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 교외활동 안전교육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각종 교외활동 안전교육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황사 3
2. 화재 6
3. 붕괴 7
4. 폭발 14
5. 교통사고 16
6. 환경오염사고 21
7. 전기사고 22
8. 감전사고 24
9. 엘리베이터 및 에스컬레이터 사고 26
10. 음식물사고 30
11. 테러대비 32
12. 응급처치 187

본문내용

m 정도 환자 가슴을 눌러 준 다음 힘을 뺍니다.
분당 100회 속도로 15회 흉부를 압박합시다. 흉부압박 시 환자가슴에서 양손을 떼지 맙시다.
구강 대 구강법으로 두 번 공기를 불어 넣어 주세요.
머리를 뒤로 젖히고, 기도를 열어준 후 환자의 코를 잡고 시행합시다.
매 15회 흉부압박이 끝날 때마다 두 번 불어넣기를 시행하고, 최초 1분 후와 매 5회마다 호흡 기침 움직임을 확인해 주세요.
환자의 호흡이나 기침 또는 움직임이 있을 때에는, 즉시 흉부압박을 중지하고 호흡을 확인해 주세요.
호흡이 없으면 환자가 스스로 호흡을 할 때까지 구강 대 구강호흡을 계속합시다.
환자에게 기도(숨)가 막혔느냐고 물어보세요.
기도가 폐색된 상태라면 엄지와 검지로 목을 잡는 일반적 구조신호 자세를 보이게 된다.
환자가 말을 할 수 있거나, 숨을 쉬거나, 기침을 할 수 있다면 스스로 이물질을 뱉어내도록 하는 노력을 방해하지 맙시다.
스스로 뱉어내지 못하면 이물질이 나올 때까지 복부 밀기를 실시하세요.
환자 뒤에 서서 환자 허리둘레를 두 팔로 감싸 안으세요(하임리히법).
한쪽 주먹을 다른 한손으로 감아쥐고, 안쪽 손은 엄지 쪽이 신체 정중선 배꼽 바로 위로 가게 하세요.
안쪽 손을 환자 등 뒤와 위쪽으로 빠르게 밀어 주세요.
복부 밀어주기는 기도폐색을 해소할 만큼 충분한 힘으로 실시하세요.
만약 환자가 임신후기이거나 비만이라면 가슴 밀어주기를 실시하세요.
환자 등 뒤에 서서 두 팔을 환자 겨드랑이 밑으로 넣어 가슴을 안으세요.
복무 밀어주기 때와 마찬가지로 한쪽 손은 엄지 쪽을 안쪽으로 하고, 다른 손으로 감싼 다음 환자 흉골 위에 놓으세요.
등 쪽으로 빠르게 밀어 주세요.
환자가 의식을 잃게 되면 “음식물이 목에 걸린 경우(의식이 없을 때)" 를 따르세요.
환자 머리와 목을 조심스럽게 지지하여 등을 돌려 눕히세요.
환자의 입을 벌려 입안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세요.
머리를 뒤로 젖히고, 턱을 들어 올려 호흡을 확인하세요.
숨을 쉬지 않으면 구강 대 구강호흡법을 실시하세요.
만약, 환자의 가슴이 올라가지않으면,환자자세를 수정한 다음 호흡을 다시 불어 넣으세요.
이번에도 가슴이 올라가지 않으면 흉부압박을 15회 실시하세요.
가슴밀기를 위한 손 위치는 심폐소생술 실시 때의 손 위치와 동일해요.
입안을 확인하고, 이물질이 있으면 제거하세요.
기도를 열어주고 호흡을 확인하세요.
기도를 폐쇄했던 이물질이 나올 때까지 6번에서 9번까지 절차를 반복하세요.
엎어 등 두드리기 5회까지
검지와 나머지 손가락을 영아의 턱에 대고 머리와 목을 받쳐서 한 손으로 영아를 들어 올립니다.
영아의 머리가 바닥을 향하게 하여 처치자의 팔 위에 놓으며, 머리를 가슴보다 낮게 합시다. 처치자는 아기를 안은 팔을 자신의 허벅지에 고정시켜주세요.
다시 뒤집어 가슴 밀기 5회
영아의 뒷머리를 받쳐주세요.
