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리포트 작성을 시작하면서....
보론
1.핵막이란?
2.핵막의 구조
3.핵막의 기능
1)보호
2)전사와 번역의 분리
3)수송
4.핵막과 관련한 구성 요소
1)라미나
①라미나의 구조
②라미나의 역활
2)핵공
핵공복합체(NPC)
①핵공복합체의 구조
보론
1.핵막이란?
2.핵막의 구조
3.핵막의 기능
1)보호
2)전사와 번역의 분리
3)수송
4.핵막과 관련한 구성 요소
1)라미나
①라미나의 구조
②라미나의 역활
2)핵공
핵공복합체(NPC)
①핵공복합체의 구조
본문내용
의 반복으로 된 FG 반복서열을 가지고 있다. 척추동물의 경우 핵공복합체의 세포질 측은 세포질 질링과 세포질 링으로부터 늘어난 약 25nm~50nm의 8개 세포질 필라멘트로부터 구성 되어 있다. 세포질필라멘트는 Nup214,RanBP1,Nup358를 포함하고 있다. 중앙부분에서는 물질의 통과구인 Nup62복합체를 포함한 central plug와 8개의 바퀴살 (spoke),POM121,gp120과 같은 막 내재성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다. 핵공 복합체의 핵질측에서는 Nup153,Nup98을 포함하고 있는 8개의 50~100nm 필라멘트와 링으로 형성된 바구니 구조가 존재하고 있다. 더욱이 바구니로부터 핵 내부로 향하는 200~350nm 필라멘트가 늘어나 있고 이 필라멘트의 구성인자인 Tpr은 mRNA나 단백질의 핵외 수송이나 텔로미어 구조의 유지에 관여하고 있다.
그리고 구조적 접힘(fold) 유형에 따라 크게 3종류로 분류된다(11). 첫 번째는 transmembrane helics와 cadherin 접힘을 가지는 핵공 단백질들로 핵공 복합체를 핵막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두 번째는 a-propeller와 b-solenoid 접힘을 가지는 핵공 단백질들로 핵 공복합체의 구조를 이루고 있는 주요 구성요소이다. 세 번째는 FG repeat와 coiled coil 접힘을 갖는 핵공 단백질들로 핵공 복합체의 중앙통로에 위치하며 능동수송에 직접적으로 관여한다. FG-핵공단백질은 말 그대로 페닐알라닌(F)과 글리신(G) 잔기가 반복적으로 나오는 도메인을 갖는 단백질로, FG 도메인은 본질적으로 고정된 3차 구
조를 이루지 않아서 핵공 복합체의 중앙통로에 위상학적으로 역동적인 그물망을 형성할 것으로 생각되므로, 단순확산에 의해 거대분자들이 통과하는 것을 억제하고, 수송운반체(transport receptor)들과 직접 일시적인 결합을 함으로써 능동수송을 매개할 것으로 여겨진다(12, 13). 대부분의 핵공 단백질은 핵공 복합체의 세포질과 핵 쪽에 대칭적으로 모두 존재하지만, 일부는 비대칭적으로 한 쪽에만 존재한다. 비대칭적으로 존재하는 핵공 단백질들은 mRNA의 핵에서 세포질로의 이동 과정에 있어 방향성에 영향을 주거나, compartmentspecific기능(염색질 또는 전사복합체와의 결합, 이동할 분자의quality-control에 관여하는 단백질들과의 결합 등)에 관여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그리고 구조적 접힘(fold) 유형에 따라 크게 3종류로 분류된다(11). 첫 번째는 transmembrane helics와 cadherin 접힘을 가지는 핵공 단백질들로 핵공 복합체를 핵막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두 번째는 a-propeller와 b-solenoid 접힘을 가지는 핵공 단백질들로 핵 공복합체의 구조를 이루고 있는 주요 구성요소이다. 세 번째는 FG repeat와 coiled coil 접힘을 갖는 핵공 단백질들로 핵공 복합체의 중앙통로에 위치하며 능동수송에 직접적으로 관여한다. FG-핵공단백질은 말 그대로 페닐알라닌(F)과 글리신(G) 잔기가 반복적으로 나오는 도메인을 갖는 단백질로, FG 도메인은 본질적으로 고정된 3차 구
조를 이루지 않아서 핵공 복합체의 중앙통로에 위상학적으로 역동적인 그물망을 형성할 것으로 생각되므로, 단순확산에 의해 거대분자들이 통과하는 것을 억제하고, 수송운반체(transport receptor)들과 직접 일시적인 결합을 함으로써 능동수송을 매개할 것으로 여겨진다(12, 13). 대부분의 핵공 단백질은 핵공 복합체의 세포질과 핵 쪽에 대칭적으로 모두 존재하지만, 일부는 비대칭적으로 한 쪽에만 존재한다. 비대칭적으로 존재하는 핵공 단백질들은 mRNA의 핵에서 세포질로의 이동 과정에 있어 방향성에 영향을 주거나, compartmentspecific기능(염색질 또는 전사복합체와의 결합, 이동할 분자의quality-control에 관여하는 단백질들과의 결합 등)에 관여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