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이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학습이론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학습이론

1.행동주의
2.인지주의
3.인본주의
4.사회학습이론
5.구성주의

본문내용

아니라 관찰한 내용이 모방 및 강화됨으로써 일어난다고 인식
(2) Bandura(1977)
인간은 모방 없이 관찰만으로도 학습이 가능하다고 주장
자기규제(self-regulation)의 개념
: 인간은 자신의 행동의 결과를 미리 예측함으로써 어느 정도까지는 스스로 자신의 행동을 규제함
자기효능감(self-efficacy)의 개념
: 특정 환경 내에서 자신이 과제수행을 얼마나 잘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자기 평가
(3) Rotter(1954)
기대(expectancy)와 강화(reinforcement)의 개념
: 주어진 상황에서 이미 획득된 행동이 일어날 것인지를 설명
통제성향 또는 통제의 소재(locus of control)개념
: 개인이 자신의 성공과 실패를 내적 또는 외적 요인의 영향으로 돌림
4) 성인학습에 미친 영향
평가
-관찰이나 모델링을 적용한 교육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비롯하여 성인학습에 있어서 유용한 개념들을 제시함
시사점
-사회적 맥락에 적절한 새로운 역할모델 및 행동모델을 개발하고 이에 대한 모델링을 통해 바람직한 사회화로 이끌 수 있음
-자기효능감의 개념을 도입하여 성인학습자가 과제수행에 대한 성취감을 느끼도록 유도함
5. 구성주의
제 3의 패러다임이라 불림
지식의 상대주의와 경험주의를 주장함
구분
① 개인적 구성주의
-교수자가 학습자에게 인지적 갈등을 유발하는 경험을 제공하여 학습자가 이 경험에 보다 잘 적응할 수 있는 새로운 쉐마(schema)를 개발하도록 격려함
② 사회적 구성주의
-지식의 생성은 개인이 사회적으로 공유하는 문제나 과제에 관해서 말하고 행동할 때 일어나며, 또한 의미의 창출은 대화를 통해서 이루어짐
1) 기본가정
학습자는 능동적 존재이며 학습은 의미를 구성하는 과정
Rensick(1989)의 세 가지 관점
① 학습은 지식의 구성과정으로 정보의 기록에 의해서가 아닌 정보의 해석에 의해서 일어남
② 학습은 기존 지식에 의존하며, 새로운 지식의 구성을 위하여 현재의 지식을 사용함
③ 학습이 일어나는 상황에 초점을 맞춤
실제 상황이나 협동적인 상황을 강조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며, 학습의 측정은 전체적인 학습의 맥락 속에서 통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함
2) 학습의 정의
학습자가 실제 사회문화적 환경 속에서 자신만의 독자적인 경험과 인지구조에 의해 구성된 독특한 정신모형을 바탕으로, 회부 세계와의 부단한 상호작용을 통해 자신에게 의미 있도록 지식을 구축해 나가는 과정
학습자가 자신의 경험으로부터 지식을 구성하며 관점을 재조정함
3) 주요 학자들의 업적
Candy(1991)
- 구성주의적 관점들이 성인교육에서 적용될 수 있는 방법연구
- 구성주의자들의 학습관에 자기주도성의 개념을 연계시킴
4) 학습자와 교육자의 역할
학습자
: 능동적창의적자기주도적이며, 학습에 대한 스스로의 책임을 중시함
: 외부세계에 존재하는 실재의 본성을 자신의 경험에 비추어 의미 있게 구성함
교육자
: 학습자의 학습을 돕고 촉진시키는 역할이 강조됨
비판- 목적지향적인 교수활동에 대하여 회의적임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06.15
  • 저작시기2008.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97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