영아의 등을 바닥으로 향하게 하며 천천히 양팔 사이에 놓아주세요.
1. 머리를 가슴보다 낮게 합시다.
2. 처치자의 몸집이 작은 경우 아이를 안은 팔을 처치자의 허벅지 위에 올려놓아 주세요.
유두 사이에 가상 선을 긋습니다.
손가락 세 개를 흉골 위에 올려놓되 약지를 영아의 발쪽으로 하며 가상선 위로 이동시켜주세요.
약지를 가슴에서 뗍니다. 흉골 끝의 V 자 부분이 느껴지면 약간 위로 이동합니다.
검지와 중지를 흉골에 올려놓고(심폐소생술과 비슷하나 속도는 조금 천천히)분명하고 확실하게 5회의 압박을 시행합시다.
가슴 밀기를 실시할 때 손가락을 가슴에서 떼지 맙시다.
영아가 의식을 잃거나, 이물이 배출되거나, 힘차게 숨을 쉬거나, 기침을 할 때까지 계속 반복 실시합시다.
반응을 확인합시다.
척추 손상이 의심되면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영아를 움직이지 맙시다.
어깨를 가볍게 두드려주세요.
주변에 있는 사람에게 119에 구조요청을 부탁하세요.
아무것도 없으면 1분 동안 소생술을 시행한 후 119에 연락합시다.
천천히 두 번의 숨을 불어넣어 주세요.
기도를 개방(머리 두로 젖히기/턱 올리기)해 주세요.
처치자의 입으로 영아의 코와 입을 동시에 막아주세요.
천천히 숨을 두 번 불어넣습니다(1회 시간: 1~1.5초).
첫 번째 숨이 들어가지 않으면 머리를 다시 뒤로 젖히고 천천히 두 번 숨을 불어넣어주세요.
5회 등 두드리기를 실시합시다.
엄지와 나머지 손가락을 영아의 턱에 대고 머리와 목을 받쳐서 한 손으로 영아를 잡아주세요.
영아의 얼굴이 바닥을 향하게 하여 팔위에 놓습니다.
머리를 가슴보다 낮게 합시다.
영아를 안은 팔을 허벅지에 고정시켜주세요.
손바닥으로 영아의 어깻죽지 사이(견갑골)를 5회 두드려주세요.
5회 가슴밀기
영아의 뒷머리를 받쳐주세요.
등을 바닥으로 향하게 하고 양팔 사이에 놓아주세요.
영아의 등을 받쳐 머리를 가슴보다 낮게 합시다.
처치자의 몸집이 작은 경우 아이를 안은 팔을 무릎 위에 놓습니다.
유두 사이에 가상 선을 긋습니다.
손가락 세 개를 흉골 위에 올려놓고 약지를 가상선 위로 이동시켜주세요.
약지를 가슴에서 떼고 흉골 끝 V자 부분이 느껴지면 조금 위로 이동합니다.
검지와 중지를 흉골에 올려놓고 심폐소생술과 비슷한 방법으로 5회 실시하며 속도는 심폐소생술보다 느리게 합시다.
가슴 누르기를 할 때 손가락을 가슴에서 떼지 맙시다.
입 안의 이물 제거
영아의 턱과 혀를 엄지와 나머지 손가락으로 잡고 들어 올려주세요.
이물이 확실히 보이면 새끼손가락으로 입 안을 쓸어내 주세요.
손가락을 구부려 이물을 쓸어내 주세요.
손에 닿지 않은 이물은 일부러 제거하지 맙시다.
이물이 더 깊이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합시다.
반복
천천히 1회의 숨을 불어넣어주세요.
5회의 등 두드리기를 실시합시다.
5회의 가슴 밀기를 실시합시다.
입 안의 이물을 확인해 이물이 보이면 손가락으로 직접 제거합니다. 이물이 배출되거나 응급구조요원이 도착할 때까지 이 과정을 반복하며 주변에 사람이 없고 1분 동안 소생술을 실시했는데도 불구하고 이물이 제거되지 않을 경우 영아와 함께 있으면서 119에 연락합시다.
약사와 상의하여 비상시 필요한 약품들을 구비하시기 바랍니다.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44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9.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884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