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AIDS의 정의 및 원인
1) AIDS의 정의
2) AIDS의 원인
3) 에이즈바이러스(HIV) 감염 경로
4) 국내 발병 현황
2. AIDS의 형태 및 병태생리
3. AIDS의 임상증상 및 진단법
4. AIDS의 치료방법
1) 에이즈치료제에 대한 일반사항
2) 감염자의 피나 정액 소독
5. AIDS 치료의 주요사용약물
1) HIV virus 억제제
2) 처방원칙
3) 기회감염의 치료
6. 참고문헌
1) AIDS의 정의
2) AIDS의 원인
3) 에이즈바이러스(HIV) 감염 경로
4) 국내 발병 현황
2. AIDS의 형태 및 병태생리
3. AIDS의 임상증상 및 진단법
4. AIDS의 치료방법
1) 에이즈치료제에 대한 일반사항
2) 감염자의 피나 정액 소독
5. AIDS 치료의 주요사용약물
1) HIV virus 억제제
2) 처방원칙
3) 기회감염의 치료
6. 참고문헌
본문내용
midine), ddI(dideoxyinosine), ddC(dideoxycytosine) 등이 있으며, 우리 나라는 주로 AZT를 사용하고 있다.
(2) 에이즈 발병시에 걸리는 기회감염, 2차 악성종양에 대한 각각의 치료약도 있다. 예를 들면, 카리니폐렴에는 ST합제와 펜타미딘,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의 감염에 대한 간시크로빌, 진균(곰팡이) 감염에는 암포테리신B, 2차 악성종양에는 항암제를 쓰고 있다.
(3) 현재 몇가지 백신이 개발되어 시험 중에 있다. 그러나 그 효과는 아직 확실치 않다. 에이즈 바이러스는 변이가 심하므로 백신을 만들기가 매우 어려운데, 그 성질이 잘 알려짐에 따라 효과적인 백신이 곧 개발될 것으로 전망된다.
2) 감염자의 피나 정액 소독
묻은 재료에 따라 소독방법이 다르지만,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있다.
※ HIV 오염물 소독법 (표-2)
예) 마루나 벽에 피가 묻은 경우 소독할 때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살포하고, 잠시 후에 닦아 낸다. 가정에서는 염소계통 표백제를 쓰면 좋다.
표-2
대 상
소독약
농도
소독시간
비 고
체 온 계
에틸알콜
70~80%
10~30분
충분히 깨끗이 닦음
차아염소산나트륨
0.5%
10~30분
약액은 매일 교환.
기 구
에틸알콜
70~80%
10~30분
깨끗히 닦거나 담근다
기 재
글루탈알데하이드
2%
30~60분
주3회 약액 교환
의 류
차아염소산나트륨
0.5%
10~30분 침윤
가열처리-78~80℃, 30분
침 구
포르말린가스 에프겐
7시간이상
훈증
식 기
차아염소산나트륨
0.5%
10~30분 침윤
가열처리-70~80℃, 30분
5. AIDS 치료의 주요사용약물
1) HIV virus 억제제
(1) Nucleoside계 치료제
[AZT(Azidothymidine), ddC(dideoxycytosine), ddI(dideoxyinosine) 등]
: AZT 100mg씩 1일 5-6회 투여
일년정도 후에 내성이 생기면 ddC나 ddI 로 교체해 사용
<부작용> 골수독성-빈혈, 과립구감소증, 혈소판감소증 등
(2) 비Nucleoside계 치료제[TIBO유도체, BI-RG-587, 피지돈 유도체, BHAPs]
: <장점> 강력한 항 HIV 활성에 비해 독성은 매우 낮다,
<단점> 6-12주 사용할 때 약제내성 발현으로 다른 약제와의 병합치료 필요
(3) protease억제제 [saquinavir, ritonavir, indinavir, nelfinavir]
(4) 새로이 개발된 항AIDS 약제(표-3)
표-3
약품명
상품명
약품제형
일일 상용량
복용방법
분류
부작용
Abacavir, ABC
Ziagen
300mg 정
10mg/ml시럽
