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사현상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황사의 개요

1.1 황사의 정의 및 어원

1.2 황사의 역사

1.3 황사 발생지 및 발생 조건

1.4 황사 발생 원인

1.5 황사의 수송 및 성분 분석

2. 황사의 영향

2.1 황사 영향권

2.2 황사의 영향 및 피해 현황

2.3 황사 발생이 농업에 미치는 영향

2.4 황사가 주로 봄에 피해를 주는 이유

2.5 최근 우리나라 황사 발생 현황

3. 황사 대비책

3.1 황사 예방법

3.2 황사 대책 접근 방법 및 주변국 정부의 황사 대책

3.3 우리나라의 황사 대책

본문내용

합의
- 현재는 산출된 배출량 및 기상자료를 토대(황사발생 기간 포함)로 대기오염 모델링 을 실시, 실측값과 비교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음
Ⅳ. 결 론
▶ 황사에 심려와 심각한 국내의 오염문제 및 국제문제로 부각
▶ 황사에 대한 종합적인 특성을 이해함으로써 정확한 인식과 적극적인 대책의 필요성 이 절실
▶ 장기적인 대기환경 변화를 평가하고 관리 강화
▶ 정화한 관측을 통한 예측과 예보 기능 강화
▶ 국제 간의 긴밀한 관계와 관련 국가들간에 유기적인 협조는 물론 더 장기적이고 광범위 한 연구 필요
매년 봄철 한반도를 뒤덮는 불청객 황사는 발원지와 발생지의 지형적 특성, 지구의 자전과 공전에 따른 기상현상, 황사 구성성분의 물리화학적 특성 등 인간의 통제가 불가능한 복합 적인 자연현상이라는 인식아래 단순히 자연적인 오염물질로 분류되어 자연재해의 차원에서 취급되어 왔으나 발생요인의 증가에 따라 해마다 발생일수와 규모가 증가경향을 나타내고 있고, 인간활동에 의해 그 현상이 다각화되고 그에 따른 피해도 심각해지고 있어 황사에 대 한 종합적인 특성을 이해함으로써 정확한 인식과 적극적인 대책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황사현상은 그 기원이 지질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매우 오래된 현상으로 농업사회에서는 산성토양을 중화시키는 등 자연 속에서 순기능으로서의 역할이 컸으나 도시화·산업화하면 서 황사가 주는 이익보다 폐해가 더 심각해지고 있다. 한반도에서는 국내적으로는 국토면 적에 비해 높은 인구밀도, 급속한 공업화 정책과 1970대 이후의 경이적인 경제성장의 여파 로 대도시나 공단지역에서는 심한 대기오염으로 고통받고 있으며, 국외적으로는 황사현상이 지구 온난화와 토양의 사막화 등에 의해 발원지가 계속 확대되고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 고, 서해안에 인접한 중국의 북동부 공업지대에서 방출되는 중금속 오염물질까지 황사에 심 려와 심각한 국내의 오염문제 및 국제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주로 대기오염이 심한 오염지역 위주의 국지적인 대기오염도 조사, 분석 등 단기적인 대기질 변화에만 관심 을 집중시켜 왔고, 장기적인 변화를 예측하거나 관리하는 정책적인 뒷받침이 미진한 것이 사실이다. 또한 대기오염 특성상 용이한 확산 및 장거리 이동 특성 때문에 국지적인 오염이 결국 전 영역으로 또한 한 국가의 지협적인 오염이 결국은 주변 모든 국가로 확대되기 때문 에 대기오염 문제는 전 지구적인 차원에서의 관리가 요망된다. 보다 장기적인 대기환경 변 화를 평가·예측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관련 국가들간에 유기적인 협조는 물론 더 장기적 이고 광범위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이미 대기오염물질의 장거리 이동현상을 규명하기 위해 세계 전 지 역을 대상으로 폭넓은 연구를 하고 있고, 보다 장기적인 환경보전을 위해 온갖 노력을 기 울이고 있다. 특히 NASA에서 수행중인 PEM-West (Pacific Exploratory Mission-West)와 같 은 프로그램에서는 태평양 상공으로 이동하는 대기오염물질의 장거리 이동 및 대류권에서의 화학변화를 장기적이고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이 연구에는 한반도를 포함한 아시아 국가들이 동참하여 협조하고 있다. 그러나 황사의 피해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기초자료의 축적과 정확한 예보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황사에 대한 국제적인 노력의 일환으로 한·중 환경 세미나가 정기적으로 열리고 있고, 올 봄 한·중·일 환경장관회의(TEMM)에서는 중국에서 운영하고 있는 황사 측정망 정보를 공유 하는 황사 모니터링 네트워크를 구축해 황사의 정확한 예측과 이동경로 파악에 도움을 주어 3국이 황사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공동노력에 합의했으며, 동북아지역의 환경당국뿐만 아니 라 국제기구의 협력을 촉구하는 한편 황사 대처 방안 모색을 위한 황사전문가 공동 워크숍 을 개최하기로 결정했다. 또한 한국에서는 중국정부의 국토 사막화 방지사업의 일환으로 조 성중인 방사림(防沙林) 조성을 지원할 계획이다. '생태환경건설 50년 계획'의 일환으로 조 성중인 방사림 조림사업은 중국 북부를 동부, 서부와 중부로 나누어 화북 동북의 13개 성 400만㎢, 전국토의 42%가 조림대상이며, 2050년까지 사막화 지역 개선 3단계 사업을 통해 산림비율을 13%에서 25%로 높인다는 것이다. 참고로 2000년 말까지 조림한 면적은 7만㎢정 도였다. 또한 사막주변에 대규모의 풍력발전 단지를 세워 바람의 속도를 줄임으로써 토양침 식을 막고, 풍차가 전기를 생산함으로써 땔감을 얻기 위해 숲을 벌목하는 일이 줄어들도록 하는 방안이 제시되기도 했다.
현재 시점에서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중국을 비롯한 국제 간의 긴밀한 협조가 절실하며, 정확한 관측을 통해 예보기능을 강화하는 한편, 주의보(300㎍/㎥이상)·경보(500㎍/㎥이 상)·중대경보(100㎍/㎥이상)등 3단계로 구분되어 발령된 황사경보의 단계별 행동요령을 홍 보하여 황사에 관한 정보를 충분히 제공함으로써 건강 및 사회활동 전반에 영향을 최소 화 할 수 있는 다방면의 노력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 참고자료 >
# http://here.provin.chungbuk.kr/hwangsa.html (자료출전 :충청북도보건환경연구원)
# http://saga.pmel.noaa.gov/aceasia (한,중,일 황사 공동대처방안)
# http://here.provin.chungbuk.kr/hwangsa.html (황사의 특성)
# http://yellow.metri.re.kr (황사 홈페이지)
# http://www.metri.re.kr/appliweb/res_grp/yellowsand (한.중 황사 공동 연구단)
# http://www.kier.re.kr/topic/domestic/yellowsand.html
# http://www.metri.re.kr/appliweb/review.html
# http://www.hwankyung.co.kr
# http://www.ksdn.or.kr
정관영, 『한반도에서 관측된 황사의 수치 모의』, 서울대학교 대학원 대기과학과, 1996. (이학박사 학위논문)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0.06.15
  • 저작시기2003.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95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