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훈민정음과 108
1) 훈민정음 어지 부분의 글자수 108과 54
2) 월인석보 제 1 권의 장수 108
3) 세조실록 속의 108
3.세종, 세조(수양)의 불교 행적■
1) 세종의 불교 행적
2) 세조의 불교 행적
4. 그 밖의 반증들
2) 반야심경과 270
3) 훈민정음 해례본의 체제
5..결론:훈민정음 창제와 불교 신앙
2. 훈민정음과 108
1) 훈민정음 어지 부분의 글자수 108과 54
2) 월인석보 제 1 권의 장수 108
3) 세조실록 속의 108
3.세종, 세조(수양)의 불교 행적■
1) 세종의 불교 행적
2) 세조의 불교 행적
4. 그 밖의 반증들
2) 반야심경과 270
3) 훈민정음 해례본의 체제
5..결론:훈민정음 창제와 불교 신앙
본문내용
우리가 이제까지 논의한 사실들을 바탕으로 하여 훈민정음 창제의 또다른 목적, 즉 이차적인 실제의 창제 목적이 무엇이냐에 대하여 이야기한다면, 다음과 같이 기술하는 것이 자연스런 추론이 된다.
그들은 훈민정음이라는 새로운 표음 문자를 개발하면서 漢文으로 되어 있는 여러 분야의 많은 典籍들이 더 쉬운 문자로 번역되어 널리 읽히기를 바랬다. 그런 중에서도 불교 신자들이었던 훈민정음 창제 당사자들, 즉 世宗과 世祖는 이 新文字에 의해서 자신들이 독실하게 믿고 있는 불교 관계 전적들까지를 여러 어리석은 백성에게 좀더 널리 전파하고 싶었으며, 비록 이는 그들을 둘러싼 건국 초기의 종교적 분위기와는 상치된 것이었기는 했을지라도 깊은 신앙심에서 우러난 것이었기 때문에 대단히 중요한 것이었다. 그러나 그들은 이러한 신문자 창제의 종교적인 목적을 공공연하게 드러내 놓을 수 없는 상황에 있었다. 왜냐하면 그들은 開國初의 이른바 斥佛崇儒를 강력하게 부르짖는 유학자들에 둘러싸여 있었으며 그들의 감시 속에 있었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그들이 의도하는 이같은 신문자 창제의 또다른 목적은 지극히 은밀한 방법으로 밖에는 표현하기 어려웠을 것임에 틀림없다.
이같이 그들이 지극한 애착을 가지고 추진했던 新文子 창제 사업과 관련하여 자신들이 믿고 있는 종교적 신앙심에 기대고자 했을 가능성을 지적하는 것은 지극히 자연스런 일이다. 그러한 종교적 염원이 御旨 부분의 글자수를 불교에서 神聖한 수로 여기는 108 자와 그 절반인 54 자, 나아가서는 또다시 그 절반인 27 자 등으로 조절하는 은밀한 방법을 통해 반영되었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서 그들은 新文字 체제가 성공적으로 민간에 전파되기를 기원하는 한편 나아가서는 불교 자체가 보급되기를 기원했다고 보는 것이 좋을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곧 독실한 불교 신자가 자신의 경건한 신앙심을 표현하기 위해서 108 염주를 사용한다든가 108 拜를 올린다든가 하는 신성한 숫자와 관련된 행위를 행하는 것과 같은 맥락에서 나온 결과이다. 이상의 여러가지 결과들로 미루어 보건대 우리는 訓民正音 창제의 또다른 중요한 목적 가운데 하나는 불교의 보급에 있었다는 결론을 내리지 않을 수가 없다.
불교를 보급하기 위해서 그들이 신문자를 창제했다는 사실은, 그러한 상황 속에서도 실제로 그들이 신문자를 통해서 불교를 보급하는데 앞장을 섰던 사실로 증명되고도 남음이 있다. 訓民正音의 창제 뒤에 진행된 각종 전적의 언해 사업 중에서 불교 경전의 언해가 양적으로 으뜸을 차지하고 있다는 사실이 이를 웅변으로 증명해 주고 있는 것이다. 108과 54의 숫자가 발견되는 책이 바로 月印釋譜인데 주지하다시피 이 책은 釋譜祥節과 月印千江之曲을 합한 책으로서 이 자체가 이미 일종의 불교 경전이라는 사실이 이들의 불교 신앙과 한글 창제의 또다른 목적 사이의 관계를 말해 주고 있는 것이기도 하다.
