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골절의 분류
1) 상처 상태에 따른 분류
2) 골절 형태에 따른 분류
3) 골절선의 방향에 따른 분류
4) 해부학적 위치에 따른 분류
5) 골절의 원인에 따른 분류
6) 특수한 원인에 의한 분류.
2. 골절의 증상
3. 골절의 치료 및 간호
1) 응급처치
2) 본치료
3) 약물투여
4) 재활
4. cast
1) cast의 종류
2) cast 한 환자 간호
5. traction
1) traction의 종류
2) traction한 환자 간호
1. 골절의 분류
1) 상처 상태에 따른 분류
2) 골절 형태에 따른 분류
3) 골절선의 방향에 따른 분류
4) 해부학적 위치에 따른 분류
5) 골절의 원인에 따른 분류
6) 특수한 원인에 의한 분류.
2. 골절의 증상
3. 골절의 치료 및 간호
1) 응급처치
2) 본치료
3) 약물투여
4) 재활
4. cast
1) cast의 종류
2) cast 한 환자 간호
5. traction
1) traction의 종류
2) traction한 환자 간호
본문내용
도록 한다.
: 신체선열이나 기구로부터의 압력(석고, 견인, 부목)이 있는지를 평가한다.
- 통증방지를 위한 활동
: 정확한 선열을 유지할 수 있는 자세를 취하도록 한다.
: 정맥 정체를 줄이기 위해 통증이 있는 사지를 올려놓는다.
: 처방된 대로 온찜질 혹은 냉찜질을 한다.
: 필요한 약물치료를 한다.
⑸ 감염의 모니터
- 개방 골절 상처를 처방된 대로 가능한 신속히 소독, 괴사조직 제거, 세척하여 감염의 기회를 최소화 한다.
- 상처와 연조직, 뼈의 감염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드레싱을 바꿀 때 철저히 무균술을 지킴.
- 정규적으로 체온의 상승을 검사한다.
- 절개나 상처부위의 염증, 부종은 보고한다.
- 원인균 확인을 위해 배양검사물과 민감도 검사물을 채취한다.
- 처방된 항생제를 투여한다.
⑹ 신체활동 증진
- 부동화되지 않은 모든 관절은 수동과 능동적 운동을 해준다.
- 골절된 부분을 지지하면서 자주 자세를 변경해줄 것을 권장한다.
- 허락되었을 경우 보행을 권유하여 신체적인 비활동 기간을 최소화 한다
- 활동에 의해 유발되는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해 처방된 진통제를 잘 판단하여 투여한다.
5. traction 견인장치
: 치료적 목적으로 골절부위에 효과적으로 견인하는 힘을 적용하는 것
⇒ 골절의 정복, 근육경련으로 인한 통증 완화, 불구의 교정과 예방, 환부의 교정, 척추
압박 요인의 제거 목적으로 사용된다.
1) traction의 종류 : 피부견인, 골격 견인
(1) Buck`s extension traction (Buck`s 신전견인)
- 대표적인 피부견인으로 다리 하부에 적용.
- 골반부 골절의 수술전 일시적 고정
대퇴의 전자하부나 대퇴상부 골절의 정복
심한 근육경련의 이완
굴곡경축의 경감 및 예방 위해
- 하지의 양쪽이나 한쪽에, 상지의 상박주부어깨에 적용함
→ 하지 적용 시에는 무릎 아래2~5cm부터 발목까지 접착성 테이프를 대줌
(이때 발목이 제한되지 않도록 함)
→ 상지 적용 시에는 특히 요골신경, 척골신경의 압박유무를 살펴서 무감각, 저린감과 엄지 및 다섯 번째 손가락의 대립기능을 관찰
(2) Russell‘s traction
- 골반부나 대퇴부의 골절치료와 무릎이나 골반부의 기형 고정을 위해 적용
- 2세~10세 사이의 소아에게 많이 적용
- 무릎을 걸대에 걸어서 하지를 테이프로 감은 후 슬관절 부위의 수직견인과 하퇴부의 수평견인을 하나의 견인줄로 연결하는 것.
- 베개를 무릎이나 하지 밑에 대주어 뒤꿈치가 침상에 닿지 않도록 함.
- 무릎의 굴곡 정도는 원하는 자세에 따라 결정
(3) 골반 현수 견인 (pelvic sling traction)
- 골반부의 골절이나 하복부 연조직 손상시 걸대를 이용하여 지지
- 등과 척골, 둔부의 피부 간호하여 자극으로 인한 손상 없도록
- 배변, 배뇨곤란 → 회음부 간호, 좌약 삽입
2) traction한 환자 간호
(1) 환자의 체위 : 앙와위를 유지한다. 손상부위에 압력을 가하지 않는 편안한 자세.
(2) 대항견인 유지 : 환자의 침상발치나 무릎부위를 상승시키고 나무토목이나 벽돌을 침대 다리에 고여 준다. 하지만 20˚이상 상승시키면 안된다.
(3) 추가 땅에 닿지 않도록 견인줄이 다른곳에 닿지 않도록 한다.
(4) 견인의 계속성 : 주치의 허락 없이 절대 제거하면 안 된다.
(5) 피부색, 움직임, 체온, 감각, 맥박 등을 확인한다.
