 프로그램 마지막 종결임을 알리며 다음 프로그램의 준비물을 일러둔다.
《 8 Session 》
주 제
“ 우리고장 즐겨보기 ”
일시
2009. 12. 23. 토
장소
학교사회복지실
수행인력
목표
치악산 등반을 통한 구성원들 간의 협동심 기르기와 친목도모
준비물
편한 옷, 운동화, 도시락, 모자, 수건
진행방법
도입
< 프로그램 소개 진행자 소개 >
- 프로그램의 목적과 진행방법 등을 설명하고 앞으로의 진행에 있어 이해를 돕는다.
전개
- 둘씩 짝을 지어 서로 협동하여 치악산 등반을 한다.
- 그 동안 프로그램을 하며 즐거웠던 일, 재미있었던 일을 이야기하며 서로의 경험을 함께 나누며 공감하는 시간을 갖는다.
마무리
- 프로그램이 종결임을 알리고 진정한 휴일의 의미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 볼 수 있도록 한다.
< 봉사활동 >
- 미리 연계한 장애우시설에 가서 봉사활동을 한다.
- 아이들이 겁먹지 않도록 어린 아이들이 있는 곳으로 가며,
사전에 미리 교육을 하고 가도록 한다.
마무리
- 봉사활동을 하고 느낀점을 얘기하며 장애에 대한 생각이
어떻게 바뀌었는지를 발표한다.
- 다음주 계획에 대해 얘기한다.
《 5 session 》
주 제
“ 아름다운 우리의 성 ”
일시
2009. 11. 11. 토
장소
학교사회복지실
수행인력
목표
올바른 성관념을 확립하고 자기 몸의 소중함을 깨닫게 해준다.
준비물
성교육 강의 자료, 비디오
진행방법
도입
< 프로그램 소개 진행자 소개 >
- 프로그램의 목적과 진행방법 등을 설명하고 앞으로의 진행에 있어 이해를 돕는다.
전개
< 성교육 강의 >
- 원주 성폭력 상담소와 연계 아이들에게 성교육을 통한 성폭력에 대한 예방교육을 실시한다.
< 비디오 시청 >
- 아이들의 흥미를 유발하기 위해 비디오 영상물을 통해 시청각교육을 실시한다.
< 성교육 체험 >
- 성폭력 상담소와 연계 성교육을 체험 할 수 있도록 한다.
- 성교육 체험은 상담소에서 준비한 것으로 한다.
마무리
- 아이들이 성교육의 강의를 얼마나 잘 들었는지 퀴즈를
통해 확인 한다.
- 성교육을 한 소감을 이야기 한다.
- 다음주에 있을 프로그램에 대해 얘기한다.
《 6 session 》
주 제
“ 만들어 볼까요? ”
일시
2009. 11. 25. 토
장소
학교사회복지실
수행인력
목표
우리 전통 문화에 대해 알고 스스로 만들기를 함으로써 창의성을 개발, 우리문화에 자부심을 심어준다.
준비물
도시락, 입장료
진행방법
도입
< 프로그램 소개 진행자 소개 >
- 프로그램의 목적과 진행방법 등을 설명하고 앞으로의 진행에 있어 이해를 돕는다.
전개
< 한지공예 >
- 우리 전통한지에 대해 알아보고 한지로 만든 공예품을 관람
- 직접 아이들이 한지를 만져보고 공예품을 만들 수 있도록 한지공예를 체험한다.
마무리
- 한지공예를 직접 해본 느낌을 발표하고 우리 문화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각자 소감을 말한다.
- 다음주에 있을 프로그램에 대해 얘기한다.
《 7 session 》
주 제
“ 우리고장 문화알기 ”
일시
2009. 12. 9. 토
장소
학교사회복지실
수행인력
목표
내가 사는 곳의 문화를 앎으로써 자신의 환경을 이해하고 자신의 고장을 사랑하는 마음을 갖는다.
준비물
도시락, 입장료, 필기도구
진행방법
도입
< 프로그램 소개 진행자 소개 >
- 프로그램의 목적과 진행방법 등을 설명하고 앞으로의 진행에 있어 이해를 돕는다.
전개
<시립 박물관 견학>
- 역사실, 민속생활실, 고미술실 등을 돌아보며 우리고장의 과거의 모습과 예술품들을 감상
- 점심을 먹은 후 가장 관심있었던 유물에 대한 감상문쓰기
마무리
- 박물관 견학 소감을 간단히 이야기 나눈다.
- 다음이 프로그램 마지막 종결임을 알리며 다음 프로그램의 준비물을 일러둔다.
《 8 Session 》
주 제
“ 우리고장 즐겨보기 ”
일시
2009. 12. 23. 토
장소
학교사회복지실
수행인력
목표
치악산 등반을 통한 구성원들 간의 협동심 기르기와 친목도모
준비물
편한 옷, 운동화, 도시락, 모자, 수건
진행방법
도입
< 프로그램 소개 진행자 소개 >
- 프로그램의 목적과 진행방법 등을 설명하고 앞으로의 진행에 있어 이해를 돕는다.
전개
- 둘씩 짝을 지어 서로 협동하여 치악산 등반을 한다.
- 그 동안 프로그램을 하며 즐거웠던 일, 재미있었던 일을 이야기하며 서로의 경험을 함께 나누며 공감하는 시간을 갖는다.
마무리
- 프로그램이 종결임을 알리고 진정한 휴일의 의미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 볼 수 있도록 한다.
추천자료
저소득층 아동의 복지사업
저소득층 아동 방과후 공부방지도 방안
가정폭력, 아동폭력 노출 아동의 연구
아동을 위한 자원봉사활동 - 저소득층 아동을 중심으로
저소득층 아동급식지원사업 - 문제점과 종합적 대책
아동이 있는 가정
[아동복지론] 입양과 가정위탁
가정폭력 중 배우자 학대와 자녀 아동학대 보고서
아동복지론, 이혼가정, 이혼이 아동에게 미치는 문제점과 사회복지서비스 지원 방안 보고서
가정폭력 배우자 학대, 아동학대1
가정폭력 피해 아동을 히해하고 돕기 위해서 본인이 판단하기에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이...
자신의 주변에서 발생되었거나 영화, 드라마 속에 나타난 폭력사례(부부폭력, 아동학대, 노인...
한부모가정(편모가정)의 방임아동에 대한 정서적지지를 위한 사례개입(상담7회기포함)
[저소득층 아동] 저소득층 아동의 영양실태와 그에 따른 대책을 서술해보세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