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연삭기의 개요
2. 연삭기의 종류
3. 연삭숫돌
4. 연삭작업
5. 연삭유제
6. 연삭기 방호장치
2. 연삭기의 종류
3. 연삭숫돌
4. 연삭작업
5. 연삭유제
6. 연삭기 방호장치
본문내용
ing에서 cutter의 선택이 중요한 것 같이 연삭가공에서 연삭숫돌의 선택이 중요하다.
연삭숫돌의 조직과 연삭작용
연삭숫돌은 위의 그림과 같이 예리한 모서리를 가진 입자, 결합제 및 기공으로 되어 있으며, ①입자 ②입도 ③결합도 ④조직 ⑤결합제 등이 연삭성능에 영향을 준다.
① 입자
연삭입자는 연삭숫돌의 절삭날이 되므로 그 경도, 인성, 조성 및 형상 등이 연삭 저항, 가공면의 조도와 기타 연삭가공의 양부에 영향을 주며, 절삭에서 절삭공구의 재질이 차지하는 비중과 같다.
연삭숫돌 입자의 기호
② 입도
입자의 크기는 mesh로 표시하며, 숫돌에는 입도가 같은 것만 있는 것이 아니라 입도가 다른 것들이 혼합되어 있다. 세립이 많으면 다공성이 감소되어 연삭능률이 떨어지고 숫돌의 강도와 내마모성은 증가되다.
연삭숫돌의 입도
③ 결합도
결합도란 연삭입자를 결합시키는 접착력의 정도를 의미하며, 이를 숫돌의 경도라고도 하고, 입자의 경도와는 무관하다. 숫돌의 입자가 숫돌에서 쉽게 탈락 될 때 연하다고 하고, 탈락이 어려울 때 경하다고 한다.
결합도
④ 조직
연삭숫돌의 단위체적 내에 들어 있는 입자의 수를 밀도라 하고, 입자의 수가 많으면 밀하고, 적으면 성기다고 한다. 연삭숫돌의 체적에 대한 입자체적의 비인 입자율로 조직을 표시하며, 숫자가 높을 수록 밀하다고 낮을수록 조하다고 한다.
조직기호
⑤ 결합제
결합제는 숫돌입자를 결합하여 숫돌의 형상을 갖도록 하는 재료이며, 결합제로서 필요한 조건은 다음과 같다.
- 입자 간에 기공이 생기도록 할 것
- 균일한 조직으로 임의 형상 및 크기로 만들 수 있을 것
- 고속회전에 대한 안전강도를 가질 것
- 연삭열 과 연삭유제에 대하여 안전 할 것
4. 연삭작업
(1) 연삭조건
숫돌의 연삭속도, 연삭깊이, 이송은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가공물의 재질, 숫돌의 성질, 가공물의 정밀도 및 생산성 등에 따라 적절한 선택이 필요하다.
① 숫돌의 원주속도
숫돌의 원주속도는 연삭능률과 관계가 있는 하나의 인자로서, 공작물의 속도가 일정할 때 숫돌의 속도가 느리면 숫돌은 연하게 작용하고 너무 느리면 유효일에 비하여 숫돌의 마멸이 심하다. 숫돌의 속도가 빠르면 숫돌이 경하게 작용하고 너무 빠르면 숫돌입자가 공작물에 파고 들어갈 수 없어 정상적인 연삭이 어렵게 된다.
② 공작물의 원주속도
숫돌의 속도가 일정할 때 숫돌의 마모와 다듬질면의 상태 면에서는 공작물의 속도가 느린 것이 좋고, 연삭능률면에서는 다소 큰 것이 유리하다.
③ 연삭깊이
연삭깊이는 숫돌의 종류, 공장물의 재질 및 형상, 공작물의 가공면 정도 등에 따라 다르나 일반전으로 강을 연삭할 때에는 다음을 기준으로 한다.
