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대혁명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배경
2.발단과 전개
3.결론

본문내용

구하였는데, 이것이 받아들여지지 않자 5월 4일에 대규모 시위를 전개하였다. 뿐만 아니라 사회 각 계층이 참가하였으며 북경대학생들은 민주방송국을 만들어 무선방송을 시작하고 대학자치연합회를 발행하였다.
조자양도 이때부터 중앙과 학조의 대립을 완화하고 대화로 풀어 나갈려고 하여 학조에 관한 신문보도 금지를 해제하고 중앙통전부. 중앙선전부. 국가교육위원회의 안배아래 학생들과 대화를 하도록 하였다. 이것은 등소평이나 이붕의 강경책에 정식으로 반대되는 행동이었고, 학생들도 시위를 멈추고 수업을 받기로 하면서 정부와 대화를 하기 위하여 대학생대화대표단을 조직하였다.
그러나 이로 인하여 조자양은 당으로부터 공격받기 시작하고 5월 13일에 당국의 대답이 없자 수천 명의 학생들은 천안문 광장으로가 단식청원(斷食請願)을 시작하였는데, 이들의 요구에 정부는 학생과 신속히 대화할 것, 학생운동을 전면적으로 긍정할 것이 포함되었다. 다음 날 광장에서 단식 청원하던 학생들이 10여 명 기절하고, 당.정지도자들은 학생들과 대화를 통하여 학교로 돌아갈 것을 권하였다. 엄가기 등 12명의 학자와 작가들은 학생운동과 학생조직의 합법성을 긍정하고 진압을 반대한다는 긴급 호소를 발표하였다. 그런데 단식청원단의 학생들이 생명의 위험에까지 이르게 되어 병원으로 후송되어지는 숫자가 늘어나자 이를 계기로 1천여 명의 지식인들이 5.16성명을 발표하여 정부가 착오를 인정하라고 요구하였다. 북경의 신문들도 조자양의 지지아래 학생들의 단식상황을 진실 되게 보도하였다. 또한 이 상황은 고르바초프의 중국방문을 취재차 온 세계 각국 기자들의 중시를 받았다.
  • 가격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0.06.16
  • 저작시기2003.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99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