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자격제도, 재활의료, 일반의료, 직무표준화, 병원견학(기관견학) 보고서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자격제도, 재활의료, 일반의료, 직무표준화, 병원견학(기관견학) 보고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정신보건

1)정신보건법에 의한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자격제도
2)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역할 및 실천분야

2.재활
1)재활의료사회복지 정의
2)재활의료사회복지사의 자격
3)재활의료사회복지사의 역할 및 개입분야

3.일반의료
1)일반의료사회복지 정의
2)일반의료사회복지사의 자격
3)일반의료사회복지사의 역할

4. 직무표준화

Ⅲ. 결론
*기관견학(산재의료관리원 인천중앙병원)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터 보험료를 징수하고 이를 재원으로 하여 사업재해로 인해 부상 또는 사망한 근로자(5인 이상 사업장에서 종사하는 모든 근로자)와 그 가족에게 보험급여를 지급
보헙급여종류
-요양급여(진료비,간병료,이송료 등)
-장해급여(치료종결후 장해가 남았을 때)
-장의비(업무상 사망하여 장제를 실행했을 때)
-상병보상연금(요양기간 2년이상,폐질3급 이상)
-휴업급여(치료기간 동안 일을 못했을 때)
-유족급여(업무상 사망하였을 때)
-간병급여(요양종결후 장해가 중하여 간병필요시)
<병원별 재활 프로그램 특징 및 현황>
대학병원과 2차병원 혹은 재활병원에서의 재활의료업무의 초점
-대학병원: 급성 환자, 충격과 부정의 단계, 퇴원계획(타병원으로 전원), 경제적 연결
-재활병원: 급성기를 지난 재활, 다양한 개입
재활프로그램 소개- 개별 및 가족상담은 공통적임.
산재의료관리원
국립재활원
삼육재활병원
-외상성 뇌손상환자를 위한 인지분화 훈련
-요통교실
-취미교실
(요가, 종이접기, 비즈공예, 붓글씨 등)
-노래교실
-재활특강 (강원래, 박대운, 로버트리“이승복”)등 초정
-환자 자조 모임 영어 교실, 탁구교실, 경추4번 모임, 바둑 교실운영
-운동 센터 프로그램(휠처어 농구, 론볼링, 테니스, 탁구, 케이트볼 등)
-휠체어 댄스스포츠 교실
-가족간병인을 위한 집단상담
-공개설명회(산재제도 관련 및 임대 아파트, 취업 정보 등)
-뇌졸증 재활 프로그램
-뇌손상 환자 낮벼원
-성재활 교육 및 소그룹 상담
(사랑의 쉼터 운영)
-환자교육 프로그램
-척수장애인을 위한 체육대회
-입원환자 자치 모임‘오뚜기결성
-경추4번 손상 환자들을 위한 ‘정상회’ 모임 및 홈페이지 작성
-사회적응 훈련
-치료레크리에이션
-미술/음악/원예치료
-가족집단상담
-송년잔치
-노래자랑(병동행사)
-사회적응훈련(대상자별 분류 운영)
-체육대회
-음악회
-민속놀이
-백일장 및 사진촬영 대회
임상팀과의 협진
사례진행과정
의료사회복지사의 개입 활동내용
기타 업무 진행
<사회사업 개입과정>
의뢰 (consult)
-주치의 consult
-환자 또는 보호자의 자발적인 방문
-사회복지사screening

접수 및 정보수집
-chart review
-doctor's verbal report
-information gathering of others
사례등록

초기평가 및 개입 목표 설정
-환자 또는 가족면답을 통한 사정
-자원체계 조사 및 정보수집
-개입목표 및 개입활동 계획 수립
-평가기록
-answer작성
-수가 입력

(입원 환자의 경우)
-answer를 통한 협진
-전체 회진
-평가회의/가족회의
(외래 환자의 경우)
-치료진과의 협진
개입활동
-개별면담, 가족면담
-집단활동
-이용가능한 지원체계 소개 및 연결
-직업재활 및 교육재활에 관한 상담
-경제력 평가 및 경제적 지원활동
-퇴원계획
-진행 내용 기록
-수가 입력
-note(Dr)및 치료팀 간 사례회의
-Fee(OCS1)