④ 이송
원통연삭에서 축방향으로의 이송은 연삭깊이 및 공작물의 원주속도와 관계하며, 연삭깊이 또는 원주 속도가 크면 이송을 작게 하여 숫돌과 연삭기에 무리가 없도록 해야 하고, 연삭깊이 또는 공작물의 원주속도가 작을 때에는 이송을 크게 하여 생산성을 높인다.
(2) 연삭가공중에 발생하는 결함과 대책
연삭조건이 적절하지 않으면 연삭가공 중에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므로 이에 적절하게 대처하여야 한다.
① 연삭균열
연삭열에 의하여 열팽창 또는 재질의 변화 등으로 가공물에 연삭균열이 발생 할 수 있다.
※ 연삭균열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다음 사항을 지킨다.
- 결합도가 낮은 숫돌을 사용하여 예리한 숫돌입자를 출현시킴으로써 연삭저항을 적게한다.
- 연삭율이 일정하다면 이송을 크게 하고, 연삭깊이를 작게 취한다.
- 연삭유제를 충분히 공급하여 열의 발생을 적게 하고, 발생열을 신속히 제거한다.
② 떨림
연삭중 떨림현상은 정밀도를 해치며, 그 원인은 다음과 같다.
- 숫돌의 평형 상태가 불량할 때
- 숫돌의 결합도가 너무 클 때
- center 및 center rest 등의 사용이 불량할 때
- 연삭기 자체에 진동이 있을 때
- 외부의 진동이 전해 졌을 때
5. 연삭유제
(1) 연삭유제 정의
연삭에서는 다른 절삭가공에 비하여 단위체적의 연삭분당 가공 energy가 크기 때문에 열이 많이 발생하며, 숫돌의 열전도도가 낮아 chip에 의하여 나가는 열 외에는 대부분의 연삭열이 가공물에 전도된다. 따라서 연삭열로 인하여 가공물이 변질되거나 연삭균열이 발생 할 수 있으므로 연삭유제를 공급하여 이에 대처하여야한다.
(2) 연삭유제 특징
연삭유제는 윤활성, 냉각성, 침투성을 가져야 하며, 윤활작용은 숫돌입자의 마모를 적게 하고 열발생을 적게 한다. 냉각성은 발생열을 신속히 제거함으로써 숫돌입자의 마모를 적게하고, 가공물의 열변형 및 변질을 방지한다. 침투성은 숫돌입자 사이가 chip으로 메워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숫돌입자의 연삭작용을 돕는다.
(3) 연삭유제 구비조건
① 연삭성을 좋게 할 것
② 가공면의 정밀도를 좋게 할 것
③ 숫돌입자의 마모를 적게하여 연삭숫돌의 수명을 크게 할 것
④ 가공물 및 연삭기에 녹슬지 않게 할 것
⑤ 인체에 무해하고, 악취가 없을 것
⑥ 거품이 없어 열을 흡수 할 수 있도록 질량이 클것
⑦ 연삭기의 도장을 침해하지 않을 것
⑧ 변질되지 않아 장시간 사용 할 수 있을 것
6. 연삭기 방호장치
(1) 연삭기 종류별 덮개 구조
종류
덮개 구조
기계식 연삭기
주판과 측판 또는 구성품
탁상용 연삭기
주판과 측판, 공작물 받침대, 조정편
휴대용 연삭기
주판과 측판, 측판의 일체형
※ 주판: 연삭숫돌의 원주면을 덮어주는 덮개
※ 측판: 연삭숫돌의 측면을 덮어주는 덮개
(2) 연삭숫돌 설치방법
■ 왼쪽: 대 중심경 설치법
■ 오른쪽: 소 중심경 설치법
■ (1)은 직접 숫돌에 측에 고정하는 방법으로 탁상연삭기나 휴대용 사용된다.
■ (2), (3)은 플랜지에 고정하여 플랜지의 구멍을 숫돌 측에 고정하는 방법이며, 대부분의 연삭기는 이형식이다.
■ 숫돌을 지지하는 플랜지는 다음과 같은 조건이 필요하다.
