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1. 은유의 동기
2. 노래하는 학교
3. 시간 속의 거인
4. 꿈나라로 가는 열쇠
5. 아담의 사닥다리
6. 수사법의 재능
결문
1. 은유의 동기
2. 노래하는 학교
3. 시간 속의 거인
4. 꿈나라로 가는 열쇠
5. 아담의 사닥다리
6. 수사법의 재능
결문
본문내용
있다. 바꿔 말하면, 상상력은 사회생활 전체의 밑바탕이 되고 있다. 예를 들어 우리가 사회 안에서 연설이나 강의를 하거나, 판례를 제시하거나 공공건물의 방문객들을 맞이한다고 할 때 우리는 우리가 알고 있는 것을 적나라하게 다 말하지 않는다. 사회에서는 진실을 그대로 다 말하는 것보다 적절한 시기에 올바른 일을 적당하게 말하는 것에 굉장한 중요성을 부여하기 때문이다. 그 때문에 '올바른 일'이 어느 만큼을 이야기하는 것인지 기준을 설정할 필요가 생기는데, 그러한 역할을 상상력이 맡게 된다. 또 하나의 예로 광고에 대한 우리의 반응을 들 수 있다. 우리는 광고를 문자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는다. 영화에 대한 전시물을 보고서 '너는 이 영화가 좋다고 생각하니?'라고 질문한 한 소녀처럼 우리는 광고의 취지를 파악하여 어느 만큼이 환영(illusion)이고, 어느 만큼이 진실인지 나름대로의 기준을 정한다. 그리하여 제공된 것에서 우리가 원하는 것은 선택하고 나머지는 버릴 수 있게 되는데 여기에서 우리는 원하는 것, 즉 살고 싶어하는 세계를 선택할 때 작용하는 것이 바로 상상력이라고 이야기한 제1장의 내용을 기억할 수 있어야 한다. 선거에서 우리의 최종적인 선택도 위와 동일한 상상력의 작용 덕분이라는 점도 어렵지 않게 추측해 볼 수 있다.
우리는 무엇인가 말할 것을 갖고 있지 않고는 일정한 한도 이상으로 말씨를 세련시킬 수 없다. 그런데 우리가 말하지 않으면 안 되는 그 무엇이 바로 사회에 있고 사회를 바라보는 우리의 통찰력, 바꿔 말하면 상상력에 있다는 점에서 우리는 문학의 효용을 찾게 된다. 잠깐 언급이 되었지만, 우리가 살기를 원하는 세계는 우리의 상상을 그 자체의 대치물인 문학을 가지고 나타난다. 그 문학을 통해서 우리는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를 살고 싶어하는 세계와 동일시하게 되며, 그것을 인지하는 과정에서 사회의 발전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상력이 마음속에서 펼친 이상의 세계는 인간이 만들어 놓은 세계이며, 그런 까닭에 실현할 수 있는 세계이다. 바로 이것이 사회 발전의 동력이 되는 것이다. 이렇게 보면, 문학의 힘은, 좀 더 정확하게 말해 상상력의 힘은 실로 위대한 것이다.
결 문
N.프라이의 [문학의 구조와 상상력]을 온전히 이해하였다고는 말하지 못한다. 그러나 각 장들을 요약하면서 실제 문학 교육에 적용될 수 있는 것들이라고 여겨지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큰 수확을 얻은 것이라 생각한다. 국어 교육, 특히 문학교육에서는 상상력의 계발이 중요한 교과 목표 중의 하나로 설정되어 있는데, 이는 문학의 본질에서 비롯된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문학을 허구의 세계를 표현한 것으로 보는 관점에서 상상력의 세련은 문학교육의 중요한 본령이라 할 수 있다. 이런 문학적 상상력은 특히 독자들의 수용의 측면-작품을 감상할 때 나타나는 비평적 반응 등은 독자의 상상력에 전적으로 의존한다.-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이런 차원에서 문학 학습의 과정은 해당 작품에 대한 지식이나 정보만을 습득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문학 작품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습득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오늘날에도 통용되는 문학 교육에 대한 이러한 일반의 견해에 N.프라이의 주장이 대부분 녹아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을 때, 그의 분별하고 차이 지우는 분석력의 탁월함에 진심으로 놀라지 않을 수 없다. 비록 그의 견해가 오늘날 문학을 이해하는 방법의 전부라고 말할 수는 없지만 문제의 핵심에 접근하여 '명제 하나 하나를 전개시켜 나가고 상세한 조건들까지 의문시하며 되짚어 나가는 정밀함'은 문학을 배우고 가르치는 사람들에게 본으로 삼아야 할 그 무엇을 주고 있다는 면에서 칭찬받아 마땅할 것이다.
우리는 무엇인가 말할 것을 갖고 있지 않고는 일정한 한도 이상으로 말씨를 세련시킬 수 없다. 그런데 우리가 말하지 않으면 안 되는 그 무엇이 바로 사회에 있고 사회를 바라보는 우리의 통찰력, 바꿔 말하면 상상력에 있다는 점에서 우리는 문학의 효용을 찾게 된다. 잠깐 언급이 되었지만, 우리가 살기를 원하는 세계는 우리의 상상을 그 자체의 대치물인 문학을 가지고 나타난다. 그 문학을 통해서 우리는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를 살고 싶어하는 세계와 동일시하게 되며, 그것을 인지하는 과정에서 사회의 발전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상력이 마음속에서 펼친 이상의 세계는 인간이 만들어 놓은 세계이며, 그런 까닭에 실현할 수 있는 세계이다. 바로 이것이 사회 발전의 동력이 되는 것이다. 이렇게 보면, 문학의 힘은, 좀 더 정확하게 말해 상상력의 힘은 실로 위대한 것이다.
결 문
N.프라이의 [문학의 구조와 상상력]을 온전히 이해하였다고는 말하지 못한다. 그러나 각 장들을 요약하면서 실제 문학 교육에 적용될 수 있는 것들이라고 여겨지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큰 수확을 얻은 것이라 생각한다. 국어 교육, 특히 문학교육에서는 상상력의 계발이 중요한 교과 목표 중의 하나로 설정되어 있는데, 이는 문학의 본질에서 비롯된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문학을 허구의 세계를 표현한 것으로 보는 관점에서 상상력의 세련은 문학교육의 중요한 본령이라 할 수 있다. 이런 문학적 상상력은 특히 독자들의 수용의 측면-작품을 감상할 때 나타나는 비평적 반응 등은 독자의 상상력에 전적으로 의존한다.-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이런 차원에서 문학 학습의 과정은 해당 작품에 대한 지식이나 정보만을 습득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문학 작품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습득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오늘날에도 통용되는 문학 교육에 대한 이러한 일반의 견해에 N.프라이의 주장이 대부분 녹아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을 때, 그의 분별하고 차이 지우는 분석력의 탁월함에 진심으로 놀라지 않을 수 없다. 비록 그의 견해가 오늘날 문학을 이해하는 방법의 전부라고 말할 수는 없지만 문제의 핵심에 접근하여 '명제 하나 하나를 전개시켜 나가고 상세한 조건들까지 의문시하며 되짚어 나가는 정밀함'은 문학을 배우고 가르치는 사람들에게 본으로 삼아야 할 그 무엇을 주고 있다는 면에서 칭찬받아 마땅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