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들어가는 말
2. 본론
2.1. 주체에 대한 인식과 기표의 우위성
2.2. 상징계의 편입과 함께 드러난 양가감정
2.3. 채워지지 않는 욕망, 그리고 대상a
2.4. 욕망과 갈등
2.5. 외상(trauma)의 발생
2.6. 드리워진 실재계와 의미의 그물망
2.7. 사후성의 원리, 소급작용, 누빔점
3. 결론 - 나가는 말
2. 본론
2.1. 주체에 대한 인식과 기표의 우위성
2.2. 상징계의 편입과 함께 드러난 양가감정
2.3. 채워지지 않는 욕망, 그리고 대상a
2.4. 욕망과 갈등
2.5. 외상(trauma)의 발생
2.6. 드리워진 실재계와 의미의 그물망
2.7. 사후성의 원리, 소급작용, 누빔점
3. 결론 - 나가는 말
본문내용
풀리지 않는 라깡의 논리와 내 안의 뒤섞인 잡다한 생각의 실타래는 나의 삶의 또 다른 숙제로 남아있음을 고백한다.
기원전 3세기에 쓰여진 것으로 추정되는 장자(莊子)에 보면 붕새(鵬)이야기가 나온다. 그 구절은 아래와 같다.
“북쪽 깊은 바다에 물고기 한 마리가 살았는데, 그 이름을 곤(鯤)이라 하였습니다. 그 크기가 몇 천리인지 알 수가 없었습니다. 이 물고기가 변하여 새가 되었는데, 그 이름을 붕(鵬)이라 하였습니다. 등의 길이가 몇 천 리인지 알 수가 없었습니다. 한 번 기운을 모아 힘차게 날아오르면 날개는 하늘에 드리운 구름 같았습니다. 이 새는 바다 기운이 움직여 물결이 흉흉해지면, 남쪽 깊은 바다로 가는데, 그 바다를 예로부터 ‘하늘 못(天池)’이라 하였습니다.” 오강남 풀이 장자<현암사, 1999>, p.26
물고기가 변하여 등 길이가 몇 천리인지 알 수 없을 정도로 엄청나게 큰 붕새가 되고, 그 붕새가 구만 리나 되는 하늘을 나는 엄청난 체험을 한다는 것이다. 붕새는 엄청난 변화의 가능성을 이룬 사람이다. 그 변화를 이룬 사람은 거침없는 변화와 변혁의 비상(飛翔)을 시도한다. 그 비상은 실존적 한계를 뛰어넘은 초월과 절대적 자유를 상징한다.
인간은 참 자유를 원한다. 그러나 그 자유를 위해선 출애굽과 유목민 삶이 수반되어야 한다. 욕망과 환상은 현실세계의 동인이 되지만, 올바른 욕망과 환상만이 인간의 삶을 자유롭게 하며, 붕새의 삶을 선물해주리라 생각한다.
■ 참고문헌
윤흥길, 완장 <현대문학. 1983>
오강남 풀이, 도덕경,<현암사, 1995>
오강남 풀이 장자<현암사, 1999>
기원전 3세기에 쓰여진 것으로 추정되는 장자(莊子)에 보면 붕새(鵬)이야기가 나온다. 그 구절은 아래와 같다.
“북쪽 깊은 바다에 물고기 한 마리가 살았는데, 그 이름을 곤(鯤)이라 하였습니다. 그 크기가 몇 천리인지 알 수가 없었습니다. 이 물고기가 변하여 새가 되었는데, 그 이름을 붕(鵬)이라 하였습니다. 등의 길이가 몇 천 리인지 알 수가 없었습니다. 한 번 기운을 모아 힘차게 날아오르면 날개는 하늘에 드리운 구름 같았습니다. 이 새는 바다 기운이 움직여 물결이 흉흉해지면, 남쪽 깊은 바다로 가는데, 그 바다를 예로부터 ‘하늘 못(天池)’이라 하였습니다.” 오강남 풀이 장자<현암사, 1999>, p.26
물고기가 변하여 등 길이가 몇 천리인지 알 수 없을 정도로 엄청나게 큰 붕새가 되고, 그 붕새가 구만 리나 되는 하늘을 나는 엄청난 체험을 한다는 것이다. 붕새는 엄청난 변화의 가능성을 이룬 사람이다. 그 변화를 이룬 사람은 거침없는 변화와 변혁의 비상(飛翔)을 시도한다. 그 비상은 실존적 한계를 뛰어넘은 초월과 절대적 자유를 상징한다.
인간은 참 자유를 원한다. 그러나 그 자유를 위해선 출애굽과 유목민 삶이 수반되어야 한다. 욕망과 환상은 현실세계의 동인이 되지만, 올바른 욕망과 환상만이 인간의 삶을 자유롭게 하며, 붕새의 삶을 선물해주리라 생각한다.
■ 참고문헌
윤흥길, 완장 <현대문학. 1983>
오강남 풀이, 도덕경,<현암사, 1995>
오강남 풀이 장자<현암사, 1999>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