參 考 文 獻
姜信沆(1987), 訓民正音硏究, 成均館大學校 出版部.
金光海(1983), 訓民正音의 우연들 ,大學新聞, 1982.11.19.
------(1989), 訓民正音과 108 , 周時經學報 제 4 집.
______(1990), 訓民正音 창제의 또다른 목적 , 姜信沆 교수 회갑기념 논문집.
金敏洙(1971), 注解 訓民正音 ,通文館.
金完鎭(1975), 訓民正音 子音字와 加劃의 原理 , 語文硏究 7.8호, 一潮閣.
安秉禧(1976), 訓民正音의 異本 , 震檀學報 42, 震檀學報.
李東林(1973), 諺文字母俗所爲 反切二十七字' 策定根據 , 梁柱東博士 古稀紀念 論文集.
李成九(1985),訓民正音硏究, 東文社.
朝鮮王朝實錄,世宗實錄.
朝鮮王朝實錄,世祖實錄.
[부록] 108 數 관련 참고 사항
百八:1년의 뜻이 있음. (12 月 + 24 節期 + 72 候)
百八句: 楞伽經 첫머리에 나오는 말. 大慈菩薩이 百八句로서 물으니 부처님이 百八句로서 대답하였다는 기록과 관계됨.
百八名贊:金剛戒의 儀軌에 나오는 16大 菩薩의 贊.이밖에 毘俱底의 百八名贊,聖觀音의 百八名贊 등이 있다.
百八煩惱:
(1) 10纏 + 98 結
(2) [(六根 x 三受 ) + (六根 x 三種)] x 過去,現在,未來 = 百八煩惱
百八法明門: 明은 지혜의 다른 이름.중생의 어리석음을 제거하고 일체법에 통달하는 百八種의 法門. 第一 正信法明門에서부터 第百八 不退轉地法明門까지 있다.
百八尊:金剛戒 蔓茶羅 가운데 있는 百八尊을 말함. 百八尊 = 37尊 (5 佛,4 波羅密,16大 菩薩,12 供養) + 16菩薩 + 20天 + 35 尊
百八鍾:사찰에서 아침 저녁 범종을 百八회 치는 일,百八煩惱를 對治하여 斷除하는 뜻이 있음.
百八煩惱:중생의 번뇌의 수효가 108종이라는 뜻,百八結이라고도 한다.여러 가지 설이 있으나 일반적으로 중생의 눈,귀,코,혀,몸,뜻의 감각 기관이 감관의 대상을 접할 때 저마다 좋다(好),나쁘다(惡),그저그렇다(平等)는 세 가지가 서로 같지 않아서 18번뇌를 일으킨다.또 괴로움(苦)과 즐거움(樂)과 괴로움과 즐거움도 아닌(捨) 것과 관련지어 18번뇌를 갖게 된다.이들을 합한 36번죄가 다시 각각 과거,미래,현재를 갖기 때문에 36번뇌에 3배를 하면 108번뇌가 된다.불교에서는 이 백팔번뇌에 특별한 의미를 두어,108개의 목환자를 꿰어 만든 108수주(數珠;염주)를 만들어 돌리면서 三寶를 생각하면 108번뇌를 없애고 隨乘한 果를 얻는다고 하여 널리 信行되고 있다.그러나 백팔번뇌라는 것은 인간의 번뇌를 108종으로 세분해 본 것일뿐 그 근원은 하나이다.그것은 본래의 자기인 一心을 잃는 데서 오는 것으로,일심을 회복해 가지는 것이 백팔번뇌를 끊는 길이다.
<金鉉埈,동아 세계대백과사전>
念珠(數珠,珠數,誦珠,呪珠):원래 염주나무(보리수) 열매를 골라 百八 개로 꿰어 만들었으나,지금은 水晶등 희귀한 재료로 만들기도 함.108 개가 기본이나,10배 염주,半數 (54) 염주,四半數 (27) 염주도 있다.108 개를 꿰는 이유는 百八煩惱를 의미하기 때문.54 개는 菩薩 修行의 階位인 四善根,十身,十住,十行,十廻向,十地를 나타낸 것.27 걔는 小乘의 27 賢聖을 표시하는 것.
