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문학의 요소
1 미적 정서
2 상상과 창조
3 문학의 사상성
4 문학의 형식
Ⅲ 김소월의 시 「진달래꽃」에서 표현된 문학의 요소
1 「진달래꽃」에서 표현된 미적 정서
2 「진달래꽃」에서 표현된 상상력
3 「진달래꽃」에서 표현된 사상성
4 「진달래꽃」의 형식
Ⅳ 결론
Ⅱ 문학의 요소
1 미적 정서
2 상상과 창조
3 문학의 사상성
4 문학의 형식
Ⅲ 김소월의 시 「진달래꽃」에서 표현된 문학의 요소
1 「진달래꽃」에서 표현된 미적 정서
2 「진달래꽃」에서 표현된 상상력
3 「진달래꽃」에서 표현된 사상성
4 「진달래꽃」의 형식
Ⅳ 결론
본문내용
처럼, 여기서도 '진달래꽃'의 개화와 낙화를 사랑의 피어남과 떨어짐, 즉 만남과 이별이라는 원리로 설정함으로써 마침내 사랑의 본질을 깨달은 그는 더 나아가 태어남과 죽음이라는 생성과 소멸의 인생의 의미를 깊이 인식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4. 「진달래꽃」의 형식
「진달래꽃」은 자유시의 형태로 수미상관의 4연 12행의 간결한 시 형식으로 이루어졌고 7.5조의 음수율, 3음보 민요조의 전통적 리듬을 지니고 있다. 즉 간결하고 소박한 가락과 친근감을 느낄 수 있는 구화체(口話體)를 활용한 대중적 리듬을 지니고 있다.
「진달래꽃」의 구조를 보면 다음과 같다.
①1연(기) : 이별의 정한
②2연(승) : 떠나는 임에 대한 축복
③3연(전) : 원망을 초극한 헌신적 사랑
④4연(결) : 극기와 슬픔의 극복
시의 외형적 구조를 살펴보면, 4연의 매 연이 3행으로, 첫째와 마지막 연의 2행이 반복적 형태를, 또한 각 연은 하나의 문장을 형성하며 존칭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존칭형과 종결어미는 1연과 4연이 서로 밀접한 관계에 있음을 제시하며, 시의 표현방식이 문어체가 아닌 구어체, 즉 대화형식임을 보여준다. '나'라는 일인칭의 시자아는 시세계의 표면에 직접 나타나지만, '나'와 상대되는 '당신'은 언급이 없다. 그러나 '나'는 분명히 스스로가 지닌 감정이나 생각, 혹은 자신의 의지를 상대방 '당신'에게 전달한다. 여기서 시자아가 '당신'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말하는지는 정확하게 구별되어지지 않는다.
Ⅳ 결 론
한과 애수로 일컬어지는 한국적 고유 정서와 전통적 민요조 가락은 소월시를 이루는 두 원소(元素)이자, 소월시를 존재하게 하는 두 원인이다. 민족 최대 최고의 시인으로 평가받는 소월이 남긴 150여편의 시는 생전에 간행한 시집 『진달래꽃』으로 묶였고, 사후(死後)에 김억이 엮은 『소월시초(1939)』에 이어 지금까지 수많은 시집이 간행되어 최대 베스트셀러가 되고 있다. 그렇다면 그의 시가 전국민의 절대적 사랑을 받게 된 원동력과 흡인력은 과연 무엇일까? 그것은 소월시가 남과 다른 숭고한 이념이나 사상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도 아니요, 시대적 고뇌를 온몸으로 포용하고 있는 지사적(志士的) 풍모를 보여 주고 있기 때문도 아니다. 다만 그것은 모두(冒頭)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그의 작품 속에는 민족의 고유 정서와 맞닿아 흐르는 어떤 소박하고 진솔한 정감이 있기 때문이다. 간결하고 소박한 가락, 친근감을 느낄 수 있는 구화체(口話體)를 활용한 7 5조의 대중적 리듬과, 이별 그리움 체념 등으로 대표되는 민중적 주제 의식을 담고 있어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쉽게 그 전통적 정서에 닿게 되어 소월시만이 갖는 처절한 호소력과 강렬한 감동을 전수받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문학의 네 가지 요소를 살펴보았다. 그런데 중요한 것은 문학의 요소는 서로 긴밀하게 결합되어서 하나의 작품을 형성하다는 점이다. 다만 어떤 작품에는 형식이 두드러지게 돋보이고, 어떤 작품은 사상이 뛰어나고, 어떤 작품은 정서나 상상의 요소가 빛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근본적으로 말하자면 이들 네 요소가 유기적으로 통일되어 나타나는 것이 바람직한 일이다. 여기에 통일적이고 전일적인 문학의 형성을 볼 수 있는 것이다.
이 점에서 볼 때 김소월의 「진달래꽃」은 문학의 네 가지 요소가 모두 두드러지게 표현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이 네 가지 요소가 유기적으로 어울려 좋은 작품을 형성하였다.
