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품새란?
2. 품새의 구성
3. 품새 선의 종류 및 구성
4. 품새 수련 상 유의점
5. 품새의 원리 (5대 원리)
6. 기술의 종류
2. 품새의 구성
3. 품새 선의 종류 및 구성
4. 품새 수련 상 유의점
5. 품새의 원리 (5대 원리)
6. 기술의 종류
본문내용
4가지 원리가 제대로 작용할 수 있다.
6. 기술의 종류
① 서기
1) 나란히 서기
서기의 기본이 되는 동작으로 정지 상태와 준비 서기 등에 사용된다. 두 발을 '한발' 길이의 너비로 벌리고 두 다리의 무릎을 펴고 몸의 중심이 양발 중아에 놓이도록 한다.
2) 편히 서기
나란히 서기에서 좌우 양발의 앞측을 약 22.5° 벌리고 서는 자세이다. 몸의 중심이 후면으로 가기 때문에 전방 운동 위주의 품새나 동작의 기본으로는 좋지 않다.
3) 모아 서기
발의 앞 뒤꿈치를 모두 붙이고 서는 자세이다. 이 때, 시선은 정면을 향하도록 한다.
4) 주춤서기
말에 올라탄 자세와 같이 엉거주춤한 서기이다. 상체를 곧게 세워 가슴을 펴고 무릎을 약간 굽히고 두 발은 '두발'길이 정도로 벌리고 선다. 이 때 몸의 무게 중심을 낮추고 기저면을 넓힘으로써 안정성을 높인다.
5) 앞굽이 서기
공격에 이용되는 자세이다. 한 걸음 반 정도 발을 앞뒤로 벌려 서서 앞무릎은 약간 굽히고 뒷다리는 무릎에 힘을 주어 편다. 눈, 앞무릎, 발끝은 일직선상에 두며, 앞발에 체중의 70%를 두어 앞으로 이동하기 쉽게 한다.
6) 뒵굽이 서기
방어에 유리한 자세이다. 앞발은 정면을 향하고 뒷발은 앞발과 직각을 이룬다. 뒷다리는 주춤서기와 같이 무릎을 굽히고 앞다리는 자연스럽게 굽히며 뒷발에 몸의 중심을 둔다. 이때. 앞발과 뒷발의 거리는 한 걸음이다.
7) 학다리서기
학이 서있는 모양과 같이 한쪽 다리로 서고 다른 쪽 다리로 여러 가지 차기 동작을 할 수 있는 자세이다. 한쪽 다리로 서기 때문에 몸이 좌우로 기울지 않도록 몸의 무게 중심을 서 있는 다리에 둔다.
8) 차려서기
상대에게 인사하거나 예를 표할 때의 자세이다. 발뒤축을 붙이고 발끝을 벌린다.
② 방어기술
1) 막기의 기본요령
팔목이나 손날로 막는다.
손날보다 팔목이 튼튼하므로 팔목을 주로 사용하고 필요한 경우에 손날로 막는다. 팔목으로 막을 때에는 바깥 팔목을 사용한다.
두팔을 교차시켜 막는다.
막는 팔을 반대쪽 팔과 교차시켜 막는다.
팔과 손을 돌리면서 막는다.
팔이나 손은 회전을 시키면서 막는 순간에 힘을 집중시키도록 한다.
2) 아래막기
상대가 하체를 공격해 올 때 팔을 아래로 내리쳐 막는 기술로써, 사용 부위에 따라 팔목막기, 손날막기, 팔엇걸어 막기 등이 있다.
상체는 허리를 펴고 앞으로 기울거나 뒤로 저혀지지 않도록 한다.
좌우 두 주먹은 서로 잡아당기듯 힘있게 당겨져야 한다.
막는 주먹은 어깨로부터 팔굽의 힘을 빼고 탄력을 이용하여 아래로 비스듬히 틀어막는다.
3) 얼굴막기
상대가 얼굴을 공격해 올 때 팔을 이마 위까지 들어올려 바깥 팔목으로 막는다. 주먹을 쥔 팔목, 모아붙인 손날을 이용하여 얼굴이나 머리의 공격을 막는 방법이다.
