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자모(字母)의 수효와 순서, 명칭의 변천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글’ 자모(字母)의 수효와 순서, 명칭의 변천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한글’ 자모의 수효와 순서의 변천사
(1) 훈민정음(訓民正音) : 1443년(세종25년) 창제되어 1446년(세종28년) 반포된 우리의 글자.
(2) 훈몽자회(訓蒙字會) 범례 : 1527년(중종22년) 최세진이 만든 한자 학습용 교과서.
- 책 첫머리에 있는 범례(凡例) 중에 ‘언문 자모(諺文字母)’라 하여 다음과 같이 적음.
(3)삼운성휘(三韻聲彙) 범례 : 1751년(영조27년) 홍계희가 저술한 책.
- 그 범례인 ‘언자 초중종성지도(諺字初中終聲之圖)’에 다음과 같은 순서로 되어 있음.
(4)반절(反切) : 지난 시기에 속간에서 한글을 처음 배울 때에 사용되던 것으로서 초성과 중성이 결합된 음절의 도표. 그 바탕에는 한글의 자모와 순서가 나타나 있음.
(5) [동문자모분해] : 반절은 고종 6년(기미, 1869년)에 간행된 강위의 {동문자모분해}의 [동문35자모도]에도 나타나 있는데 이것은 다른 것과 매우 다름.
(6) [한글맞춤법] : [한글 맞춤법]에 한글의 자음과 모음의 수와 그 순서 그리고 그 명칭은 "제2장 자모"의 "제4항"에서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다.
2. ‘한글 자모’ 명칭의 변천

Ⅲ. 결 론

본문내용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06.25
  • 저작시기200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219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