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본문내용
단축시키는 지도 잘 모르겠다. 현재는 자본주의 사회다. 맑시즘의 관점으로 본다면 자본이 나라의 근간을 결정하게 되고, 자본에 의해 정치 또한 변화 된다. 그렇다면 자본주의 사회인 지금에 경제대통령이라는 이름을 등에 업고 통치자의 자리를 잡았는데 이렇게 미래를 전혀 내다보지 않고 경제적으로도 많은 실(失)이 있는 사업을 굳이 밀어 붙일 필요는 없어 보인다.
추천자료
장보고의 동아시아 무역활동과 역사적 의의
수당제국과 고구려
지역경제발전 방향과 과제 - 부산지역경제 활성화에 대하여
[사이버 모욕죄]사이버 모욕죄와 표현의 자유에 대한 논란 조사, 사이버 모욕죄의 문제점, 사...
[촛불집회]2008 촛불집회의 의미분석, 촛불집회의 특징과 촛불집회가 함의하고 있는 다양한 ...
[한국경제의 이해] 이명박 정부의 경제정책
6.10민주항쟁 22주년, 전국민 촛불 집회 1주년 그리고 자유민주주의
4개강유역 개발과 관광자원화
MB의 4대강 사업에 대한 정책분석평가
시민의 정치참여와 민주주의
MB정부의 4대강사업에 대한 정책평가
중국 산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