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머 리 말
Ⅱ. 유당학생제도
1. 파견배경
①. 당대 교육문화의 대외 개방
②. 중국적 천하질서의 참여
2. 유당학생의 신분
3. 당의 신나 유학생 관리
①. 유당학생의 입학
②. 당의 유학생 관리
③. 유당학습기간
④. 유당학생비용
4. 학업을 마친 후의 진노
Ⅲ. 맺 음 말
Ⅱ. 유당학생제도
1. 파견배경
①. 당대 교육문화의 대외 개방
②. 중국적 천하질서의 참여
2. 유당학생의 신분
3. 당의 신나 유학생 관리
①. 유당학생의 입학
②. 당의 유학생 관리
③. 유당학습기간
④. 유당학생비용
4. 학업을 마친 후의 진노
Ⅲ. 맺 음 말
본문내용
기에서 신라정부의 유당학생에 대한 대우 두 가지를 볼 수 있다. 그들이 귀국한 후 관직에 나아가는 경로에는 두 가지가 있는데, 첫째는 지방 수령으로 임용되는 것이고, 둘째는 중앙문한직( 中央文翰職)을 맡는 것이다.
【新羅留唐學生表】를 보면 지방 수령으로 임용된 자가 김대문(金大問), 김암(金巖), 김운경(金雲卿), 자옥(子玉), 양열(梁悅), 김입지(金立之), 김준(金峻), 최치원, 김영 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정책상에서 정부는 당시 최고의 지식인인 유당학생에 대하여 국학(國學)출신 자와 비교하여 대우하였지만 이들 유학생이 귀국 후에 대부분 지방 수령으로 진출한 것은 의외라는 생각을 갖게 한다. 이러한 현상이 신라 중대 이후에 나타난 것은 골품제(骨品制)의 성질이 이미 견고하게 변하여, 사회나 중앙 관직에서 "진골만능주의(眞骨萬能主義)"가 엄수(嚴守)하여 "진골 포화상태(眞骨飽和狀態)"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육두품(六頭品) 출신의 당유학생은 중앙 관직에 진출하기가 매우 어려웠다. 여기에서 골품제(骨品制)하에서 신라의 인재등용의 한계를 볼 수 있다.
신라 하대(下代)에 이르러서 중앙 문한직(文翰職)에 대해 정부는 시종기구(侍從機構)와 문한기구를 확대하여 당(唐) 유학생, 특히 빈공(賓貢) 급제자를 흡수하였다. 당시 중앙 문한직에 임명된 자는 【신라유당학생표】를 살펴보면 알 수 있다.
신라 하대 시종과 문한 기구(文翰機構) 확대의 주요 원인은 유당학생의 흡수와 더불어 왕권 강화의 일환으로 이용하기 위해서였다. 이로 인해 유당학생은 중앙 문한직에 임명(任命)되었고 자기의 학문을 펼치고, 정치에 참가할 기회를 얻게 되었다. 그러나 중앙고직(中央高職)에 진출한 자도 제한이 있어 해임되기가 쉬웠다.
이외에도 현 상황에 불만을 품고 골품제와 정치체제에 반대하여 입산(入山) 은거(隱居)하거나 반신라적(反新羅的)운동에 참가한 자도 있었다.
Ⅲ. 맺음말
당 태종 정관 연간(627∼649)이후 당실(唐室)이 취한 이민족에 대한 "愛之如一"관념은 중국 문화의 대외 개방과 함께 주변 민족에 대해 중국 중심의 정치· 문화적 「自我 運行」체제를 공고히 하였다. 이러한 상황은 고대 국가 체제의 완성을 목표로 삼고 있던 주변 국가들의 선진 문화 수용 및 이를 통한 자국에 맞는 문화 변용과 일치되면서 그들을 체제 속으로 적극 흡인시키는 효과를 얻었다.
신라의 양대 외래문화-유학과 불교-중 하나인 유학은 불교와 더불어 유당교육제도의 산물이며, 이는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숙위 학생이라 불리는 유당학생과 학승들에 의해 전해졌다는 것은 과언이 아니다. 한반도와 신라의 특수한 사회 환경 속에서 전개된 유당학생 제도는 신라 사회에 급진적인 이념이라 할 수 있는 유학을 전파해 신라 하대(下代), 나아가서는 라말여초(羅末麗初)의 사회 변혁기에 새로운 건국 이념을 제공해 주었다. 뿐만 아니라 대외적으로는 동아시아 문화권 내에서 신라를 홍황(鴻荒)에서 성현지풍(聖賢之風)의 유풍(儒風)국가로 인식시켜 소중화(小中華)의 자부심을 각인 시켜 주었다. 또한 중국 문화에 대한 광범위한 이해를 토대로 무조건 흡수하여 수용하지 않고, 유교 문화의 한국적인 변용(變容)을 이끌어 내어 고려를 비롯하여 조선에 이르기까지 유교주의 정치 이념을 구현하고 중국식 과거제도를 시행하는 등 유풍진작의 기반을 마련해 주었다.
신라 유당학생은 선진 문화 수용의 주체자요 실천자였다. 그들은 한국 고대 문화의 새로운 이정표를 제시하면서 고대 문화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렸고, 나아가 라말여초 사회 변화의 새로운 기운을 제공해 주었으며, 지나친 비약일지도 모르겠지만 현대 한국을 형성하는 근간이 이때 모아졌다는 생각도 해본다.