참고문헌
1. 『문학개론』 구인환·구창환 공저 (三英社, 2002)
2. 『문학의 이해』 김은철·백운복 (새문社, 2002)
3. 『문학의 이해』 조태일·김영석·김종회·신덕룡·유진월 (한울 아카데미,1999)
4. 인테넷 등 기타
4. 「진달래꽃」의 형식
「진달래꽃」은 자유시의 형태로 수미상관의 4연 12행의 간결한 시 형식으로 이루어졌고 7.5조의 음수율, 3음보 민요조의 전통적 리듬을 지니고 있다. 즉 간결하고 소박한 가락과 친근감을 느낄 수 있는 구화체(口話體)를 활용한 대중적 리듬을 지니고 있다.
「진달래꽃」의 구조를 보면 다음과 같다.
①1연(기) : 이별의 정한
②2연(승) : 떠나는 임에 대한 축복
③3연(전) : 원망을 초극한 헌신적 사랑
④4연(결) : 극기와 슬픔의 극복
시의 외형적 구조를 살펴보면, 4연의 매 연이 3행으로, 첫째와 마지막 연의 2행이 반복적 형태를, 또한 각 연은 하나의 문장을 형성하며 존칭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존칭형과 종결어미는 1연과 4연이 서로 밀접한 관계에 있음을 제시하며, 시의 표현방식이 문어체가 아닌 구어체, 즉 대화형식임을 보여준다. '나'라는 일인칭의 시자아는 시세계의 표면에 직접 나타나지만, '나'와 상대되는 '당신'은 언급이 없다. 그러나 '나'는 분명히 스스로가 지닌 감정이나 생각, 혹은 자신의 의지를 상대방 '당신'에게 전달한다. 여기서 시자아가 '당신'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말하는지는 정확하게 구별되어지지 않는다.
Ⅳ 결 론
한과 애수로 일컬어지는 한국적 고유 정서와 전통적 민요조 가락은 소월시를 이루는 두 원소(元素)이자, 소월시를 존재하게 하는 두 원인이다. 민족 최대 최고의 시인으로 평가받는 소월이 남긴 150여편의 시는 생전에 간행한 시집 『진달래꽃』으로 묶였고, 사후(死後)에 김억이 엮은 『소월시초(1939)』에 이어 지금까지 수많은 시집이 간행되어 최대 베스트셀러가 되고 있다. 그렇다면 그의 시가 전국민의 절대적 사랑을 받게 된 원동력과 흡인력은 과연 무엇일까? 그것은 소월시가 남과 다른 숭고한 이념이나 사상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도 아니요, 시대적 고뇌를 온몸으로 포용하고 있는 지사적(志士的) 풍모를 보여 주고 있기 때문도 아니다. 다만 그것은 모두(冒頭)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그의 작품 속에는 민족의 고유 정서와 맞닿아 흐르는 어떤 소박하고 진솔한 정감이 있기 때문이다. 간결하고 소박한 가락, 친근감을 느낄 수 있는 구화체(口話體)를 활용한 7 5조의 대중적 리듬과, 이별 그리움 체념 등으로 대표되는 민중적 주제 의식을 담고 있어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쉽게 그 전통적 정서에 닿게 되어 소월시만이 갖는 처절한 호소력과 강렬한 감동을 전수받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문학의 네 가지 요소를 살펴보았다. 그런데 중요한 것은 문학의 요소는 서로 긴밀하게 결합되어서 하나의 작품을 형성하다는 점이다. 다만 어떤 작품에는 형식이 두드러지게 돋보이고, 어떤 작품은 사상이 뛰어나고, 어떤 작품은 정서나 상상의 요소가 빛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근본적으로 말하자면 이들 네 요소가 유기적으로 통일되어 나타나는 것이 바람직한 일이다. 여기에 통일적이고 전일적인 문학의 형성을 볼 수 있는 것이다.
이 점에서 볼 때 김소월의 「진달래꽃」은 문학의 네 가지 요소가 모두 두드러지게 표현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이 네 가지 요소가 유기적으로 어울려 좋은 작품을 형성하였다.
참고문헌
1. 『문학개론』 구인환·구창환 공저 (三英社, 2002)
2. 『문학의 이해』 김은철·백운복 (새문社, 2002)
3. 『문학의 이해』 조태일·김영석·김종회·신덕룡·유진월 (한울 아카데미,1999)
4. 인테넷 등 기타
키워드
추천자료
무가의 문학성과 문학사적 의의
남북한 문학사의 대비적 접근 -현대문학사를 중심으로
문학론의 체계(네 가지 문학론)
현대문학사 1910년대 문학 평론
유아문학이란 무엇인가, 유아의 발달 특성과 유아문학
독일문학사, 독일문학사조 전체요약
현대문학강독3공통)이인직의 혈의루 은세계 중 1편을 읽고 작품의 줄거리와 문학사적 의미를 ...
아동문학의 개념과 아동문학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교육적 가치
[문학창작교육][시창작교육][소설창작교육][동화창작교육][음악창작활동][현대미술창작행위][...
아동문학-사회정서발달과아동문학과의관계
현대문학사 기말리포트11 - 디지털시대 진입에 따른 새로운 문학 컨텐츠의 등장
[아동문학] 아동문학의 장르 - 신화 (신화에 대한 이해, 유아들이 신화에 흥미를 갖는 이유, ...
아동문학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과 바람직한 문학활동을 위해 가정에서 부모들이 해야 할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