팔을 들어 손목 부분으로 힘있게 위로 튕겨 올리듯이 추겨 막는다.
허리를 펴고 몸을 틀어 막는다.
막는 쪽의 팔굽은 옆구리선을 통하여 일직선으로 올린다.
막는 팔이 너무 위로 올라기지 않도록 하고 이마와 간격은 주먹 하나 정도로 유지한다.
4) 몸통막기
상대가 몸통을 공격해 올 때 팔목으로 밖에서 안으로 쳐 막는다. 팔의 사용 부위에 따라 팔목 막기와 손날 막기가 있으며 바깥 팔목으로 밖에서 안으로 막는 것과 안 팔목으로 안에서 밖으로 막는 법이 있다.
손목은 구부리지 말 것, 상체는 펴고 허리는 반 듯하게, 막는 손의 팔굽이 바깥으로 나가지 않게, 좌우 손동작은 동시에 끝나도록 한다.
③ 손의 공격기술
1) 지르기
팔을 뻗어 주먹으로 상대를 공격하는 손 기술이다. 지르기는 공격 방향에 따라 옆지르기, 치지르기, 내려지르기 등이 있으며 서기에 따라 바로지르기, 반대지르기로 나뉜다.
ㄱ. 바로지르기
앞굽이나 뒷굽이 자세에서 뒤에 있는 다리쪽의 주먹으로 지르기를 한다.
ㄴ. 반대지르기
앞굽이나 뒷굽이 자세에서 앞에 있는 다리쪽의 주먹으로 지르기를 한다.
2) 찌르기
손끝을 펴서 상대편의 급소를 찌른다. 주먹대신에 손끝을 사용하여 세워찌르기, 엎어찌르기, 편손끝찌르기, 가위손찌르기 등이 있다.
3) 치기
손날이나 주먹, 팔꿈치 등으로 상대의 목표 부위를 가격하는 공격 기술로서 손날치기, 손날등치기, 등주먹치기, 표적치기 등이 있다.
④ 발기술
1) 앞차기
가장 기본적인 차기 자세로 무릎이 가슴에 닿도록 올려 찬다. 또한 정면을 향하여 앞축이나 발등을 이용하여 공격한다.
2) 옆차기
상대의 측면을 공격할 때 차는 발의 무릎을 가슴 가까이에 접어서 붙였다가 몸을 옆으로 틀어서 발의 바깥쪽을 이용하여 공격 한다. 이때 시선은 몸통과 얼굴을 향한다.
3) 돌려차기
비스듬히 옆으로 서서 다리를 들어 원을 그리며 휘돌려 발의 앞축이나 발등으로 차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몸 전체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어떠한 위치나 거리에서도 재공격과 반격이 가능하다. 시선은 차고자 하는 방향을 향한다.
4) 찍어차기
뒤에 있는 발이나 앞에 있는 발을 최대한 가슴 가까이에 무릎을 접어서 얼굴을 향애 내려 찍는다. 주로 상대가 물러서지 않았을 때 사용하며, 시선은 얼굴을 향한다. 이 때 몸의 균형을 유지해야 하며 상대방 공격에 유의하도록 한다.
5) 뒤차기
상체를 앞으로 숙이면서 다리를 뒤로 뻗어 발날과 발뒤꿈치를 이용하여 차는 동작으로 뒤쪽에 있는 상대를 공격할 때 사용한다. 이 기술은 박차기에 많이 사용하며 시선은 차고자 하는 방향을 향한다.
7. 느 낀 점
레포트를 작성하면서 품새는 배우면 배울수록 어렵다는 생각을 많이 가지게 되었다. 마냥 하면 되는 동작이 아니라 동작 하나하나에도 품새의 5대원리에 입각해 하지 않으면 잘 될 수 없으며 나아가 품새도 잘 할 수 없다는 것이다.
좀 더 품새의 5대 원리에 입각해 보다 한 단계 나아갈 수 있도록 노력해야 될 필요성을 많이 느끼게 되었다.