① 측면은 축에 대하여 직각일 것
② 양쪽의 플랜지는 바깥지름이 같은 것일 것
③ 플랜지의 바깥지름은 숫돌 바깥지름의 1/3 이상일 것
※ 참고문헌
- http://sns.chonbuk.ac.kr/manufacturing/mclass-4-31.htm
- 산업안전인력공단
연삭숫돌의 조직과 연삭작용
연삭숫돌은 위의 그림과 같이 예리한 모서리를 가진 입자, 결합제 및 기공으로 되어 있으며, ①입자 ②입도 ③결합도 ④조직 ⑤결합제 등이 연삭성능에 영향을 준다.
① 입자
연삭입자는 연삭숫돌의 절삭날이 되므로 그 경도, 인성, 조성 및 형상 등이 연삭 저항, 가공면의 조도와 기타 연삭가공의 양부에 영향을 주며, 절삭에서 절삭공구의 재질이 차지하는 비중과 같다.
연삭숫돌 입자의 기호
② 입도
입자의 크기는 mesh로 표시하며, 숫돌에는 입도가 같은 것만 있는 것이 아니라 입도가 다른 것들이 혼합되어 있다. 세립이 많으면 다공성이 감소되어 연삭능률이 떨어지고 숫돌의 강도와 내마모성은 증가되다.
연삭숫돌의 입도
③ 결합도
결합도란 연삭입자를 결합시키는 접착력의 정도를 의미하며, 이를 숫돌의 경도라고도 하고, 입자의 경도와는 무관하다. 숫돌의 입자가 숫돌에서 쉽게 탈락 될 때 연하다고 하고, 탈락이 어려울 때 경하다고 한다.
결합도
④ 조직
연삭숫돌의 단위체적 내에 들어 있는 입자의 수를 밀도라 하고, 입자의 수가 많으면 밀하고, 적으면 성기다고 한다. 연삭숫돌의 체적에 대한 입자체적의 비인 입자율로 조직을 표시하며, 숫자가 높을 수록 밀하다고 낮을수록 조하다고 한다.
조직기호
⑤ 결합제
결합제는 숫돌입자를 결합하여 숫돌의 형상을 갖도록 하는 재료이며, 결합제로서 필요한 조건은 다음과 같다.
- 입자 간에 기공이 생기도록 할 것
- 균일한 조직으로 임의 형상 및 크기로 만들 수 있을 것
- 고속회전에 대한 안전강도를 가질 것
- 연삭열 과 연삭유제에 대하여 안전 할 것
4. 연삭작업
(1) 연삭조건
숫돌의 연삭속도, 연삭깊이, 이송은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가공물의 재질, 숫돌의 성질, 가공물의 정밀도 및 생산성 등에 따라 적절한 선택이 필요하다.
① 숫돌의 원주속도
숫돌의 원주속도는 연삭능률과 관계가 있는 하나의 인자로서, 공작물의 속도가 일정할 때 숫돌의 속도가 느리면 숫돌은 연하게 작용하고 너무 느리면 유효일에 비하여 숫돌의 마멸이 심하다. 숫돌의 속도가 빠르면 숫돌이 경하게 작용하고 너무 빠르면 숫돌입자가 공작물에 파고 들어갈 수 없어 정상적인 연삭이 어렵게 된다.
② 공작물의 원주속도
숫돌의 속도가 일정할 때 숫돌의 마모와 다듬질면의 상태 면에서는 공작물의 속도가 느린 것이 좋고, 연삭능률면에서는 다소 큰 것이 유리하다.
③ 연삭깊이
연삭깊이는 숫돌의 종류, 공장물의 재질 및 형상, 공작물의 가공면 정도 등에 따라 다르나 일반전으로 강을 연삭할 때에는 다음을 기준으로 한다.
④ 이송
원통연삭에서 축방향으로의 이송은 연삭깊이 및 공작물의 원주속도와 관계하며, 연삭깊이 또는 원주 속도가 크면 이송을 작게 하여 숫돌과 연삭기에 무리가 없도록 해야 하고, 연삭깊이 또는 공작물의 원주속도가 작을 때에는 이송을 크게 하여 생산성을 높인다.