평가 및 종결
-퇴원시점에서의 사례종결
-f/u01필요한 경우 ct와 함께 이후 계획 세우기
-종결 기록

<사회사업실장 김윤화복지사님과의 인터뷰>
Q : 일반의료와 정신보건의료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뭐가 있을까요?
A : 공통점 - 일반의료와 정신보건의료는 사회복지 측면에서 기대하는 바나 목적은 같다. 환자가 가진 질병을 수용하거나 극복하는 방법을 알아서 환자가 사회에 나 왔을때 잘 적응하고 살아가게끔 도와주는 것이 목표이다.
치이점 - 1. 만나는 대상자에 차이가 있다. 정신보건 같은 경우는 정신분열, 우울, 적응장애, 불안장애등 정신과 관련이 되어있지만 일반의료는 소아암, 당료 환자, 재활환자, 투석환자, 호스피스등 범위가 넓다.
2. 증상에 따라 세부적으로 개입하는 방법이 다르다. 일반의료는 퇴원계획 에 치중하는 반면 재활의료의 경우는 재활물품을 구입, 산재보험 상담, 지 역사회 자원연결, 주택개조 및 주택관련 정보를 제공한다. 정신의료는 자 신의 병에 대한 통찰력을 갖게 하고 약관리 및 증상 관리를 철저하게 해야 한다. 또한 부작용에 대처법 인지, 의사소통을 비롯한 사회기술 훈련을 받 도록 한다.
3. 자격증의 유무들 들 수 있다. 정신보건의 경우 모든 절차를 수료하게 되 면 자격증이 발급되지만, 일반의료의 경우에는 1년 과정을 수료를 하게 되 면 바로 의료복지사로 일을 할 수 가 있다.
Q : 일반인들이 의료사회복지사를 만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 1. 주치의 consult - 의사가 사회사업상담연결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면 consult용지에 작성하여 의료사회복지사에게 의뢰 (정신과, 재활과에서 consult용지를 작성하게 되 면 수가인정 (수가 : 5700))
2. 환자나 보호자가 직접 자발적으로 사회사업실 방문
3. 사회복지사가 직접 screening
4. 간호사가 의뢰
Q : 인천중앙병윈의 의료사회복지사의 인식정도는 어때요?
A : 인천중앙병원의 경우는 인식이 아주 잘되있다. 귀찮을 정도로 병원측에서 정신과나 재 화 프로그램 요구를 많이 한다. 그러나 다른 병원의 경우는 1인 이상 두라는 법 때문에 어쩔수 없이 의료사회복지사를 두는 경우가 많아 찬밥취급을 당하는 곳도 있다. 그러나 의료사회복지사가 성과물을 내면서 조금씩 인정하고 우대해 주고 있다.
Q : 상담은 어디에서 하나요?
A : 보통 상담은 사회사업실에서 하고 정신과 상담의 경우는 따로 마련된 상담실에서 하고 있다. 정신과 환자의 경우는 병동에서 나올 수 없기 때문에 상담실을 따로 마련해 두고 있다.
Ⅳ. 참고자료
①권육상외, 의료사회사업론, 유풍
②김규수, 의료사회복지실천론, 형설, 2005
③김규수, 정신보건사회복지실천론, 형설, 2005
④김철권외, 정신분열병을 극복하는 법, 신한, 1995
⑤이광재, 의료사회사업원론, 2002
⑥이만흥, 정신분열병의 통합재활치료, 하나, 1999
⑦제 25차 대한의료사회복지사협회 workshop 의료사회사업의 임상역량강화와 전문자격제도, 2006
⑧국립재활원 http://www.nrc.go.kr
⑨대한의료사회복지사협회 http://www.kamsw.org
⑩한국정신보건사회사업학회 http://www.kamhsw.net/
  • 가격2,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10.06.10
  • 저작시기201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83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