300mg
2회 복용
경구복용
Nucleoside
유사체
과민반응,오심, 구토,발열,권태
Efavirenz
Sustiva
50,100,200mg
캡슐
600mg
1회복용
취침전
경구복용
역전사효소억제제
(Nonnuceoside)
발진,과민반응,
오심,어지럼증
Adifovir
Preveon
120mg 정
120mg
2회복용
경구복용
Nucleloside
유사체
오심, 권태감,
간효소수치증가, 신기능저하
Amprenavir
Agenerase
50mg,150mg 캡슐, 15mg/ml 시럽
1200mg
2회복용
경구복용
단백분해효소
억제제
발진, 오심
2) 처방원칙
① 일반적인 목표는 환자가 이전에 사용한 적이 없는 약물 중 적어도 두 가지의 새로운 약을 더하거나 바꾸는 것이다. 예를 들면 AZT+3TC를 사용한 환자지만 viral load수치가 기준치 이하로 될 때 d4T, ddI 혹은 단백질 분해 반응억제제 등의 약을 2-3개 복합처방을 하는 것이다.
② HIV의 초기 감염시에는 치료로 HIV-RNA수치를 많이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많은 의사들이 첫 번째 치료에서 강력한 복합처방을 사용하여 viral load를 아주 낮은 수치로 낮춘다. 그러나 viral load수치를 탐지하지 못하는 정도가 항상 가능한지에 대해서는 아직 모르고 있으므로 이것에 대한 계속된 연구가 있어야 한다.
3) 기회감염의 치료
(1) 카리니 폐렴(Pneumocystis carinii pneumonia, PCP)
: 펜타미딘, ST합제
조기발견, 치료시 약 70% 정도가 치유되나 재발 가능성이 높다.
(2) 칸디다증
: 항진균제(양치질 혹은 복용)
대개의 경우 쉽게 치료된다.
(3) 카포시(Caposi) 육종
: 확실한 치료법이 확립되지 않았다.
α-interferone이나 항암제 등으로 치료를 하지만 내장에 종양이 생긴 경우에는 대개 6개월 이내에 사망
(4) 에이즈 뇌증
: AZT를 사용하나 결정적인 치료법이나 예방법은 없다.
(5) 사이토메갈로 바이러스 감염증
: 간디그로빌 점적(약 80%가 개선됨)
(6) 합병증
: 치료법이 확립된 병도 있지만 합병증을 일으키면 거의 치명적이다.
6. 참고문헌
1) 월간 임상약학사, 임상약학지, Vol.13, No.4, p126-135, 1993
2) Vincent T.D., Samuel H. & Steven A., AIDS ;Ethiology, Diagnosis, Treatment & Prevention, J.B. Lipponcott Co., p352, 1985
3) Joseph T.D., Robert L.T., Peggy E.H., Gary C.Y. & Posey L.M., Pharmacology ; A pathophysiologic approach, Elsevier, p1730, 1989
4) Internet, http://www.hallym.ac.kr/~neuro/aids/aids11.html
5) 최신병리학개론, 저자: 이선경, 발행자: 이상태, 청구문화사,1995. 2. 20 초판인쇄
6) Internet, http://www.aidskosa.com
7) Internet, http://www.medcity.com/disease/aids/aids5.html
8) Internet, http://www.aids.or.kr/cyber/cyber-14.html
9) Internet, http://gtt.com.ne.kr/health-menu2-1-24.htm
(2) 에이즈 발병시에 걸리는 기회감염, 2차 악성종양에 대한 각각의 치료약도 있다. 예를 들면, 카리니폐렴에는 ST합제와 펜타미딘,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의 감염에 대한 간시크로빌, 진균(곰팡이) 감염에는 암포테리신B, 2차 악성종양에는 항암제를 쓰고 있다.
