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건강교육] 영유아 안전교육의 중요성과 안전관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건강교육] 영유아 안전교육의 중요성과 안전관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영유아안전교육이란
 2. 영유아 안전사고의 유형
 3. 영유아안전관리의 목적
 4. 영유아 안전교육의 중요성
 5. 영유아 안전교육의 내용
 6. 영유아를 위한 안전관리
Ⅲ.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치시 물건이 추락하지 않도록 지지대가 설치되어 있는지
-보일러 설비, 퓨즈박스(두꺼비집), 화기 소독수, 살충제 조리실의 칼, 가위, 포크, 랩 등은 영유아의 손이 닿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지
-시설내에서 게시판 부착용으로 압정, 핀 등을 사용하고 있지 않은지
-보육실에 환기시설(환풍기, 공기정화기)이 갖추어져 있는지
 
3) 실외환경관리
-놀이기구 및 놀잇감은 유아의 신장 및 체중을 고려하여 선택하고 표면도색의 독성 여부가 확인되었는지
-놀이터 시설의 볼트, 너트 등 이음장치, 울타리, 구조물이 부식되어있지 않은지
-아동이 걸려 넘어지거나 부딪칠 수 있는 방해물은 없는지
 
4) 교통안전관리
-도로교통법상 어린이통학버스 신고요건을 구비하여 관할 경찰에게 어린이 통학버스로 지정 받았는지
-운영중인 모든 차량에는 차량 내에 안전수칙을 부착했는지
- 차량용 소화기 및 구급상자가 차내에 상시 준비되고 있는지
-운전자는 음주, 휴대폰, 이어폰 사용 등 운전판단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행위를 하고 있지 않은지
-차량운행시 보육교사가 동승하고 있는지
-보호자 부재시 아동을 하차시켜서는 안되며 시설로 복귀시켜 보호하고 있는지
-교사와 유아는 차량 운행 시작전 안전벨트를 착용하고 있는지
 
5) 위생관리
-조리실ㆍ화장실ㆍ침구 등에 대하여 정기적으로 소독을 실시하고 있는지
-부패되기 쉬운 음식물은 관리를 철저하게 되고 있는지(냉장고 확보 및 음식물류 사전검사, 유통기한 경과 등 유의)
-시설장은 보호자와 협의하고 영양사의 자문을 받아 급간식을 지급하고 있는지
-보육시설 종사자는 영유아의 위생에 영향을 미치는 다음 사항들에 대해 수시로 점검하고 있는지 영유아의 감기, 독감, 홍역 등 유행성 질환감염 여부 영유아의 피부, 머리, 손톱·발톱, 치아상태 보육시설의 청소상태 침구 및 기저귀 등의 위생상태 욕실 및 화장실의 청결상태 세면도구 등의 위생상태
-동물(애완동물 포함)과 곤충들로부터 영유아들이 알레르기 및 질병, 상해를 입지 않도록 정기적으로 수의사를 통해 면역조치 등을 받고 있는지
-동물, 곤충 또는 배설물 등을 접촉한 경우에는 접촉부위를 씻거나 깨끗하게 소독하고 있는지
Ⅲ. 결 론
유아기에는 자기 조절능력 및 상황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여 어느 시기보다 안전사고에 노출되기 쉽다. 따라서 모든 위험이나 사고로부터 유아들을 보호하는 일이 교사와 부모의 최우선적인 임무다. 그러므로 유아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사고발생 후의 대책이나 처리보다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는 유아가 스스로 몸을 지키고 유지할 수 있는 안전에 대한 바른 습관 및 태도를 형성시켜 주는 일이 중요하다.
앞서 언급했듯 안전교육은 나이가 어린 영유아시기에 실시하는 것이 교육적 효과도 크고, 사고 발생 시 인명피해도 줄일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게다가 영유아시기에 사고를 당해 신체적으로나 정서적으로 장애를 겪게 되면 평생 상처가 됨으로 어릴 때부터 조기교육의 일환으로 영유아에게 안전교육을 실시하여 장차 성장하여 건전한 민주시민으로 성장해 나갈 수 있는 토대를 부모와 보육사와 더불어 같이 신경 써 주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곽은복(2008). 아동안전관리. 서울: 학지사.
구자숙(2009), 유아안전교육의 운영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박상희(2002), 유아안전교육, 삼광출판사
이기숙, 강영희, 정미라, 배소연, 박희숙(1997). 영유아를 위한 안전교육. 서울: 양서원
서채문(1994). 인간과 건강. 서울: 태근문화사.
송헌종(2006). 아동안전사고의 현황 및 정책 과제. 보건복지포럼 pp.89~98
한혜경(1997. 아동안전 실태와 정책과제

추천자료

  • 가격1,8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09.28
  • 저작시기2013.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28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