(6) 견인시 주의해야 할 부위
① 상지 - 팔꿈치의 뼈 돌출부, 팔꿈치 관절의 연조직, 손목의 뼈 돌출부위, 손바닥
② 하지 - 비골의 비골신경 부위, 발목의 뼈 돌출부위, 뒤꿈치, 발등의 연조직
③ 체부 - 척추돌출부, 견갑골부, 장골능, 천골 부위
: 신체선열이나 기구로부터의 압력(석고, 견인, 부목)이 있는지를 평가한다.
- 통증방지를 위한 활동
: 정확한 선열을 유지할 수 있는 자세를 취하도록 한다.
: 정맥 정체를 줄이기 위해 통증이 있는 사지를 올려놓는다.
: 처방된 대로 온찜질 혹은 냉찜질을 한다.
: 필요한 약물치료를 한다.
⑸ 감염의 모니터
- 개방 골절 상처를 처방된 대로 가능한 신속히 소독, 괴사조직 제거, 세척하여 감염의 기회를 최소화 한다.
- 상처와 연조직, 뼈의 감염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드레싱을 바꿀 때 철저히 무균술을 지킴.
- 정규적으로 체온의 상승을 검사한다.
- 절개나 상처부위의 염증, 부종은 보고한다.
- 원인균 확인을 위해 배양검사물과 민감도 검사물을 채취한다.
- 처방된 항생제를 투여한다.
⑹ 신체활동 증진
- 부동화되지 않은 모든 관절은 수동과 능동적 운동을 해준다.
- 골절된 부분을 지지하면서 자주 자세를 변경해줄 것을 권장한다.
- 허락되었을 경우 보행을 권유하여 신체적인 비활동 기간을 최소화 한다
- 활동에 의해 유발되는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해 처방된 진통제를 잘 판단하여 투여한다.
5. traction 견인장치
: 치료적 목적으로 골절부위에 효과적으로 견인하는 힘을 적용하는 것
⇒ 골절의 정복, 근육경련으로 인한 통증 완화, 불구의 교정과 예방, 환부의 교정, 척추
압박 요인의 제거 목적으로 사용된다.
1) traction의 종류 : 피부견인, 골격 견인
(1) Buck`s extension traction (Buck`s 신전견인)
- 대표적인 피부견인으로 다리 하부에 적용.
- 골반부 골절의 수술전 일시적 고정
대퇴의 전자하부나 대퇴상부 골절의 정복
심한 근육경련의 이완
굴곡경축의 경감 및 예방 위해
- 하지의 양쪽이나 한쪽에, 상지의 상박주부어깨에 적용함
→ 하지 적용 시에는 무릎 아래2~5cm부터 발목까지 접착성 테이프를 대줌
(이때 발목이 제한되지 않도록 함)
→ 상지 적용 시에는 특히 요골신경, 척골신경의 압박유무를 살펴서 무감각, 저린감과 엄지 및 다섯 번째 손가락의 대립기능을 관찰
(2) Russell‘s traction
- 골반부나 대퇴부의 골절치료와 무릎이나 골반부의 기형 고정을 위해 적용
- 2세~10세 사이의 소아에게 많이 적용
- 무릎을 걸대에 걸어서 하지를 테이프로 감은 후 슬관절 부위의 수직견인과 하퇴부의 수평견인을 하나의 견인줄로 연결하는 것.
- 베개를 무릎이나 하지 밑에 대주어 뒤꿈치가 침상에 닿지 않도록 함.
- 무릎의 굴곡 정도는 원하는 자세에 따라 결정
(3) 골반 현수 견인 (pelvic sling traction)
- 골반부의 골절이나 하복부 연조직 손상시 걸대를 이용하여 지지
- 등과 척골, 둔부의 피부 간호하여 자극으로 인한 손상 없도록
- 배변, 배뇨곤란 → 회음부 간호, 좌약 삽입
2) traction한 환자 간호
(1) 환자의 체위 : 앙와위를 유지한다. 손상부위에 압력을 가하지 않는 편안한 자세.
(2) 대항견인 유지 : 환자의 침상발치나 무릎부위를 상승시키고 나무토목이나 벽돌을 침대 다리에 고여 준다. 하지만 20˚이상 상승시키면 안된다.
(3) 추가 땅에 닿지 않도록 견인줄이 다른곳에 닿지 않도록 한다.
(4) 견인의 계속성 : 주치의 허락 없이 절대 제거하면 안 된다.
(5) 피부색, 움직임, 체온, 감각, 맥박 등을 확인한다.
(6) 견인시 주의해야 할 부위
① 상지 - 팔꿈치의 뼈 돌출부, 팔꿈치 관절의 연조직, 손목의 뼈 돌출부위, 손바닥
② 하지 - 비골의 비골신경 부위, 발목의 뼈 돌출부위, 뒤꿈치, 발등의 연조직
③ 체부 - 척추돌출부, 견갑골부, 장골능, 천골 부위
추천자료
[성인간호학]기초간호=골절=
고관절 골절 & 심부전 case study (중환자실)
슬개골골절 문헌고찰, 간호과정
[환자 간호][시각장애][실어증][제왕절개][쇼크][수혈][신경계수술][신장이식]시각장애환자 ...
[간호][환자간호]안수술과 백내장수술환자의 간호, 제왕절개수술환자의 간호, 기분장애환자의...
[재활간호][실어증환자][관절염환자][뇌졸중환자][유방암]재활간호의 배경, 재활간호의 과정,...
[성인간호학][Fracture][골절]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골절대상자 간호
노인간호학 대퇴골 경부 골절, 개방성 Fracture of base of neck of femur, open 케이스
Traction maintenance (견인 환자 간호)
[간호학] 신체부위별 골절