(2) 연삭가공중에 발생하는 결함과 대책
연삭조건이 적절하지 않으면 연삭가공 중에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므로 이에 적절하게 대처하여야 한다.
① 연삭균열
연삭열에 의하여 열팽창 또는 재질의 변화 등으로 가공물에 연삭균열이 발생 할 수 있다.
※ 연삭균열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다음 사항을 지킨다.
- 결합도가 낮은 숫돌을 사용하여 예리한 숫돌입자를 출현시킴으로써 연삭저항을 적게한다.
- 연삭율이 일정하다면 이송을 크게 하고, 연삭깊이를 작게 취한다.
- 연삭유제를 충분히 공급하여 열의 발생을 적게 하고, 발생열을 신속히 제거한다.
② 떨림
연삭중 떨림현상은 정밀도를 해치며, 그 원인은 다음과 같다.
- 숫돌의 평형 상태가 불량할 때
- 숫돌의 결합도가 너무 클 때
- center 및 center rest 등의 사용이 불량할 때
- 연삭기 자체에 진동이 있을 때
- 외부의 진동이 전해 졌을 때
5. 연삭유제
(1) 연삭유제 정의
연삭에서는 다른 절삭가공에 비하여 단위체적의 연삭분당 가공 energy가 크기 때문에 열이 많이 발생하며, 숫돌의 열전도도가 낮아 chip에 의하여 나가는 열 외에는 대부분의 연삭열이 가공물에 전도된다. 따라서 연삭열로 인하여 가공물이 변질되거나 연삭균열이 발생 할 수 있으므로 연삭유제를 공급하여 이에 대처하여야한다.
(2) 연삭유제 특징
연삭유제는 윤활성, 냉각성, 침투성을 가져야 하며, 윤활작용은 숫돌입자의 마모를 적게 하고 열발생을 적게 한다. 냉각성은 발생열을 신속히 제거함으로써 숫돌입자의 마모를 적게하고, 가공물의 열변형 및 변질을 방지한다. 침투성은 숫돌입자 사이가 chip으로 메워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숫돌입자의 연삭작용을 돕는다.
(3) 연삭유제 구비조건
① 연삭성을 좋게 할 것
② 가공면의 정밀도를 좋게 할 것
③ 숫돌입자의 마모를 적게하여 연삭숫돌의 수명을 크게 할 것
④ 가공물 및 연삭기에 녹슬지 않게 할 것
⑤ 인체에 무해하고, 악취가 없을 것
⑥ 거품이 없어 열을 흡수 할 수 있도록 질량이 클것
⑦ 연삭기의 도장을 침해하지 않을 것
⑧ 변질되지 않아 장시간 사용 할 수 있을 것
6. 연삭기 방호장치
(1) 연삭기 종류별 덮개 구조
종류
덮개 구조
기계식 연삭기
주판과 측판 또는 구성품
탁상용 연삭기
주판과 측판, 공작물 받침대, 조정편
휴대용 연삭기
주판과 측판, 측판의 일체형
※ 주판: 연삭숫돌의 원주면을 덮어주는 덮개
※ 측판: 연삭숫돌의 측면을 덮어주는 덮개
(2) 연삭숫돌 설치방법
■ 왼쪽: 대 중심경 설치법
■ 오른쪽: 소 중심경 설치법
■ (1)은 직접 숫돌에 측에 고정하는 방법으로 탁상연삭기나 휴대용 사용된다.
■ (2), (3)은 플랜지에 고정하여 플랜지의 구멍을 숫돌 측에 고정하는 방법이며, 대부분의 연삭기는 이형식이다.
■ 숫돌을 지지하는 플랜지는 다음과 같은 조건이 필요하다.
① 측면은 축에 대하여 직각일 것
② 양쪽의 플랜지는 바깥지름이 같은 것일 것
③ 플랜지의 바깥지름은 숫돌 바깥지름의 1/3 이상일 것
※ 참고문헌
- http://sns.chonbuk.ac.kr/manufacturing/mclass-4-31.htm
- 산업안전인력공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