◆ 참 고 문 헌 ◆
□ 대한태권도협회, http://www.koreataekwondo.org/
□ 국기원, http://www.kukkiwon.or.kr/
□ (국기)태권도교본, 국기원 오성출판사
□ 태권도 품새의 이해, 김우규
□ 태권도 품새론, 이경명
□ 태권도 품새론, 한동성
□ 태권도 품새학, 이경명
6. 기술의 종류
① 서기
1) 나란히 서기
서기의 기본이 되는 동작으로 정지 상태와 준비 서기 등에 사용된다. 두 발을 '한발' 길이의 너비로 벌리고 두 다리의 무릎을 펴고 몸의 중심이 양발 중아에 놓이도록 한다.
2) 편히 서기
나란히 서기에서 좌우 양발의 앞측을 약 22.5° 벌리고 서는 자세이다. 몸의 중심이 후면으로 가기 때문에 전방 운동 위주의 품새나 동작의 기본으로는 좋지 않다.
3) 모아 서기
발의 앞 뒤꿈치를 모두 붙이고 서는 자세이다. 이 때, 시선은 정면을 향하도록 한다.
4) 주춤서기
말에 올라탄 자세와 같이 엉거주춤한 서기이다. 상체를 곧게 세워 가슴을 펴고 무릎을 약간 굽히고 두 발은 '두발'길이 정도로 벌리고 선다. 이 때 몸의 무게 중심을 낮추고 기저면을 넓힘으로써 안정성을 높인다.
5) 앞굽이 서기
공격에 이용되는 자세이다. 한 걸음 반 정도 발을 앞뒤로 벌려 서서 앞무릎은 약간 굽히고 뒷다리는 무릎에 힘을 주어 편다. 눈, 앞무릎, 발끝은 일직선상에 두며, 앞발에 체중의 70%를 두어 앞으로 이동하기 쉽게 한다.
6) 뒵굽이 서기
방어에 유리한 자세이다. 앞발은 정면을 향하고 뒷발은 앞발과 직각을 이룬다. 뒷다리는 주춤서기와 같이 무릎을 굽히고 앞다리는 자연스럽게 굽히며 뒷발에 몸의 중심을 둔다. 이때. 앞발과 뒷발의 거리는 한 걸음이다.
7) 학다리서기
학이 서있는 모양과 같이 한쪽 다리로 서고 다른 쪽 다리로 여러 가지 차기 동작을 할 수 있는 자세이다. 한쪽 다리로 서기 때문에 몸이 좌우로 기울지 않도록 몸의 무게 중심을 서 있는 다리에 둔다.
8) 차려서기
상대에게 인사하거나 예를 표할 때의 자세이다. 발뒤축을 붙이고 발끝을 벌린다.
② 방어기술
1) 막기의 기본요령
팔목이나 손날로 막는다.
손날보다 팔목이 튼튼하므로 팔목을 주로 사용하고 필요한 경우에 손날로 막는다. 팔목으로 막을 때에는 바깥 팔목을 사용한다.
두팔을 교차시켜 막는다.
막는 팔을 반대쪽 팔과 교차시켜 막는다.
팔과 손을 돌리면서 막는다.
팔이나 손은 회전을 시키면서 막는 순간에 힘을 집중시키도록 한다.
2) 아래막기
상대가 하체를 공격해 올 때 팔을 아래로 내리쳐 막는 기술로써, 사용 부위에 따라 팔목막기, 손날막기, 팔엇걸어 막기 등이 있다.
상체는 허리를 펴고 앞으로 기울거나 뒤로 저혀지지 않도록 한다.
좌우 두 주먹은 서로 잡아당기듯 힘있게 당겨져야 한다.
막는 주먹은 어깨로부터 팔굽의 힘을 빼고 탄력을 이용하여 아래로 비스듬히 틀어막는다.
3) 얼굴막기
상대가 얼굴을 공격해 올 때 팔을 이마 위까지 들어올려 바깥 팔목으로 막는다. 주먹을 쥔 팔목, 모아붙인 손날을 이용하여 얼굴이나 머리의 공격을 막는 방법이다.
팔을 들어 손목 부분으로 힘있게 위로 튕겨 올리듯이 추겨 막는다.
허리를 펴고 몸을 틀어 막는다.
막는 쪽의 팔굽은 옆구리선을 통하여 일직선으로 올린다.