<이상 弘法院編輯部編,「佛敎學大辭典」(1988),弘法院.에서>
그들은 훈민정음이라는 새로운 표음 문자를 개발하면서 漢文으로 되어 있는 여러 분야의 많은 典籍들이 더 쉬운 문자로 번역되어 널리 읽히기를 바랬다. 그런 중에서도 불교 신자들이었던 훈민정음 창제 당사자들, 즉 世宗과 世祖는 이 新文字에 의해서 자신들이 독실하게 믿고 있는 불교 관계 전적들까지를 여러 어리석은 백성에게 좀더 널리 전파하고 싶었으며, 비록 이는 그들을 둘러싼 건국 초기의 종교적 분위기와는 상치된 것이었기는 했을지라도 깊은 신앙심에서 우러난 것이었기 때문에 대단히 중요한 것이었다. 그러나 그들은 이러한 신문자 창제의 종교적인 목적을 공공연하게 드러내 놓을 수 없는 상황에 있었다. 왜냐하면 그들은 開國初의 이른바 斥佛崇儒를 강력하게 부르짖는 유학자들에 둘러싸여 있었으며 그들의 감시 속에 있었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그들이 의도하는 이같은 신문자 창제의 또다른 목적은 지극히 은밀한 방법으로 밖에는 표현하기 어려웠을 것임에 틀림없다.
이같이 그들이 지극한 애착을 가지고 추진했던 新文子 창제 사업과 관련하여 자신들이 믿고 있는 종교적 신앙심에 기대고자 했을 가능성을 지적하는 것은 지극히 자연스런 일이다. 그러한 종교적 염원이 御旨 부분의 글자수를 불교에서 神聖한 수로 여기는 108 자와 그 절반인 54 자, 나아가서는 또다시 그 절반인 27 자 등으로 조절하는 은밀한 방법을 통해 반영되었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서 그들은 新文字 체제가 성공적으로 민간에 전파되기를 기원하는 한편 나아가서는 불교 자체가 보급되기를 기원했다고 보는 것이 좋을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곧 독실한 불교 신자가 자신의 경건한 신앙심을 표현하기 위해서 108 염주를 사용한다든가 108 拜를 올린다든가 하는 신성한 숫자와 관련된 행위를 행하는 것과 같은 맥락에서 나온 결과이다. 이상의 여러가지 결과들로 미루어 보건대 우리는 訓民正音 창제의 또다른 중요한 목적 가운데 하나는 불교의 보급에 있었다는 결론을 내리지 않을 수가 없다.
불교를 보급하기 위해서 그들이 신문자를 창제했다는 사실은, 그러한 상황 속에서도 실제로 그들이 신문자를 통해서 불교를 보급하는데 앞장을 섰던 사실로 증명되고도 남음이 있다. 訓民正音의 창제 뒤에 진행된 각종 전적의 언해 사업 중에서 불교 경전의 언해가 양적으로 으뜸을 차지하고 있다는 사실이 이를 웅변으로 증명해 주고 있는 것이다. 108과 54의 숫자가 발견되는 책이 바로 月印釋譜인데 주지하다시피 이 책은 釋譜祥節과 月印千江之曲을 합한 책으로서 이 자체가 이미 일종의 불교 경전이라는 사실이 이들의 불교 신앙과 한글 창제의 또다른 목적 사이의 관계를 말해 주고 있는 것이기도 하다.
參 考 文 獻
姜信沆(1987), 訓民正音硏究, 成均館大學校 出版部.
金光海(1983), 訓民正音의 우연들 ,大學新聞, 1982.11.19.
------(1989), 訓民正音과 108 , 周時經學報 제 4 집.
______(1990), 訓民正音 창제의 또다른 목적 , 姜信沆 교수 회갑기념 논문집.
金敏洙(1971), 注解 訓民正音 ,通文館.
金完鎭(1975), 訓民正音 子音字와 加劃의 原理 , 語文硏究 7.8호, 一潮閣.
安秉禧(1976), 訓民正音의 異本 , 震檀學報 42, 震檀學報.
李東林(1973), 諺文字母俗所爲 反切二十七字' 策定根據 , 梁柱東博士 古稀紀念 論文集.
李成九(1985),訓民正音硏究, 東文社.
