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1.동아시아의 국제대전
*본론- 2.수의 통일
Ⅰ.수의 개혁-①문제의 중앙집권 정책
②대운하의 건설
Ⅱ.양제의 실정과 멸망-①양제의 실정
②고구려와 수나라의 전쟁
3.당의 통일
Ⅲ.당 태종 이세민-①정관의 치
②고구려와 당나라의 전쟁
Ⅳ.여인천하
Ⅴ.당대적 세계의 파탄
*결론- 4.동아시아의 진실 된 역사
*본론- 2.수의 통일
Ⅰ.수의 개혁-①문제의 중앙집권 정책
②대운하의 건설
Ⅱ.양제의 실정과 멸망-①양제의 실정
②고구려와 수나라의 전쟁
3.당의 통일
Ⅲ.당 태종 이세민-①정관의 치
②고구려와 당나라의 전쟁
Ⅳ.여인천하
Ⅴ.당대적 세계의 파탄
*결론- 4.동아시아의 진실 된 역사
본문내용
18~907)만에 멸망되었다.
*결론
4.고구려의 위상
중국 학계에서 추진 중인 동북공정은 고구려사를 중국사에 편입시키려는 역사왜곡의 전형을 보여주고 있다. 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동북공정은 고구려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우리의 관심을 높여주는 계기가 되었다. 고구려는 수나라와 당나라와의 전쟁에서도 그들에게 변함없는 위상을 보여줘 고구려란 이름을 드높였다. 하지만 내부의 적, 신라에 의해 망한 고구려. 외부의 적보다 공공의 적이 더 무서운 것이다. 만약 공공의 적인 신라가 고구려와 협력했다면 지금 중국에서 벌어지고 있는 동북공정이 진행되지 않고, 고구려가 머물었던 그 땅들이 오늘날 우리나라의 영토가 되었을지도 모른다. 고구려가 수나라와 전쟁할 당시 고구려는 광개토대왕 시대처럼 강력한 국가가 아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나라와의 전쟁을 승리로 이끈 고구려는 매우 대단하다. 연개소문의 뒤를 이을 후계자가 나타나고 내부전쟁이 일어나지 않았다면 고구려는 멸망하지 않았을 것이다. 하지만 동북공정으로 인하여 우리의 위대한 역사 중 하나인 고구려가 중국에 복속되고 지방정권으로 전락하면서 우리나라의 자존심도 짓밟혀가고있다. 과거의 역사는 거울이다. 과거의 고구려처럼 우리나라도 그때의 위상을 기억하며 동북공정으로 인해 우리의 자존심이고 우리의 혼이 담긴 고구려를 더 이상 깨뜨리지 말고 지켜내야 할 방안을 모색해야 할 때라는 생각이 들었다.
☆참고문헌
1. 이근명, 『중국역사』,도서출판 신서원 ,2002년
2. 윤명철, 『고구려의 정신과 정책』,학연문화사, 2004년
3. 신승하,『중국사』,대한교과서(주), 1998년,
*결론
4.고구려의 위상
중국 학계에서 추진 중인 동북공정은 고구려사를 중국사에 편입시키려는 역사왜곡의 전형을 보여주고 있다. 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동북공정은 고구려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우리의 관심을 높여주는 계기가 되었다. 고구려는 수나라와 당나라와의 전쟁에서도 그들에게 변함없는 위상을 보여줘 고구려란 이름을 드높였다. 하지만 내부의 적, 신라에 의해 망한 고구려. 외부의 적보다 공공의 적이 더 무서운 것이다. 만약 공공의 적인 신라가 고구려와 협력했다면 지금 중국에서 벌어지고 있는 동북공정이 진행되지 않고, 고구려가 머물었던 그 땅들이 오늘날 우리나라의 영토가 되었을지도 모른다. 고구려가 수나라와 전쟁할 당시 고구려는 광개토대왕 시대처럼 강력한 국가가 아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나라와의 전쟁을 승리로 이끈 고구려는 매우 대단하다. 연개소문의 뒤를 이을 후계자가 나타나고 내부전쟁이 일어나지 않았다면 고구려는 멸망하지 않았을 것이다. 하지만 동북공정으로 인하여 우리의 위대한 역사 중 하나인 고구려가 중국에 복속되고 지방정권으로 전락하면서 우리나라의 자존심도 짓밟혀가고있다. 과거의 역사는 거울이다. 과거의 고구려처럼 우리나라도 그때의 위상을 기억하며 동북공정으로 인해 우리의 자존심이고 우리의 혼이 담긴 고구려를 더 이상 깨뜨리지 말고 지켜내야 할 방안을 모색해야 할 때라는 생각이 들었다.
☆참고문헌
1. 이근명, 『중국역사』,도서출판 신서원 ,2002년
2. 윤명철, 『고구려의 정신과 정책』,학연문화사, 2004년
3. 신승하,『중국사』,대한교과서(주), 1998년,
추천자료
조선의 교육사상
당과 신나교육문화 교류 -유당학생을 중심으로
세계화 시대의 올바른 역사관
대중문화의 이해 - 문화산업으로서 한류 발전 방안
[일본][중국][역사왜곡][역사][독도문제][임나일본부설][동북공정]일본과 중국의 역사왜곡 실...
만들어진 고대 서평
한국문학통사 제 4판 1권 정리
제4판 한국문학통사 (조동일) 1~6권 요약, 정리 120
제4판 한국문학통사 (조동일) 1~6권 요약, 정리
廣開土大王(광개토대왕)의 업적 고찰
개항을 전후한 한중일 삼국의 사회경제와 대응전략의 비교
한국 근현대사(근대사) 특징, 약력, 한국 근현대사(근대사) 5 18광주민중항쟁 인권담론, 한국...
쟁점 한국사 독후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