막는 팔이 너무 위로 올라기지 않도록 하고 이마와 간격은 주먹 하나 정도로 유지한다.
4) 몸통막기
상대가 몸통을 공격해 올 때 팔목으로 밖에서 안으로 쳐 막는다. 팔의 사용 부위에 따라 팔목 막기와 손날 막기가 있으며 바깥 팔목으로 밖에서 안으로 막는 것과 안 팔목으로 안에서 밖으로 막는 법이 있다.
손목은 구부리지 말 것, 상체는 펴고 허리는 반 듯하게, 막는 손의 팔굽이 바깥으로 나가지 않게, 좌우 손동작은 동시에 끝나도록 한다.
③ 손의 공격기술
1) 지르기
팔을 뻗어 주먹으로 상대를 공격하는 손 기술이다. 지르기는 공격 방향에 따라 옆지르기, 치지르기, 내려지르기 등이 있으며 서기에 따라 바로지르기, 반대지르기로 나뉜다.
ㄱ. 바로지르기
앞굽이나 뒷굽이 자세에서 뒤에 있는 다리쪽의 주먹으로 지르기를 한다.
ㄴ. 반대지르기
앞굽이나 뒷굽이 자세에서 앞에 있는 다리쪽의 주먹으로 지르기를 한다.
2) 찌르기
손끝을 펴서 상대편의 급소를 찌른다. 주먹대신에 손끝을 사용하여 세워찌르기, 엎어찌르기, 편손끝찌르기, 가위손찌르기 등이 있다.
3) 치기
손날이나 주먹, 팔꿈치 등으로 상대의 목표 부위를 가격하는 공격 기술로서 손날치기, 손날등치기, 등주먹치기, 표적치기 등이 있다.
④ 발기술
1) 앞차기
가장 기본적인 차기 자세로 무릎이 가슴에 닿도록 올려 찬다. 또한 정면을 향하여 앞축이나 발등을 이용하여 공격한다.
2) 옆차기
상대의 측면을 공격할 때 차는 발의 무릎을 가슴 가까이에 접어서 붙였다가 몸을 옆으로 틀어서 발의 바깥쪽을 이용하여 공격 한다. 이때 시선은 몸통과 얼굴을 향한다.
3) 돌려차기
비스듬히 옆으로 서서 다리를 들어 원을 그리며 휘돌려 발의 앞축이나 발등으로 차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몸 전체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어떠한 위치나 거리에서도 재공격과 반격이 가능하다. 시선은 차고자 하는 방향을 향한다.
4) 찍어차기
뒤에 있는 발이나 앞에 있는 발을 최대한 가슴 가까이에 무릎을 접어서 얼굴을 향애 내려 찍는다. 주로 상대가 물러서지 않았을 때 사용하며, 시선은 얼굴을 향한다. 이 때 몸의 균형을 유지해야 하며 상대방 공격에 유의하도록 한다.
5) 뒤차기
상체를 앞으로 숙이면서 다리를 뒤로 뻗어 발날과 발뒤꿈치를 이용하여 차는 동작으로 뒤쪽에 있는 상대를 공격할 때 사용한다. 이 기술은 박차기에 많이 사용하며 시선은 차고자 하는 방향을 향한다.
7. 느 낀 점
레포트를 작성하면서 품새는 배우면 배울수록 어렵다는 생각을 많이 가지게 되었다. 마냥 하면 되는 동작이 아니라 동작 하나하나에도 품새의 5대원리에 입각해 하지 않으면 잘 될 수 없으며 나아가 품새도 잘 할 수 없다는 것이다.
좀 더 품새의 5대 원리에 입각해 보다 한 단계 나아갈 수 있도록 노력해야 될 필요성을 많이 느끼게 되었다.
◆ 참 고 문 헌 ◆
□ 대한태권도협회, http://www.koreataekwondo.org/
□ 국기원, http://www.kukkiwon.or.kr/
□ (국기)태권도교본, 국기원 오성출판사
□ 태권도 품새의 이해, 김우규
□ 태권도 품새론, 이경명
□ 태권도 품새론, 한동성
□ 태권도 품새학, 이경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