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배경과 정권 장악
2. 특징
3. 정치적 성격
4. 정권의 취약함과 도방
5. 정권의 몰락
2. 특징
3. 정치적 성격
4. 정권의 취약함과 도방
5. 정권의 몰락
본문내용
한 민생안정정책도 내놓지 못하고 전대의 폐해를 답습하게 된다. 또한 권력기구인 도방은 민생에 피해를 끼치고 무자비한 숙청을 단행했으며 이러한 악행은 경대승의 묵인하에 계속되었다. 결국 정권 후반기엔 민심마저 이탈하여 민란이 발생하고 이는 더욱 더 경대승 정권의 약화를 가져오게 된다.
■ 정권의 몰락
- 경대승은 1183년 7월 30세의 나이로 병사했다. 그의 죽음은 아래 기록과 같다.
<경대승이 홀연 꿈에 정중부가 칼을 들고 호통치며 달려드는 것을 본 후에 병을 얻어 죽었다.>, 고려사 열전 경대승
정권 말기 중방의 세력은 도방과 경대승을 압도하고 있었으며 결국 경대승이 살아있었다 한들 몰락을 피하기는 어려웠을 것이다. 경대승의 죽음에 대해선 여러 가지 설이 있으나 결국 수많은 압박감을 이기지 못한 결과가 아니었을까 한다. 그의 죽음 이후 도방은 해체되고 그의 추종자들 또한 비참한 최후를 맞이하게 된다. 결국 무신정변의 주역인 이의민이 정권을 잡게 되는 것은 시대에 역행한 보수정권인 경대승 정권의 당연한 귀결이라 할 수 있겠다. 이후 경대승 정권의 기본적인 성격은 이후 최충헌에게 이전되어 장기적인 최씨정권의 뿌리가 된다. 이처럼 경대승 정권은 현실적인 정치력이 부족한 젊은 청년의 무모한 혈기와 복고를 꿈꾸는 세력과의 어설픈 결합이라고 할 수 있으며 초창기 무인집권기와 후반 정착기사이의 상징적인 모습으로써의 가치는 있다고 할 수 있겠다.
※ 참고 문헌
- 고려사
- 고려사절요
- 한국사 연구업서17 고려의 무인정권, 김당택
- 경대승의 집권과 그 성격, 경규만, 충북대학교
- 고려 무인이야기, 이승한
■ 정권의 몰락
- 경대승은 1183년 7월 30세의 나이로 병사했다. 그의 죽음은 아래 기록과 같다.
<경대승이 홀연 꿈에 정중부가 칼을 들고 호통치며 달려드는 것을 본 후에 병을 얻어 죽었다.>, 고려사 열전 경대승
정권 말기 중방의 세력은 도방과 경대승을 압도하고 있었으며 결국 경대승이 살아있었다 한들 몰락을 피하기는 어려웠을 것이다. 경대승의 죽음에 대해선 여러 가지 설이 있으나 결국 수많은 압박감을 이기지 못한 결과가 아니었을까 한다. 그의 죽음 이후 도방은 해체되고 그의 추종자들 또한 비참한 최후를 맞이하게 된다. 결국 무신정변의 주역인 이의민이 정권을 잡게 되는 것은 시대에 역행한 보수정권인 경대승 정권의 당연한 귀결이라 할 수 있겠다. 이후 경대승 정권의 기본적인 성격은 이후 최충헌에게 이전되어 장기적인 최씨정권의 뿌리가 된다. 이처럼 경대승 정권은 현실적인 정치력이 부족한 젊은 청년의 무모한 혈기와 복고를 꿈꾸는 세력과의 어설픈 결합이라고 할 수 있으며 초창기 무인집권기와 후반 정착기사이의 상징적인 모습으로써의 가치는 있다고 할 수 있겠다.
※ 참고 문헌
- 고려사
- 고려사절요
- 한국사 연구업서17 고려의 무인정권, 김당택
- 경대승의 집권과 그 성격, 경규만, 충북대학교
- 고려 무인이야기, 이승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