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영아기의 신체발달, 인지발달, 사회성 발달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1. 신체 발달
2. 인지발달
1) 1~6개월
2) 7~12개월
3) 13~18개월
4) 19~24개월
3. 사회성발달
1. 신체 발달
2. 인지발달
1) 1~6개월
2) 7~12개월
3) 13~18개월
4) 19~24개월
3. 사회성발달
본문내용
행도에서 조금은 증가했지만, 전체적으로 선행연구와 달리 저조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이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관찰한 모방행동들이 영아에게 흥미를 유발하지 못했고, 영아가 모방을 할 필요성을 못 느끼는듯하며, 낯선 검사자의 영향도 배제할 수 없을 것이다.
③ 공간개념
19개월된 대부분의 영아는(72.1%) 창 밖 멀리 있는 물체를 가리킬 수 있을정도로 원근개념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고, 한 면에 풀칠을 할 수 있는 영아는 아직 소수였다.(11.8%)
24개월이 되면 대다수의 영아가 자신의 집에서 방의 위치를 알며(97.5%), 위아래를 이해하는 정도도 꾸준히 증가하여 67.1%를 나타냈다. 앞뒤에 대해서도 비슷한 정도로 이해하는 반면 좌우에 대한 이해수준은 낮게 나타났다. 위아래와 앞뒤에 대한 이해보다는 좌우의 공간개념이 늦게 발달함을 알 수 있다.
④ 개념 이해
21개월이 되면 거의 모든 영아가 사물에 대한 개념을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물 그림과 소리를 짝지을 수 있는 영아도 이전 개월에 비해 증가하여 85.5%를 나타났다.
23개월 된 영아의 대부분은 집안의 물건을 놓는 장소를 알고 있었다. 또한 모형판을 이용해 형태 맞추기 과제를 통해 살펴본 동그라미, 네모, 세모 형태에 대한 개념도 대부분의 영아들이 획득한 것으로 나타났다. 색에 대한 재인능력도 아직 저조하나 일부 나타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부모 보고에 의하면, 27.8%의 영아가 정해진 일과에 대해 이해하는 스크립트 기억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나서 영아의 기억능력이 향상되기 시작함을 알 수 있다.
3. 사회성발달
1-3개월
엄마의 얼굴을 바라보며, 양육자와 반응하여 미소를 짓습니다.
4-6개월
자의로 미소를 짓고, 빠른 경우 처음 보는 사람에게 낯가림을 시작합니다.
7-9개월
혼자서 과자를 먹고, 장난감을 뺏으면 저항합니다.
낯선 사람에 대해 예민하게 반응합니다.
10-12개월
엄마의 말과 행동을 모방하기 시작하고, 노래에 맞춰 손뼉치기를 합니다.
엄마와 공을 가지고 놀 수 있으며, 원하는 것을 가리켜요
아기의 사회화는 가정과 엄마, 그 외의 다른 양육자와의 관계에서 시작합니다. 대개 아기의 사회화의 기본이 되는 것은 엄마이고, 엄마와의 강한 애착관계는 이후 아기의 사회적 관계와 큰 연관이 있습니다.
말을 많이 건네세요
말은 의사소통뿐만 아니라 사회생활에서 꼭 필요한 수단이에요. 옹아리가 많아지면 엄마의 표정과 말소리를 듣고 따라 하도록 엄마가 소리를 내서 말을 해주세요. 기저귀를 갈 때, 젖을 줄 때 목욕을 시킬 때 등 엄마는 가능한 아기에게 많은 말을 해주세요.
간지르거나 달래면서 놀아준다
아기가 누워만 있는 시기에는 아기의 적극적인 반응을 끌어내는 새로운 자극을 주세요. 아기가 좋아하면서 소리를 내면 말하는 것이 자극되고, 엄마와 연결성을 갖게 되는 커뮤니케이션이 싹트게 되어요.