朝鮮王朝實錄,世宗實錄.
朝鮮王朝實錄,世祖實錄.
[부록] 108 數 관련 참고 사항
百八:1년의 뜻이 있음. (12 月 + 24 節期 + 72 候)
百八句: 楞伽經 첫머리에 나오는 말. 大慈菩薩이 百八句로서 물으니 부처님이 百八句로서 대답하였다는 기록과 관계됨.
百八名贊:金剛戒의 儀軌에 나오는 16大 菩薩의 贊.이밖에 毘俱底의 百八名贊,聖觀音의 百八名贊 등이 있다.
百八煩惱:
(1) 10纏 + 98 結
(2) [(六根 x 三受 ) + (六根 x 三種)] x 過去,現在,未來 = 百八煩惱
百八法明門: 明은 지혜의 다른 이름.중생의 어리석음을 제거하고 일체법에 통달하는 百八種의 法門. 第一 正信法明門에서부터 第百八 不退轉地法明門까지 있다.
百八尊:金剛戒 蔓茶羅 가운데 있는 百八尊을 말함. 百八尊 = 37尊 (5 佛,4 波羅密,16大 菩薩,12 供養) + 16菩薩 + 20天 + 35 尊
百八鍾:사찰에서 아침 저녁 범종을 百八회 치는 일,百八煩惱를 對治하여 斷除하는 뜻이 있음.
百八煩惱:중생의 번뇌의 수효가 108종이라는 뜻,百八結이라고도 한다.여러 가지 설이 있으나 일반적으로 중생의 눈,귀,코,혀,몸,뜻의 감각 기관이 감관의 대상을 접할 때 저마다 좋다(好),나쁘다(惡),그저그렇다(平等)는 세 가지가 서로 같지 않아서 18번뇌를 일으킨다.또 괴로움(苦)과 즐거움(樂)과 괴로움과 즐거움도 아닌(捨) 것과 관련지어 18번뇌를 갖게 된다.이들을 합한 36번죄가 다시 각각 과거,미래,현재를 갖기 때문에 36번뇌에 3배를 하면 108번뇌가 된다.불교에서는 이 백팔번뇌에 특별한 의미를 두어,108개의 목환자를 꿰어 만든 108수주(數珠;염주)를 만들어 돌리면서 三寶를 생각하면 108번뇌를 없애고 隨乘한 果를 얻는다고 하여 널리 信行되고 있다.그러나 백팔번뇌라는 것은 인간의 번뇌를 108종으로 세분해 본 것일뿐 그 근원은 하나이다.그것은 본래의 자기인 一心을 잃는 데서 오는 것으로,일심을 회복해 가지는 것이 백팔번뇌를 끊는 길이다.
<金鉉埈,동아 세계대백과사전>
念珠(數珠,珠數,誦珠,呪珠):원래 염주나무(보리수) 열매를 골라 百八 개로 꿰어 만들었으나,지금은 水晶등 희귀한 재료로 만들기도 함.108 개가 기본이나,10배 염주,半數 (54) 염주,四半數 (27) 염주도 있다.108 개를 꿰는 이유는 百八煩惱를 의미하기 때문.54 개는 菩薩 修行의 階位인 四善根,十身,十住,十行,十廻向,十地를 나타낸 것.27 걔는 小乘의 27 賢聖을 표시하는 것.
<이상 弘法院編輯部編,「佛敎學大辭典」(1988),弘法院.에서>
추천자료
조선왕조 실록에 대하여
모아쓰기 , 풀어쓰기 정의 및 장, 단점 외
국문학사 시대구분 이견
고려가요 여음의 종류와 기능 그리고 특성
조선시대의 교육
교육제도의 형성과 역사
CEO 세종대왕 바라보기
중고 및 근세문학의 시대적 배경의 특징, 중고문학의 특징과 주요 작품, 근세문학의 장르별 ...
한권으로 읽는 세종왕조실록을 읽고 독후감
한국사의 이해
창의력과 우리나라 문화의 관계
세종대왕의 행동 리더십,백성을 섬김,토론과 경청,솔선수범,혁신적 행동의 리더,리더쉽사례 p...
세종대왕의 국가경영 [자신의 전공에서 바라 본 세종 시대와 그 정치에 대한 이해]
[감상문] 나의 전공에서 바라본 세종 시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