(3) 현재 몇가지 백신이 개발되어 시험 중에 있다. 그러나 그 효과는 아직 확실치 않다. 에이즈 바이러스는 변이가 심하므로 백신을 만들기가 매우 어려운데, 그 성질이 잘 알려짐에 따라 효과적인 백신이 곧 개발될 것으로 전망된다.
2) 감염자의 피나 정액 소독
묻은 재료에 따라 소독방법이 다르지만,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있다.
※ HIV 오염물 소독법 (표-2)
예) 마루나 벽에 피가 묻은 경우 소독할 때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살포하고, 잠시 후에 닦아 낸다. 가정에서는 염소계통 표백제를 쓰면 좋다.
표-2
대 상
소독약
농도
소독시간
비 고
체 온 계
에틸알콜
70~80%
10~30분
충분히 깨끗이 닦음
차아염소산나트륨
0.5%
10~30분
약액은 매일 교환.
기 구
에틸알콜
70~80%
10~30분
깨끗히 닦거나 담근다
기 재
글루탈알데하이드
2%
30~60분
주3회 약액 교환
의 류
차아염소산나트륨
0.5%
10~30분 침윤
가열처리-78~80℃, 30분
침 구
포르말린가스 에프겐
7시간이상
훈증
식 기
차아염소산나트륨
0.5%
10~30분 침윤
가열처리-70~80℃, 30분
5. AIDS 치료의 주요사용약물
1) HIV virus 억제제
(1) Nucleoside계 치료제
[AZT(Azidothymidine), ddC(dideoxycytosine), ddI(dideoxyinosine) 등]
: AZT 100mg씩 1일 5-6회 투여
일년정도 후에 내성이 생기면 ddC나 ddI 로 교체해 사용
<부작용> 골수독성-빈혈, 과립구감소증, 혈소판감소증 등
(2) 비Nucleoside계 치료제[TIBO유도체, BI-RG-587, 피지돈 유도체, BHAPs]
: <장점> 강력한 항 HIV 활성에 비해 독성은 매우 낮다,
<단점> 6-12주 사용할 때 약제내성 발현으로 다른 약제와의 병합치료 필요
(3) protease억제제 [saquinavir, ritonavir, indinavir, nelfinavir]
(4) 새로이 개발된 항AIDS 약제(표-3)
표-3
약품명
상품명
약품제형
일일 상용량
복용방법
분류
부작용
Abacavir, ABC
Ziagen
300mg 정
10mg/ml시럽
300mg
2회 복용
경구복용
Nucleoside
유사체
과민반응,오심, 구토,발열,권태
Efavirenz
Sustiva
50,100,200mg
캡슐
600mg
1회복용
취침전
경구복용
역전사효소억제제
(Nonnuceoside)
발진,과민반응,
오심,어지럼증
Adifovir
Preveon
120mg 정
120mg
2회복용
경구복용
Nucleloside
유사체
오심, 권태감,
간효소수치증가, 신기능저하
Amprenavir
Agenerase
50mg,150mg 캡슐, 15mg/ml 시럽
1200mg
2회복용
경구복용
단백분해효소
억제제
발진, 오심
2) 처방원칙
① 일반적인 목표는 환자가 이전에 사용한 적이 없는 약물 중 적어도 두 가지의 새로운 약을 더하거나 바꾸는 것이다. 예를 들면 AZT+3TC를 사용한 환자지만 viral load수치가 기준치 이하로 될 때 d4T, ddI 혹은 단백질 분해 반응억제제 등의 약을 2-3개 복합처방을 하는 것이다.
② HIV의 초기 감염시에는 치료로 HIV-RNA수치를 많이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많은 의사들이 첫 번째 치료에서 강력한 복합처방을 사용하여 viral load를 아주 낮은 수치로 낮춘다. 그러나 viral load수치를 탐지하지 못하는 정도가 항상 가능한지에 대해서는 아직 모르고 있으므로 이것에 대한 계속된 연구가 있어야 한다.