엄마와 함께 손놀이를 하세요
누워 있는 시기에는 '도리도리'놀이를 하면서 아기와 눈을 맞추세요. 아기는 엄마와 마주보고 하는 '짝짜꿍', '곤지곤지', '잼잼' 등을 흉내내면서 여러 가지 손과 손가락을 움직여 보세요. '코코코 입', '머리 어깨 무릎 발'등의 손놀이를 통해 신체부위의 이름도 알게 되어요.
- 생후 6개월이 되면 아기들간에도 사회적인 미소나 옹아리를 하고, 장소를 움직이는 움직임이 가능해지면서 다른 아기를 쫓아다니며 눈이나 입, 귀 등을 만져보려고 합니다.
- 생후 12개월이 된 아기는 자신을 다른 사람이나 사물로부터 독립된 개체임을 인식하는 자아인식이 생겨서, 어른이나 다른 장난감에 의해 주의가 분산되지 않는 한 다른 아기에게 적극적인 관심을 갖게 됩니다. 관심을 나타내는 방법이 서툴기 때문에 만져보거나 안아보는 등의 신체적 접촉을 시도하거나 눈으로 쳐다보기만 하는 등.기초적인 사회적 행동을 보여요.
- 돌이 지나면 아기에겐 엄마에게 의지하려는 마음과 독립하려는 마음이 함께 생겨요. 어떻게 보면 서로 상반된 마음 상태인 것 같지만 아기는 엄마에게 의지하면서 동시에 새로운 미지의 세계에 대한 강한 동경이 있어요.
다시 말해 엄마에게 의지하는 동시에 자기 주장을 하고, 낯선 곳과 사람을 만나 새로운 것을 경험하고 싶어해요.
- 손가락을 정교하게 움직이는 것이 점점 발달해 혼자 옷을 입고 벗고 싶어하고 큰 인형에게 예쁜 색깔의 단추나.지퍼를 달아 옷을 입히고 벗기는 놀이를 하면서 아기의 자율성 발달이 촉진되어요. 아기가 스스로 하려고 하는.자율성의 발달은 사회성 발달의 기초가 되어요.
③ 공간개념
19개월된 대부분의 영아는(72.1%) 창 밖 멀리 있는 물체를 가리킬 수 있을정도로 원근개념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고, 한 면에 풀칠을 할 수 있는 영아는 아직 소수였다.(11.8%)
24개월이 되면 대다수의 영아가 자신의 집에서 방의 위치를 알며(97.5%), 위아래를 이해하는 정도도 꾸준히 증가하여 67.1%를 나타냈다. 앞뒤에 대해서도 비슷한 정도로 이해하는 반면 좌우에 대한 이해수준은 낮게 나타났다. 위아래와 앞뒤에 대한 이해보다는 좌우의 공간개념이 늦게 발달함을 알 수 있다.
④ 개념 이해
21개월이 되면 거의 모든 영아가 사물에 대한 개념을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물 그림과 소리를 짝지을 수 있는 영아도 이전 개월에 비해 증가하여 85.5%를 나타났다.
23개월 된 영아의 대부분은 집안의 물건을 놓는 장소를 알고 있었다. 또한 모형판을 이용해 형태 맞추기 과제를 통해 살펴본 동그라미, 네모, 세모 형태에 대한 개념도 대부분의 영아들이 획득한 것으로 나타났다. 색에 대한 재인능력도 아직 저조하나 일부 나타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부모 보고에 의하면, 27.8%의 영아가 정해진 일과에 대해 이해하는 스크립트 기억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나서 영아의 기억능력이 향상되기 시작함을 알 수 있다.
3. 사회성발달
1-3개월
엄마의 얼굴을 바라보며, 양육자와 반응하여 미소를 짓습니다.
4-6개월
자의로 미소를 짓고, 빠른 경우 처음 보는 사람에게 낯가림을 시작합니다.
7-9개월
혼자서 과자를 먹고, 장난감을 뺏으면 저항합니다.
낯선 사람에 대해 예민하게 반응합니다.
10-12개월
엄마의 말과 행동을 모방하기 시작하고, 노래에 맞춰 손뼉치기를 합니다.
