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전통놀이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중일 전통놀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차례
1. 전통놀이의 개념
2. 중국의 설날 전통 놀이
3. 일본의 설날 전통 놀이
4. 한국의 설날 전통 놀이
5. 참고문헌

본문내용

상대에게 주로 사용하는 공격기술이다.
⑤밧다리걸기 ― 상대의 오른쪽 다리가 자기의 오른쪽 다리나 몸통 가까이 있을 때 주로 사용하고 다리가 길고 키가 큰 사람이 주로 사용하는 공격기술이다.
⑥호미걸이 ― 상대의 다리가 자기 앞쪽으로 많이 나와 있을 때나 상대의 중심이 상대의 뒤로 치우쳐 있을 때 사용한다.
⑦들배지기 ― 상대방을 들어서 넘기는 기술로. 들기 기술의 기본동작이다. 키가 크고 덩치가 큰 사람이 키가 작고 덩치가 작은 사람에게 주로 사용한다.
⑧ 엉덩배지기 ― 상대를 들지 않고 넘기는 방법으로 주로 들 수가 없을 때 사용하는 기술이다.
⑨ 돌림배지기 ― 상대를 들지 않고 넘기는 배지기 기술이다.
4) 고누
(1) 개관
바둑이나 장기의 원시적인 형태로 땅이나 마루/목침(木枕) 등에 놀이판을 그려놓고 말을 놓거나 옮기며 승부를 겨루는 놀이. 놀이판의 형태와 그에 따른 놀이 방법이 다양하여 오래 전부터 많은 사람들이 널리 하던 놀되는 유용한 놀이이기도 하다.
(2) 유래
고누는 천한 사람들이 노는 놀이로 여겼기 때문에 기록하는데 소홀히 해서, 자세한 놀이 방법이 소개된 책은 없다. <재물보(才物譜)>의 박희편에 “우물고노”라는 기록이 보이고, 속담에 “우물고누 첫 수”란 말이 있는 것을 보면 오래 전부터 널리 행해지던 놀이로 보인다. 그밖에 100여 년 전에 지은 <소쇄원(瀟灑園)>이란 옛 건물 마루에 고누가 그려져 있고, 황해도 봉천군 원산리 청자 가마터(10세기 초)에서 참꼬누판이 발견된 것으로 보아 최소한 고려시대 이전부터 있었던 놀이로 파악된다.
놀이 방법의 측면에서 보면 고누는 바둑의 원시적인 형태로 보인다. 따라서 바둑이 삼국시대의 여러 기록에서 찾아볼 수 있는 점을 보면, 고누도 삼국시대 이전부터 하던 놀이로 발생시기를 앞당길 수도 있다.
(3) 방법
고누는 그 형태와 방법이 다양한데, 이기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정리될 수 있다. 하나는 우물고누와 호박고누와 같이 상대방의 말을 움직이지 못하게 가두면 이길 수 있고, 다른 하나는 줄고누와 꽃고누와 같이 상대방의 말을 다 따면 이길 수 있다. 많은 놀이 가운데 몇 가지만 자세히 소개하면 아래와 같다.
①우물고누(샘고누/강고누)
말을 움직여 상대방이 더 이상 움직일 수 없도록 가두면 이기는 놀이로, 고누의 기본이 된다. - 놀이판을 그리고 바둑돌 등으로 자기 말 두 개를 위 그림의 ㉠,㉡ 또는 ㉢,㉣에 놓는다.- 먼저 하는 사람은 ㉠이나 ㉣에 있는 말을 먼저 움직일 수 없는데, 움직이면 바로 놀이가 끝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물고누 첫 수”란 속담이 생겨난 것이다. - 자기 차례가 되었는데 상대의 말에 갇혀, 더 이상 움직일 수 없게 된다.
② 넉줄고누
-놀이판을 그리고 말을 각자 6개씩 놓는다. - 말들은 서로 한 발씩 움직여 나가는데, 자기 말 2개가 나란히 놓이고 상대편의 말이 바로 옆에 있게 되면 따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모두 따면 이긴다.
5) 투호
(1) 개관
일정한 거리에 서서 투호통에 화살을 던져, 누가 많은 수를 넣는가를 겨루는 놀이. 이 놀이는 1000원권 지폐에 실릴 정도로 대표적인 민속놀이이다. 과거에는 양반들의 놀이였으나 오늘날에는 누구나 하는 놀이가 되었다.
(2) 유래
원래 중국 당(唐)나라 때 성행하던 놀이로 백제 사람들과 고구려 사람들이 이 놀이를 즐겼다는 기록이 있다. 따라서 우리 나라에서 일찍부터 행해진 놀이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주로 궁중에서 성행하였고, 양반들의 놀이였다. 따라서 놀이할 때 예(禮)를 갖추었는데, 일반 백성들은 놀이도구를 마련하는 일이며 절차가 복잡하여 하지 못했다. 오늘날에는 우리 놀이가 새롭게 조명되면서 고궁에서나 명절의 행사로 누구나 쉽게 해 볼 수 있는 놀이가 되었다.
5. 참고문헌
민속 놀이 - 김광언 / 민속놀이, 출제, 세시풍속, 통과의례 - 한국민속학회 / 민속놀이론 - 임동권, 정병호, 김선풍 / 게다도 짝이 있다 - 한국일어일문학회 / 중국인의 전통생활 풍습 - 샤오팡 / 중국 중국인 그리고 중국문화 - 정진강 / 한국의 놀이 - 스튜어트 컬린 / 한국 중국 일본 전통놀이 비교 논문 리포트
한국 문화 콘텐츠 진흥원 http://www.koreangame.net
네이버 블로그 http://blog.naver.com/kbspass/100010090664
http://blog.naver.com/ehf4524/130027606090
http://blog.naver.com/ultima96/120062113074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0.06.14
  • 저작시기201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91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