3) 기회감염의 치료
(1) 카리니 폐렴(Pneumocystis carinii pneumonia, PCP)
: 펜타미딘, ST합제
조기발견, 치료시 약 70% 정도가 치유되나 재발 가능성이 높다.
(2) 칸디다증
: 항진균제(양치질 혹은 복용)
대개의 경우 쉽게 치료된다.
(3) 카포시(Caposi) 육종
: 확실한 치료법이 확립되지 않았다.
α-interferone이나 항암제 등으로 치료를 하지만 내장에 종양이 생긴 경우에는 대개 6개월 이내에 사망
(4) 에이즈 뇌증
: AZT를 사용하나 결정적인 치료법이나 예방법은 없다.
(5) 사이토메갈로 바이러스 감염증
: 간디그로빌 점적(약 80%가 개선됨)
(6) 합병증
: 치료법이 확립된 병도 있지만 합병증을 일으키면 거의 치명적이다.
6. 참고문헌
1) 월간 임상약학사, 임상약학지, Vol.13, No.4, p126-135, 1993
2) Vincent T.D., Samuel H. & Steven A., AIDS ;Ethiology, Diagnosis, Treatment & Prevention, J.B. Lipponcott Co., p352, 1985
3) Joseph T.D., Robert L.T., Peggy E.H., Gary C.Y. & Posey L.M., Pharmacology ; A pathophysiologic approach, Elsevier, p1730, 1989
4) Internet, http://www.hallym.ac.kr/~neuro/aids/aids11.html
5) 최신병리학개론, 저자: 이선경, 발행자: 이상태, 청구문화사,1995. 2. 20 초판인쇄
6) Internet, http://www.aidskosa.com
7) Internet, http://www.medcity.com/disease/aids/aids5.html
8) Internet, http://www.aids.or.kr/cyber/cyber-14.html
9) Internet, http://gtt.com.ne.kr/health-menu2-1-24.htm
추천자료
[청소년비행][여성비행청소년]청소년비행의 정의, 청소년비행의 관점, 청소년비행의 원인과 ...
[국제경쟁력]국제경쟁력의 정의, 국제경쟁력의 결정요인과 국제경쟁력의 창출원천, 국제경쟁...
[사막화]사막화의 이해(정의, 발생 원인, 영향, 피해), 사막화 문제의 심각성과 국내외 사막...
[근골격계질환]근골격계질환(직업병)의 정의, 근골격계질환(직업병)의 원인 및 근골격계질환(...
[비행청소년] 비행청소년의 정의, 비행청소년의 범죄유형, 비행청소년의 범죄 원인 및 해결방...
[가족복지론] 아동학대 {아동학대의 정의 및 유형, 아동학대 실태, 법률 규정, 원인과 영향, ...
공무원 부정부패 : 공무원 부정부패의 원인과 대처방안 ; 공무원 부정부패의 유형 및 대처방...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의 정의(개념)와 특성(특징) 및 원인(요인), ADHD의 치료
[청각장애] 청각장애의 정의 및 분류, 청각장애 아동의 출현율, 청각장애의 영향(청력손실의 ...
[월경 전 증후군] 월경전증후군의 원인과 증상, 월경전 증후군의 정의 및 증상에 따른 분류, ...
[ 저출산 문제과 해결방안연구 레포트 ] 저출산 정의,원인,문제점분석과 저출산 해결방안,선...
동맥류 (동맥류 정의, 동맥류 병태생리, 동맥류 원인, 동맥류 분류, 동맥류 호발부위, 동맥류...
심근경색증 MI ( 심근경색증 정의, 심근경색증 원인, 심근경색증 병태생리, 심근경색증 증상,...
고혈압 hypertension (고혈압 정의, 고혈압 분류, 고혈압 원인, 고혈압 병태생리, 고혈압 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