엄마와 공을 가지고 놀 수 있으며, 원하는 것을 가리켜요
아기의 사회화는 가정과 엄마, 그 외의 다른 양육자와의 관계에서 시작합니다. 대개 아기의 사회화의 기본이 되는 것은 엄마이고, 엄마와의 강한 애착관계는 이후 아기의 사회적 관계와 큰 연관이 있습니다.
말을 많이 건네세요
말은 의사소통뿐만 아니라 사회생활에서 꼭 필요한 수단이에요. 옹아리가 많아지면 엄마의 표정과 말소리를 듣고 따라 하도록 엄마가 소리를 내서 말을 해주세요. 기저귀를 갈 때, 젖을 줄 때 목욕을 시킬 때 등 엄마는 가능한 아기에게 많은 말을 해주세요.
간지르거나 달래면서 놀아준다
아기가 누워만 있는 시기에는 아기의 적극적인 반응을 끌어내는 새로운 자극을 주세요. 아기가 좋아하면서 소리를 내면 말하는 것이 자극되고, 엄마와 연결성을 갖게 되는 커뮤니케이션이 싹트게 되어요.
엄마와 함께 손놀이를 하세요
누워 있는 시기에는 '도리도리'놀이를 하면서 아기와 눈을 맞추세요. 아기는 엄마와 마주보고 하는 '짝짜꿍', '곤지곤지', '잼잼' 등을 흉내내면서 여러 가지 손과 손가락을 움직여 보세요. '코코코 입', '머리 어깨 무릎 발'등의 손놀이를 통해 신체부위의 이름도 알게 되어요.
- 생후 6개월이 되면 아기들간에도 사회적인 미소나 옹아리를 하고, 장소를 움직이는 움직임이 가능해지면서 다른 아기를 쫓아다니며 눈이나 입, 귀 등을 만져보려고 합니다.
- 생후 12개월이 된 아기는 자신을 다른 사람이나 사물로부터 독립된 개체임을 인식하는 자아인식이 생겨서, 어른이나 다른 장난감에 의해 주의가 분산되지 않는 한 다른 아기에게 적극적인 관심을 갖게 됩니다. 관심을 나타내는 방법이 서툴기 때문에 만져보거나 안아보는 등의 신체적 접촉을 시도하거나 눈으로 쳐다보기만 하는 등.기초적인 사회적 행동을 보여요.
- 돌이 지나면 아기에겐 엄마에게 의지하려는 마음과 독립하려는 마음이 함께 생겨요. 어떻게 보면 서로 상반된 마음 상태인 것 같지만 아기는 엄마에게 의지하면서 동시에 새로운 미지의 세계에 대한 강한 동경이 있어요.
다시 말해 엄마에게 의지하는 동시에 자기 주장을 하고, 낯선 곳과 사람을 만나 새로운 것을 경험하고 싶어해요.
- 손가락을 정교하게 움직이는 것이 점점 발달해 혼자 옷을 입고 벗고 싶어하고 큰 인형에게 예쁜 색깔의 단추나.지퍼를 달아 옷을 입히고 벗기는 놀이를 하면서 아기의 자율성 발달이 촉진되어요. 아기가 스스로 하려고 하는.자율성의 발달은 사회성 발달의 기초가 되어요.
추천자료
영아기 사회정서발달
[간호학]영아기성장발달 요약
[영아기][상호작용][성개념 발달][치아관리][애착행동][자폐증]영아기의 발달적 특징과 상호...
[발달심리] 영아기와 유아기의 정서발달 및 차이점
영아기의 발달단계와 교사의 역할
연령별 발달특성에 따른 그림책 선정 기준에 대해 설명 하고, 언어 인지 정서 사회성신체발달...
부모교육4A) 영아기 발달 특성과 영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역할에 관하여 논하시오
영아기의 발달 특징과 좋은 부모가 되기 위한 방향.PPT자료
영아기의 건강한 신체발달 결여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에 대해 서술하고, 그 내용을 근거로 ...
{부모교육 4B형2017}영아기 및 유아기 발달 특성과 중요성을 설명하고, 영아기 및 유아기 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