【新羅留唐學生表】를 보면 지방 수령으로 임용된 자가 김대문(金大問), 김암(金巖), 김운경(金雲卿), 자옥(子玉), 양열(梁悅), 김입지(金立之), 김준(金峻), 최치원, 김영 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정책상에서 정부는 당시 최고의 지식인인 유당학생에 대하여 국학(國學)출신 자와 비교하여 대우하였지만 이들 유학생이 귀국 후에 대부분 지방 수령으로 진출한 것은 의외라는 생각을 갖게 한다. 이러한 현상이 신라 중대 이후에 나타난 것은 골품제(骨品制)의 성질이 이미 견고하게 변하여, 사회나 중앙 관직에서 "진골만능주의(眞骨萬能主義)"가 엄수(嚴守)하여 "진골 포화상태(眞骨飽和狀態)"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육두품(六頭品) 출신의 당유학생은 중앙 관직에 진출하기가 매우 어려웠다. 여기에서 골품제(骨品制)하에서 신라의 인재등용의 한계를 볼 수 있다.
신라 하대(下代)에 이르러서 중앙 문한직(文翰職)에 대해 정부는 시종기구(侍從機構)와 문한기구를 확대하여 당(唐) 유학생, 특히 빈공(賓貢) 급제자를 흡수하였다. 당시 중앙 문한직에 임명된 자는 【신라유당학생표】를 살펴보면 알 수 있다.
신라 하대 시종과 문한 기구(文翰機構) 확대의 주요 원인은 유당학생의 흡수와 더불어 왕권 강화의 일환으로 이용하기 위해서였다. 이로 인해 유당학생은 중앙 문한직에 임명(任命)되었고 자기의 학문을 펼치고, 정치에 참가할 기회를 얻게 되었다. 그러나 중앙고직(中央高職)에 진출한 자도 제한이 있어 해임되기가 쉬웠다.
이외에도 현 상황에 불만을 품고 골품제와 정치체제에 반대하여 입산(入山) 은거(隱居)하거나 반신라적(反新羅的)운동에 참가한 자도 있었다.
Ⅲ. 맺음말
당 태종 정관 연간(627∼649)이후 당실(唐室)이 취한 이민족에 대한 "愛之如一"관념은 중국 문화의 대외 개방과 함께 주변 민족에 대해 중국 중심의 정치· 문화적 「自我 運行」체제를 공고히 하였다. 이러한 상황은 고대 국가 체제의 완성을 목표로 삼고 있던 주변 국가들의 선진 문화 수용 및 이를 통한 자국에 맞는 문화 변용과 일치되면서 그들을 체제 속으로 적극 흡인시키는 효과를 얻었다.
신라의 양대 외래문화-유학과 불교-중 하나인 유학은 불교와 더불어 유당교육제도의 산물이며, 이는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숙위 학생이라 불리는 유당학생과 학승들에 의해 전해졌다는 것은 과언이 아니다. 한반도와 신라의 특수한 사회 환경 속에서 전개된 유당학생 제도는 신라 사회에 급진적인 이념이라 할 수 있는 유학을 전파해 신라 하대(下代), 나아가서는 라말여초(羅末麗初)의 사회 변혁기에 새로운 건국 이념을 제공해 주었다. 뿐만 아니라 대외적으로는 동아시아 문화권 내에서 신라를 홍황(鴻荒)에서 성현지풍(聖賢之風)의 유풍(儒風)국가로 인식시켜 소중화(小中華)의 자부심을 각인 시켜 주었다. 또한 중국 문화에 대한 광범위한 이해를 토대로 무조건 흡수하여 수용하지 않고, 유교 문화의 한국적인 변용(變容)을 이끌어 내어 고려를 비롯하여 조선에 이르기까지 유교주의 정치 이념을 구현하고 중국식 과거제도를 시행하는 등 유풍진작의 기반을 마련해 주었다.
신라 유당학생은 선진 문화 수용의 주체자요 실천자였다. 그들은 한국 고대 문화의 새로운 이정표를 제시하면서 고대 문화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렸고, 나아가 라말여초 사회 변화의 새로운 기운을 제공해 주었으며, 지나친 비약일지도 모르겠지만 현대 한국을 형성하는 근간이 이때 모아졌다는 생각도 해본다.
추천자료
교육경제학 기부금제도
프랑스의 문화, 예술, 산업, 교육, 생활 등.
교육제도 모순의 대안은 대학평준화밖에 없다.
학교폭력에 관한 사회, 문화, 제도적 문제와 대안
북한의 교육과 의료제도와 생활실태
장애학생의 성교육
[청소년복지][복지]청소년의 개념, 청소년교육의 목표 및 지도방향, 청소년복지의 내용, 청소...
인터넷환경, 인터넷문화, 인터넷의 기능, 인터넷의 교육적 효과, 인터넷의 이용, 보급, 인터...
[일본 교육][일본의 교육][일본 교육정책][일본 교육제도]일본의 공민교육, 일본의 노인교육,...
조선의 교육제도와 관료,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사...
[과학기술]과학기술의 특성, 과학기술 문제점, 과학기술과 문화, 한국과학기술원(KAIST, 카이...
다문화 가족의 증가 한국사회의 실태,다문화 가족(다문화 가정),국제결혼 부부의 이혼,다문화...
한국사람들은 기존의 교육제도를 불신한다 - 문제인식의 계기, 문제들의 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