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발발한지 10년 만에 남북의 대립을 총체적으로 파악하고 양 측을 객관적으로 볼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한 소설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2000년대를 살고 있는 우리에게 <광장>이 주는 의미는 무엇일까? 이 소설의 시간적 배경이 된 625전쟁이 발발한지 어느 덧 60년이 다 되어 간다. 아직도 우리는 전 세계의 유일한 분단국가로 남아 있다. 이 소설은 이젠 의미 없어져 버린 이데올로기, 그러나 무의미하게 대립할 수밖에 없는 우리의 현실 상황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 보게 한다. 명준의 사랑에 가슴 뭉클해지면서도, 한편으론 밀실 속에만 갇혀 남북이 만날 수 있는 광장에 나가보려 하지 않는 우리의 현실이 안타깝다. 이젠 남북 관계에서도 이데올로기를 뛰어넘은 사랑을 보여주어야 할 때가 아닌가 한다.
추천자료
현대문학연보(60-64)
94년 1차 수능언어영역 문학 총정리
(한국작가론) 조세희 작가론 - 작품을 중심으로
자신이 가장 뛰어나다고 생각하는 작가 10명
윤흥길의 장마 분석
현대소설55편 정리 및 조사
청춘의 독서 독후감.- 저자가 말하는 핵심 교훈과 시사점.
윤흥길의 기억 속의 들꽃 분석
[1960년대][1960년대 문학][1960년대 연극][1960년대 극작가][1960년대 여류작가][글쓰기][미...
베스트셀러를 통해 살펴본 출판 시장의 현황과 문화콘텐츠 (출판시장 현황, 알라딘 베스트셀...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
이청준 <당신들의 천국> 연구
박경리의 토지 독후감
한국전쟁 in 소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