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읽게 된 동기
2.본론:시인 김소월과 그의 시 분석
진달래꽃, 초혼
3.결론: 김소월의 작품 세계 및 결론
2.본론:시인 김소월과 그의 시 분석
진달래꽃, 초혼
3.결론: 김소월의 작품 세계 및 결론
본문내용
일장에서 간략하게나마 언급했다. 소월의 가족 관계는 32살의 나이로 짧은 생애를 살다간 그의 작품세계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부유한 집안의 손자로서 .귀여움을 독차지한 소월이지만 정신적으로는 고아일 수밖에 없었다. 생부는 살아있었지만 정신적 질환으로 집안을 돌볼 수 없었고 모친은 문맹이었으므로 대화가 단절될 수밖에 없엇다. 이렇게 부모님과의 심리적인 단절로 소월의 고독감은 더욱 커져갔다, 그래서 소월은 한이 묻어난 시를 많이 쓰게 되었는지도 모른다. 이러한 성장 배경 속에서 실로 소월의 시는 자기위안의 도구였고 유일한 탈출구였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소월의 시를 읽으면 공감대가 형성되면서 마음속 깊이 요동이 친다. 아마도 소월의 살아있는 삶을 반영했기 때문이 아닐까? 사춘기 시절,,,한참 고민하고 방황하던 때 김소월 시집을 읽었던 기억이 난다. 정신적인 공황상태에서 ‘고독’을 읽고 혼자 생각하며 밤을 샜던 적도 있엇다 지금 생각하면 좀 우습지만 그 때 나에겐 소월의 시가 구원의 빛이였고 삶의 안식처였다
혹자는 소월이 허무주의 시인이라고 말한다 그것은 그가 절망을 극복할 수 있는 명쾌한 답변을 강구하지 않고 결국은 절망을 수용해 버렸기 때문이다 그는 식민지 치하를 살아가는 아픔을 한 맺힌 노래로 표현하면서도 그것을 극복하려는 노력의 흔적을 보이지 않았다, 다만 그 슬픔을 슬픔으로 해소시키려고 할 뿐이다.
하지만 소월의 시만큼 인간의 비애를 낱낱이 파헤치고 그 상처를 어루만져주는 시가 또 있을까? 슬플 때일수록 애잔하고 조용한 음악을 듣고 더 슬픈 영화를 보면 카타르시스를 느끼는 것과 같은 이치일 것이다.
혹자는 소월이 허무주의 시인이라고 말한다 그것은 그가 절망을 극복할 수 있는 명쾌한 답변을 강구하지 않고 결국은 절망을 수용해 버렸기 때문이다 그는 식민지 치하를 살아가는 아픔을 한 맺힌 노래로 표현하면서도 그것을 극복하려는 노력의 흔적을 보이지 않았다, 다만 그 슬픔을 슬픔으로 해소시키려고 할 뿐이다.
하지만 소월의 시만큼 인간의 비애를 낱낱이 파헤치고 그 상처를 어루만져주는 시가 또 있을까? 슬플 때일수록 애잔하고 조용한 음악을 듣고 더 슬픈 영화를 보면 카타르시스를 느끼는 것과 같은 이치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